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431원정정찰대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431원정정찰대대
431st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
활동 기간
  1. 1943년 5월 14일 ~ 1949년 4월 1일
  2. 1952년 11월 1일 ~ 1964년 5월 18일
  3. 1964년 7월 25일 ~ 1970년 10월 30일
  4. 1976년 1월 15일 ~ 1978년 10월 1일
  5. 1980년 10월 1일 ~ 1992년 6월 30일
  6. 2025년 9월 29일 ~ 활동 중
창설1943년 5월 15일
국가미국의 기 미국
소속미국 미국 공군
종류항공 정찰부대
역할무인 정찰기 운용
규모대대
본부대한민국 군산 공군기지
마스코트뿔달리고 수염난 붉은 악마
장비기종 문단 참조
참전
지휘관
중령대대장

제431원정정찰대대(영어: 431st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는 주한 미국 공군 제7공군군산 공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MQ-9 리퍼 무인 정찰기 대대이다.

이 부대는 태평양 전쟁 당시의 제431전투비행대대부터 냉전 당시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F-111 아드바크를 시험평가하던 제431시험평가대대까지 계보를 잇는다.[1]

역사

[편집]

태평양 전쟁

[편집]

1943년 5월 14일,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의 앰버리 비행장에서 제5공군록히드 P-38J 라이트닝 전투기 부대로서 창설되었다.

종전 이후, 점령군 임무 순례

[편집]

공식적으로 종전이 선언된 1945년 8월 15일 이후 같은 해9월 22일에, 극동공군제315항공사단 산하 제308폭격비행단의 점령 임무를 돕기 위해 대한민국의 서울 비행장으로 건너갔다. 이듬해 1946년 1월 7일 김포 비행장으로 건너갔으며, 거기서 초장거리 항행이 가능한 P-51H 머스탱으로 기종을 바꾸었다. 이후, 점령 임무에서 벗어나 1947년 3월에 일본의 나고야 비행장, 1948년 8월에 이타즈케 비행장로 차례대로 건너가 8월 10일에 제475전투비행단 산하 부대로 전속하였다. 1949년 4월 1일, 일본 아시야 비행장에서 해산하였다.

냉전

[편집]

전투기 무장 대대

[편집]

1980년 10월 1일, 공군군수사령부의 지원창인 캘리포니아주의 맥클레랜 공군기지에서 F-111의 시험 평가 및 개조 임무를 맡고 있던 제57전투무장비행단 제3분견대의 임무를 이양받고,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 아드바크 전투기 무장 부대로서 재소집되었다. F-111A/D/E/F 모델의

1980년 10월 1일, 제431시험평가비행대대로 재편성되었다.

냉전이 끝나고 F-111이 퇴역할 때까지 활동하다가 1992년 6월 30일에 해산하였다.

주한 미군

[편집]

2025년 9월 28일, 대한민국 군산 공군기지에서 MQ-9 리퍼를 운용하는 무인 정찰기 부대인 제431원정정찰대대로서 재소집되었다.[2] 이전에는 한미연합훈련을 목적으로 미국 본토의 무인기부대가 방문하였으나, 제431원정정찰대대가 주한 미국 공군부대로서 한반도에 배치되었다.[3] 더글러스 J. 슬레이터 중령이 대대장에 취임하였다.[4]

사진첩

[편집]

기록

[편집]

계보

[편집]
  • 1943년 5월 14일, 특별 권한 prior에 의해 431st Fighter Squadron→제431전투비행대대로서 활동을 시작함.
    1943년 5월 15일, 구상됨.
    1949년 4월 1일, 해산함.
  • 1952년 9월 11일, 431st Fighter-Interceptor Squadron→제431전투요격비행대대로 재편성됨.
    1952년 11월 1일, 활동을 시작함.
    1964년 5월 18일, 해산함.
  • 1964년 7월 25일, 431st Tactical Fighter Squadron→제431전술전투비행대대로 재편성되어 활동을 시작함.
    1970년 10월 30일 , 해산함.
  • 431st Tactical Fighter Training Squadron→제431전술전투훈련비행대대로 재편성되어 활동을 시작함.
    1978년 10월 1일 , 해산함.
  • 1980년 10월 1일, 431st Fighter Weapons Squadron→제431전투무장대대로 재편성되어 활동을 시작함.
  • 1981년 12월 30일, 431st Test and Evaluation Squadron→제431시험평가대대로 재편성됨.
  • 2025년 9월 28일, 431st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제431원정정찰대대로 재편성됨.

소속

[편집]
  1. 제475전투비행전대; 1943년 5월 14일 ~ 1949년 4월 1일
    제347전투비행전대에 배속됨; 1947년 11월 15일 ~ 1948년 8월 28일
  2. 제4708방어단; 1952년 11월 1일
  3. 제575방공비행전대; 1953년 2월 16일
  4. 제17공군; 1953년 7월 10
  5. 제1603항공수송(제727항공기지)단; 1953년 7월 20일
  6. 제727작전전대; 1958년 3월 1일
  7. 제65항공사단; 1958년 9월1일
  8. 미국 유럽 공군
    제86항공사단에 배속됨; 1960년 7월 1일 ~ 1964년 5월 18일
  9. 제8전술전투비행단; 1964년 7월 25일 ~1965년 12월 6일
    제479전술전투비행단에 배속됨; 1965년 12월 6일; 1968년 6월 14일
  10. 제479전술전투비행단 1968년 6월 15일 ~ 1970년 10월 30일
  11. 제35전술전투비행단; 1976년 1월 15일 ~ 1978년 10월 1일
  12. 제57전투무장단; 1980년 10월 1일 ~ 1992년 6월 6월 30일

기지

[편집]
  1.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채터스 타워스 앰버리 비행장; 1943년 5월 14일
  2. 뉴기니 도보두라 비행장 복합단지; 1943년 8월 14일
  3. 뉴기니 포트모르즈비 비행장 복합단지; 1943년 8월 8일 ~ 10월 3일
  4. 뉴기니 나드잡 비행장 복합단지; 1944년 3월 26일
  5. 뉴기니 훌란디아 비행장 복합단지; 1944년 5월 13일
  6. 네덜란드령 동인도 비아크 프란스 카이시에포 공항; 1944년 7월 15일
  7. 필리핀 레이테 둘라그 비행장; 1944년 11월 9일
    필리핀 산호세(분견대)
    필리핀 민도로; 1945년 2월 5일 ~ 3월 4일
  8. 필리핀 루손 클라크 비행장; 1945년 2월 28일
  9. 필리핀 루손 링가옌 비행장; 19 April 1945년 4월 19일
  10. 일본 이에지마 비행장; 945년 8월 5일
  11. 대한민국 김포 공군기지; 1945년 10월 5일
  12. 일본 다치카와 공군기지; 1947년 2월 20일
  13. 일본 이타즈케 비행장; 1947년 11월 15일
  14. 일본 아시야 공군기지; 1949년 4월 1일 ~ 3월 25일
  15. 미시건주 셀프리지 공군기지; 1952년 11월 1일 ~ 1953년 6월 23일
  16. 리비아 윌루스 공군기지; 1953년 7월 20일 ~ 1958년 9월 3일
  17. 스페인 사라고사 공군기지; 1958년 9월 3일 ~ 1964년 5월 18일
  18. 캘리포니아주 조지아 공군기지; 1964년 5월 18일 ~ 1970년 10월 30일; 1976년 1월 15일 ~ 1978년 10월 1일
  19. 네바다주 낼리스 공군기지; 1 October 1980년 10월 1일 ~ 1992년 6월 30일
  20. 캘리포니아주 맥클레랜 공군기지;
  21. 미네소타주 캐논 공군기지; 1990년대 초

기종

[편집]
  1. P-38 라이트닝; 1943년 ~ 1946년
  2. P-51 머스탱; 1946년 ~ 1949년; F-51; 1952년 ~ 1953년
  3. F-86D 세이버 요격기; 1953년 ~ 1960년
  4. F-102 델타 데거, 1960년 ~ 1964년
  5. F-4 팬텀 II, 1964년 ~ 1970년; 1976~1978년
  6. F-111 아드바크; 1980년 ~ 1992년
  7. MQ-9 리퍼; 2025년 9월 29일 ~

인용

[편집]
  1. 정충신 (2025년 9월 29일). “주한미군, ‘하늘의 암살자’ 세계 최강 킬러드론 ‘리퍼’ 운용 제431원정정찰대대 군산기지에 창설”. 문화일보.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2. Pierce, Caleb (2025년 9월 29일). “431st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 activates, hosts assumptions of command” (미국 영어). Seventh Air Force Public Affairs.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3. 김문경 (2025년 9월 29일). '하늘의 암살자' MQ-9 정찰대대 군산에 첫 창설”.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4. 김호준 (2025년 9월 29일). “미군, '하늘의 암살자' MQ-9 무인기 한반도 배치 공식 확인”.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