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군단 (대한민국)
보이기
| 제6군단 | |
|---|---|
| 第六軍團 | |
| 활동 기간 | 1954년 5월 1일 ~ 2022년 11월 30일[1] |
| 국가 | |
| 소속 | |
| 종류 | 군단 |
| 별칭 | 진군부대(進軍部隊) |
| 지휘관 | |
| 주요 지휘관 | 백인엽 |
제6군단(第六軍團, 영어: Republic of Korea VI Corps)은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 주둔했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며, 상징명칭은 진군부대(進軍部隊)이다.
1954년 5월 1일 창설되었으며,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22년 11월 30일에 해체되었다.[2][1]
편성
[편집]- 구성부대
- 예하부대
- 제5기갑여단 "철풍"
- 제6공병여단
- 제6포병여단
- 제106정보통신단
- 제761통신대대
- 제762통신대대
- 제306경비연대
- 본부근무대
- 제706특공연대
- 제16화생방대대
- 제146정보대대
- 제516방공대대
- 지원부대
소속
[편집]역대 군단장
[편집]| 역대 | 성명 | 계급 | 취임일 | 이임일 |
|---|---|---|---|---|
| 초대 | 미상 | 미상 | ||
| 2대 | 백인엽 | 중장 | ||
| 3대 | 강영훈 | |||
| 4대 | 김웅수 | |||
| 5대 | 최홍희 | |||
| 6대 | 김계원 | 대장 | ||
| 7대 | 정래혁 | 중장 | ||
| 8대 | 한신 | 대장 | ||
| 9대 | 김희덕 | 중장 | ||
| 10대 | 이세호 | 대장 | ||
| 11대 | 박원근 | 중장 | ||
| 12대 | 이소동 | 중장 | ||
| 13대 | 김용휴 | |||
| 14대 | 이재전 | |||
| 15대 | 신현수 | |||
| 16대 | 강영식 | |||
| 17대 | 김홍한 | 대장 | ||
| 18대 | 안필준 | |||
| 19대 | 박명철 | 중장 | ||
| 20대 | 나병선 | |||
| 21대 | 임인조 | |||
| 22대 | 김재창 | 대장 | ||
| 23대 | 최경근 | 중장 | ||
| 24대 | 이재관 | 대장 | ||
| 25대 | 서경석 | 중장 | ||
| 26대 | 김판규 | 대장 | ||
| 27대 | 서종표 | |||
| 28대 | 미상 | 미상 | ||
| 29대 | ||||
| 30대 | ||||
| 31대 | 정두근 | 중장 | ||
| 32대 | 이홍기 | 대장 | ||
| 33대 | 서길원 | 중장 | ||
| 34대 | 김학주 | |||
| 35대 | 이범수 | |||
| 36대 | 박종진 | 대장 | ||
| 37대 | 김성진 | 중장 | ||
| 38대 | 김성일 | |||
| 39대 | 박양동 | |||
| 40대 | 강건작 | ? | 2022년 11월 30일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사설]접경지 경제 회생, 국토관리 차원에서 이뤄져야”. 강원일보. 2019년 8월 16일. 2023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김관용 (2022년 12월 4일). “육군, 13년만의 군단 해체…이기자 부대도 역사 속으로”. 이데일리. 2023년 6월 27일에 확인함.
- “VI ROK Corps” (영어). 《globalsecurity.org》. 2023년 6월 27일에 확인함.
|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부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