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4전투기항공군단
보이기
제64전투기항공군단 | |
---|---|
64-й истребитель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корпус | |
![]() | |
활동 기간 | 1950년~1953년 |
창설 | 1950년 11월 14일 |
해체 | 1956년 |
국가 | ![]() |
충성 | ![]() ![]() |
소속 | 조선인민군 공군/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
병과 | 공군 |
규모 | 장교 844명, 기타 인원 2,427명[1] |
주둔지 | 중화인민공화국 선양시 |
장비 | 미코얀구레비치 MiG-15 |
참전 | 6.25 전쟁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제64전투기항공군단은 6.25 전쟁 당시 소련이 비밀리에 파견한 공군 부대로, 조선인민군 공군 및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부대였다. 1950년 6월 6.25 전쟁이 발발했다. 1950년 10월 11일, 스탈린은 중국 인민지원군 부대가 북한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소련 공군의 미코얀구레비치 MiG-15 전투기를 파견하는 것에 동의했다.[2] 이들 전투기는 압록강의 다리와 수력발전소, 북한의 시설, 그리고 중국 공산군의 후방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군단 소속 조종사들은 중국 공산군과 북한 조종사들을 훈련시키기도 했다.[3] 1950년 11월 1일부터 소련의 MiG-15 전투기들은 압록강 상공에서 방어 순찰을 시작했다. 제64전투기항공군단은 11월 14일에 창설되었으며, 제28근위전투항공사단, 제50근위전투항공사단, 제151근위전투항공사단으로 구성되었다.[4] 초대 지휘관은 이반 벨로프소장이었다.[5][6]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이후, 군단은 한국에서 철수했다. 이후 페트로자보츠크로 이동하여 제22항공군에 소속되었다. 군단은 1956년에 해체되었다.[7]
각주
[편집]- ↑ “64th Fighter Aviation Corps in Korea”. Skywar.ru.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Zhang, Xiaoming (2002년 1월 1일). 《Red wings over the Yalu: China, the Soviet Union, and the air war in Korea》. Texas A&M University Press. ISBN 9781585442010.
- ↑ Popov, Lavrenyov and Bogdanov, p. 263
- ↑ Dorr, Robert F.; Davey, Chris (2013년 2월 20일). 《Korean War Aces》. Osprey Publishing. ISBN 9781472800565.
- ↑ “Краткий анализ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64-го ИАК на Корейском ТВД – Советские асы Корейской войны 1950 – 1953 гг.” [A brief analysis of the fighting of the 64th IAK in the Korean theater – Soviet Aces of the Korean War in 1950 – 1953.]. 《soviet-aces-1936-53.ru》 (러시아어). 2016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Polak, Tomas (1999년 1월 1일). 《Stalin's Falcons》. Grub Street. ISBN 9781902304014.
- ↑ Holm, Michael. “22nd Air Army”. 《ww2.dk》. 2016년 1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