정읍군 갑
보이기
	
	
| 정읍군 갑 | |
|---|---|
|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 1948년~1963년 | |
| 의원 수 | 1인 | 
| 이후 선거구 | 정읍군 | 
정읍군 갑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전라북도 정읍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
[편집]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읍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정읍군 정주읍, 북면, 내장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을 관할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읍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정읍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
[편집]| 선거 | 정당 | 의원 | |
|---|---|---|---|
| 1948년 | 한국민주당 | 나용균 | |
| 1950년 | 무소속 | 신석빈 | |
| 1954년 | 자유당 | 김창수 | |
| 1958년 | 민주당 | 나용균 | |
| 1960년 | 민주당 | ||
역대 선거 결과
[편집]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편집]전라북도 정읍군 갑 
 |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 나용균 | 한국민주당 | 무투표 | 당선 | ||||
| 합계 | 0표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전라북도 정읍군 갑 
 |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 신석빈 | 무소속 | 17,987표 | 
  | 
당선   | 
||||
| 나용균 | 민주국민당 | 15,786표 | 
  | 
|||||
| 이동선 | 노농청년연맹 | 6,250표 | 
  | 
|||||
| 박석규 | 무소속 | 2,087표 | 
  | 
|||||
| 안재용 | 무소속 | 1,261표 | 
  | 
|||||
| 김재은 | 무소속 | 1,036표 | 
  | 
|||||
| 김대진 | 무소속 | 987표 | 
  | 
|||||
| 합계 | 45,394표 |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전라북도 정읍군 갑 
 |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 김창수 | 자유당 | 11,852표 | 
  | 
당선   | 
||||
| 나용균 | 민주국민당 | 9,613표 | 
  | 
|||||
| 박명규 | 무소속 | 8,975표 | 
  | 
|||||
| 김상술 | 무소속 | 5,116표 | 
  | 
|||||
| 김세길 | 무소속 | 3,990표 | 
  | 
|||||
| 송정용 | 무소속 | 1,798표 | 
  | 
|||||
| 최홍술 | 무소속 | 932표 | 
  | 
|||||
| 합계 | 42,276표 |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전라북도 정읍군 갑 
 |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 나용균 | 민주당 | 26,356표 | 
  | 
당선   | 
||||
| 김창수 | 자유당 | 22,230표 | 
  | 
|||||
| 합계 | 48,586표 |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전라북도 정읍군 갑 
 |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 나용균 | 민주당 | 25,950표 | 
  | 
당선   | 
||||
| 김상술 | 민주당 | 16,784표 | 
  | 
|||||
| 유종영 | 사회대중당 | 2,623표 | 
  | 
|||||
| 전공우 | 한국사회당 | 1,753표 | 
  | 
|||||
| 김용욱 | 무소속 | 1,423표 | 
  | 
|||||
| 합계 | 48,533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