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조건부 자존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건부 자존감(contingent self-esteem, CSE) 혹은 조건적 자존감은 타인의 인정이나 사회비교(social comparison)에 기반한 자존감(self-esteem)을 말한다. 자기가치(self-worth)의 기반을 특정 사건의 결과물(outcome)에 둘 때, 특정 사건들은 그 사람의 자존감을 구축한다.[1] 어떤 상황의 성공이나 실패는 자존감의 부침을 가져온다.[1] 조건부 자존감이 나타난 것은 과도한 자의식(excessive self-consciousness)이다. 이러한 과도한 자의식은 조건부 자존감과 함께 일어나는 것처럼, 자기에 대한 극단적인 비난, 또래가 어떻게 자신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걱정, 사회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감을 반영한다.[1] 우발적 사건(contingency)이 자기가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때, 자존감은 직접 영향을 받는다. 또한 자신의 외양이나 성공이 타인의 그것과 비교할 될 때, 혹은 이들의 자존감이 주변 관계에 영향을 받을 때, 자존감은 영향받을 수 있다.

자존감과 조건부 자기가치

[편집]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자신의 저널 The Principles of Psychology에서, 자존감은 안정적이고 불안정한 특질(trait)이 될 수 있다고 보았디.[2] 개인의 자존감은 여러 사건에 반응하여 동요한다는 것이다.[2] 남녀 모두 어떠한 사건이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선택적이기도 하다.[2] 이러한 자존감의 불안정성은 조건부 자기가치(contingent self-worth)를 가진 결과이다.[2] 좋거나 나쁜 사건은 자존감의 느낌을 일시에 일으키거나 저하할 수 있다.[2] 이런 동요는 성공으로 인한 긍정적인 느낌을 찾게 하고, 반대로 실패로 인한 부정적인 느낌을 피하게 할 수 있다.[2] 따라서, 자기가치감의 조건성은 한 사람의 행동을 통제한다.[2]

자존감 기반을 학업 성공에 둔 학생들은 자신의 지능을 입증하고자 학교 공부를 이용한다.[2] 조건성 영역에서의 실패는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에, 학생들은 노력을 늘리거나, 목표를 버리거나, 완전히 동기부여가 안 된 상태가 되거나, 자존감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고자 핑계를 만들어 실패를 피한다.[2] 제니퍼 크로커(Jennifer Crocker)는 자신의 저널 Contingencies of self-worth: Implications for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vulnerability에서, 자기가치의 조건성은 동기부여의 근원이자 심리적 취약성(psychological vulnerability)으로 사용된다고 말한다.[2] 이는 자기가치감의 조건성은 성공을 위해 노력하거나 자존감을 약화하도록 조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2] 자기가치감의 조건성은 조건성 영역에서의 능력에 대한 타당화(validation)에 의한 것이며, 학생은 특정 영역의 조건성에 관한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쏟는다.[2] 자기타당화(self-validation)가 있다면, 목표, 실패, 비난, 부정적 피드백은 학습의 기회가 아니라 위협으로 간주된다.[2] 해결책은 자기타당화라는 목표를 학습이라는 목표(learning goal)로 대체하는 것이다. 자기와 주변의 타인 모두에게 좋은 목표를 세우는 것은 조건부 자존감의 타격을 줄일 것이다.[2]

외모 관련 사회비교

[편집]

조건부 자존감 수준이 높은 사람은 외모에 기반을 둔 사회비교(social comparison)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이들은 위축되는 경향이 높다.[3] '외모 관련 사회비교(appearance related social comparisons)'는 스스로 인지하는 외모를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는 것이다.[3] 사회비교를 하는 이들은 자기가치감 기반을 사회 기준과 기대에 두는 경향이 있다.[3] 외모 관련 사회비교는 긍정적 방식과 부정적 방식으로 자존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긍정적인 부분에서 외모 관련 사회비교는 자기가치감 개발과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부정적인 부문에서 외모 관련 사회비교는 자기가치와 가치관을 줄일 수 있다.[3] 문화적 기준에 기반을 두고 자기가치를 측정하는 여성은 사회비교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며, 특히 이들이 신체적 매력(physical attractiveness)의 자기인지(self-perception)가 낮을 때 더욱 그러하다.[3]

미디어의 이미지는 비현실적인 미, 특히 여성의 미의 기준을 만들어 낸다.[3] 미디어 기준과의 비교는 부적절감을 획득하기 위한 높은 조건부 자존감을 가지게 한다. 매스미디어는 일반 남녀가 얻을 수 없는 미의 예시를 제공한다.[3] 이는 대부분 맞는 말이지만, 누구나 똑같이 미디어 속 비현실적 미의 기준과 주변 사람과의 사회비교에 영향 받는 것은 아니다.[3] 외모에 대한 자기인식은 자기의 미를 평가하는 방식이다.[3] 외모에 대한 자기인식이 낮은 여성은 미디어 속 "이상적인" 이미지의 여성을 본 후에 더욱 불만족스러워 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문제는 남성에게서도 보일 수 있지만 여성만큼 지배적이고 광범위하지는 않다.[3] "Media Images and Women's Self-evaluations"이라는 저널에서, 연구자 D. 헨더슨-킹(D. Henderson-King), E. 헨더슨 킹(E. Henderson-King), 호프만(L. Hoffman)은 여성이 신체적 매력에 두는 중요성은 미디어 속 이미지와 관련 있다고 밝혔다.[3]

신체 이미지

[편집]

신체 이미지는 아동과 젊은 성인에게 매우 중요한 발달상의 걱정거리이다.[4] 이 영역에서 보이는 조건부 자존감은 자기상이 타인의 인정, 사회적 기대 충족, 기타 기준에 따라 좌우될 때에 드러난다.[4] 높은 조건부 자존감은 타인의 수용을 신체 이미지에 대한 이상적 기준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4] 자기가치 기반을 외부 이미지라는 조건에 따라 좌우되도록 둔 사람은 외모 표준에 도달하여 사회적 수용을 획득하는데 많은 시간을 시용하기도 한다.[4] 이러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자기평가는 자신의 정신 건강(mental health)과 부정적 관계를 맺는다.[4]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남녀의 태도와 행동에 큰 영향을 준다.[4] 서구 여성은 날씬함이 문화적 규준이라고 믿는 반면, 남성은 체중과 근육을 얻으려 애쓰고 있다.[4] 남녀 모두 낮은 BMI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여 "사회"와 잘 지내고자 한다.[4] 조엘 그로스바드(Joel R. Grossbard), 크리스틴 리(Christine M. Lee), 클레이튼 네이버스(Clayton Neighbors), 메리 라리머(Mary E. Larimer)는 신체 이미지 걱정에서 젠더차와 조건부 자존감의 신체 불만족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4] 결과는 대학교 여학생은 체중과 신체에 더 관심을 보이지만 남학생은 남성성에 더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4] 조건부 자존감과 체중 및 체형의 상관성 연구에서, 남성에 비하여 여성이 체중/체형에 관한 걱정이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4] 반면, 조건부 자존가과 남성성의 상관성 연구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근육량에 관한 관심이 더 컸다는 것이 밝혀졌다.[4]

관계 조건부 자존감

[편집]

관계 조건부 자존감(Relationship contingent self-esteem, RCSE)은 휴스턴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 칩 니(Chip Knee) 등이 연구한 심리적 장애(psychological disorder)이다.[5] RCSE는 한 사람이 인간관계의 결과물에 기반하여 자신에 대하여 어떻게 느낄지 결정하는 방식이다.[5] RCSE 소유자는 관계에서의 문제를 자기 방식대로(personally) 사고한다.[6] 이들은 상황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이는 결국 자신에 대하여 나쁘게 생각하는 결과를 가져다 준다.[6] 한 관계에서 발생한 실패는 우울, 불안, 기분 변화 등 부정적인 느낌을 많이 일으킨다.[5] 관계 기반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관계에 많이 전념하지만, 관계에서 발생하는 난제들에 직면하면 황폐해질 정도로 큰 타격을 받는다. 극단적인 경우, 이들은 자해나 자살에 이르게 된다.[6] RCSE는 관계의 부정적이고 건전하지 못한 요소로 인식되며, 초기 단계에서 그 정체가 확인되면 그 요소는 조정할 수 있다.[5]

칩 니와 연구자 집단은 또한 대학생의 이성관계와 RCSE가 이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5] 이들은 이 연구 결과를 “Relationship Contingent Self-Esteem – The Ups and Downs of Romantic Relationship”라는 논문으로 제출하였다.[5] RCSE는 이 관계들 중 일부에 나타났지만, 일부 관계에서의 RCSE 수치는 다른 관계보다 높았다.[5] RCSE 수치가 높은 관계들은 불필요한 긴장(unnecessary strain) 하에 놓여 있었다.[6] 연구 핵심은 관계가 사람의 사고, 감정, 행동을 어떻게 이끄는지, 그리고 사람들이 관계에 자신을 예속하게 하는 건강하지 못한 방식을 보여주는 데에 있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nee, Chip; Amber L. Bush; Amy Canevello; Astrid Cook (2008). “Relationship-Contingent Self-Esteem and the Ups and Downs of Romantic Relationships”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3): 608–627. CiteSeerX 10.1.1.579.4024. doi:10.1037/0022-3514.95.3.608. PMID 18729698. 2012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2. Crocker, Jennifer; Katherine M. Knight (2005). “Contingencies of Self-Worth” (PDF).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 (4): 200–203. doi:10.1111/j.0963-7214.2005.00364.x. S2CID 24085041. 201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3. Patrick, Heather; Clayton Neighbors; C. Raymond Knee (2004년 4월 1일). “Appearance-Related Social Comparison: The Role of Contingent Self Esteem and Self Perceptions of Attractiveness” (PD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 (4): 501–514. doi:10.1177/0146167203261891. PMID 15070478. S2CID 18014585. 201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4. Grossbard, Joel R.; Christine M. Lee; Clayton Neighbors; Mary E. Larimer (2008년 9월 13일). “Body Image Concerns and Contingent Self Esteem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ex Roles》 60 (3–4): 198–207. doi:10.1007/s11199-008-9535-y. PMC 5614448. PMID 28959088. 
  5. Science Daily. “Too Much Commitment May be Unhealthy for Relationships, Professor Says”. ScienceDaily LLC. 2011년 10월 20일에 확인함. 
  6. Vjeru, Tudor. “Wrong Kind of Commitment Undermines Relationships”. Softpedia. 2011년 10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