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시카 프리드리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시카 프리드리히
Jessica Fridrich
출생1963년 또는 1964년
성별여성
국적체코
경력루빅스 큐브 해법인 CFOP 해법 대중화

제시카 프리드리히 (본명 지리 프리드리히)는 빙엄턴 대학교의 교수로, 전문분야는 디지털 이미지 내 데이터 은닉 기술이다. 제시카 프리드리히는 스피드큐빙으로 알려진 루빅스 큐브 해법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들 중 하나인 CFOP 해법을 문서화하고 대중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CFOP 해법은 '프리드리히 해법'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녀는 라르스 페트루스 와 함께 스피드큐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스피드큐빙

[편집]

제시카 프리드리히는 16세인 1981년 3월에 처음으로 루빅스 큐브를 보았습니다. 제시카 프리드리히는 당시 공산주의 체코슬로바키아 하에 루빅스 큐브를 즉시 구매할 수 없었으나, 7월에 그 지역에 방문 온 프랑스 가족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다. 이후 프리드리히는 체코 출판물로부터 기본적인 Layer-By-Layer 해법을 학습하기 시작하였고, 9월경에는 큐브 풀이 시간이 평균 1분 정도에 도달하였다.

1982년 5월에 전국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제시카 프리드리히의 평균 풀이 시간은 대략 25초 정도였다. 대회 참가자들 중 미렉 골잔(Mirek Goljan)을 포함한 5명의 큐버가 결승에 진출했다. 이 대회에서 프리드리히는 1라운드와 2라운드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었고, 미렉 골잔은 3라운드 및 최종 라운드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프리드리히는 2라운드의 23.55초 기록으로 인해 상위권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 후 1982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루빅큐브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최고 기록 29.11초로 10위를 차지하였다.[1]

직업

[편집]

제시카 프리드리히는 미국 뉴욕주의 빙엄턴 대학교의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교수이며 전문분야는 디지털 워터마킹 및 포렌식 분야이다.[2][3] 그녀는 1987년 프라하 체코 공과대학 에서 응용수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95년 빙엄턴 대학에서 시스템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2] 2018년에 미국 발명가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4]

  1. “Jessica Fridrich - Speedsolving.com Wiki”. 《www.speedsolving.com》. 2023년 8월 15일에 확인함. 
  2. “Jessica Fridrich”.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2002년 2월 14일. 2018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9일에 확인함. 
  3. Bio:Jessica Fridrich 보관됨 2010-03-04 - 웨이백 머신, Binghamton University
  4. Flores, Rachel (2018년 12월 12일). “Binghamton University faculty member elected Fellow of the National Academy of Inventors”. Binghamton University. 2022년 1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