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관계
![]() | |
![]() 쿠바 |
![]() 북한 |
---|---|
외교 공관 | |
주조 쿠바 대사관 | 주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
사절 | |
대사 에두아르도 루이스 코레아 가르시아 | 대사 한수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관계(스페인어: Relaciones cubanas-coreanas del norte, 문화어: 꾸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바의 양자 관계이다.
쿠바는 1960년 8월 29일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외교적 관계를 맺어오고 있으며, 양국은 모두 각 수도에 대사관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1][2]
역사
[편집]쿠바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가장 오래된 동맹국 중 하나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론은 쿠바인들을 사회주의 이념에 대하여 공동 연대하는 동지들로 묘사하고 있다.[4] 냉전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바는 미국의 힘에 반대하는 호전적 입장을 바탕으로 연대의 유대감을 형성했다,[5] 두 국가 모두 미국의 경제 제재를 받았으며, 사회주의 이념을 신봉한다는 공통 분모를 공유하고 있다.
1960년 당시 쿠바 정부 총리였던 체 게바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쿠바가 따라야 할 모델이라고 선언했다.[2] 1968년에 피델 카스트로의 동생 라울 카스트로는 그들의 견해가 "모든 면에서 완전히 동일하다"고 말했다.[5] 쿠바의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가 1986년에 방문했다.[6] 쿠바는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함으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연대를 보인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5]
피델 카스트로는 1980년대에 "노련하고 나무랄 데 없는 투사였던 김일성이 우리에게 AK-47 소총 10만 정과 그에 상응하는 탄약을 한 푼도 받지 않고 보내주었다"고 회고록에 작성하였다.[7]
2013년에는 파나마 운하를 운항하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박 청천강호가 파나마 운하청에 수색을 받아 쿠바에서 무기를 운반하던 사실이 발견됐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수리해 반환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8] 이 선박은 협상 이후 나중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반환되었다.[9][10]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바는 물물교환 무역 제도를 수립했다. 2016년에도 조선노동당 과 쿠바공산당은 관계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회동했다.[3] 2016년 피델 카스트로 사망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3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그의 장례식에 공식 대표단을 파견했다.[6] 이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주재 쿠바 대사관을 방문해 조문을 표했다.[11]
2018년에는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신임 대통령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며, 사회주의 연대와 제재에 대한 반대 의지를 표명하였다.[12][13] 김정은 위원장은 디아스카넬 대통령의 생일에 축하 조화를 쿠바대사관 대사를 통해서 전달하기도 하였다.[14]
2024년에 대한민국과 쿠바 간의 수교 협상 당시, 이를 저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5]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무산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이에 기존 대사 마철수의 임기가 2024년 3월에 끝났음에도 후임자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았다.[16] 이후 2024년 8월에 한수철 대사를 새로이 임명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ertz, Daniel; Oh, JJ; Kim, Insung (August 2016). 《Issue Brief: DPRK Diplomatic Relations》 (PDF).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8쪽. 28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9 January 2017에 확인함.
- ↑ 가 나 Cumings, Bruce (1997).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New York: W Norton & Company. 394쪽.
- ↑ 가 나 Ramani, Samuel (2016년 6월 7일). “The North Korea-Cuba Connection”. The Diplomat.
- ↑ “DPRK-Cuba relations showcase mutual support and solidarity”. The Pyongyang Times. 2016년 8월 27일.
- ↑ 가 나 다 Young, Benjamin R (2016년 8월 28일). “Revolutionary Solidarity: Castro's cozy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NK News.
- ↑ 가 나 “N.K. declares 3-day mourning over ex-Cuban leader Castro's death”. Yonhap News Agency. 2016년 11월 28일.
- ↑ Iaconangelo, David (2013년 8월 14일). “Fidel Castro Says North Korea Sent Cuba Free Weapons During Cold War”. 《Latin Times》. 2018년 1월 6일에 확인함.
- ↑ Castillo, Mariano; Shoichet, Catherine E.; Oppmann, Patrick (2013년 7월 17일). “Cuba: 'Obsolete' weapons on ship were going to North Korea for repair”. CNN.
- ↑ Byrne, Leo (2014년 1월 17일). “North Koreans ready to pay for arms smuggling ship and crew: North Korean Foreign Ministry agrees to pay $666,666 fine”. 《NK News.com》. 2014년 2월 17일에 확인함.
- ↑ Byrne, Leo (2015년 12월 10일). “OFAC's new sanctions on N. Korean shipping”. NK News. 2015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DPRK leader conveys condolences over passing of Fidel Castro”. Xinhua. 2016년 11월 29일. 2016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uban President Meets North Korea's Kim Jong Un as Part of First Overseas Tour”. Time. 2018년 11월 4일. 2018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uban president meets North Korea's Kim Jong Un in Pyongyang”. 《AP NEWS》. 2018년 11월 5일. 2020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Archived cop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PKK. 2021년 4월 22일. 2021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북한은 뇌물 공화국”…사선 넘어온 북한 외교관의 폭로 ③ [뒷北뉴스]”. 2024년 8월 9일에 확인함.
- ↑ “한국 수교때문인가…북한 대사, 형제국가 쿠바 5년만에 떠나”. 2024년 3월 17일. 2024년 8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