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익
조태익 조태익 | |
|---|---|
| 국적 | 대한민국 |
| 시민권 | 대한민국 |
| 직업 | 외교관 |
| 활동 기간 | 1990–현재 |
| 고용주 | 대한민국 외교부 |
| 소속 |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
| 현직 |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 |
| 전직 | 주탄자니아 대한민국 대사 |
| 칭호 |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 |
| 칭호 기간 | 2023년 5월 30일–현재 |
| 전임자 | 구홍석 |
| 조태익 | |
|---|---|
| 한글 표기: | 조태익 |
| 개정 로마자 표기: | Jo Tae-i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 T'ae-ik |
| 예일 표기: | Co Thay-ik |
| 공식 로마자 표기: | Cho Tae-ick[1][2][3] |
조태익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2023년 5월 30일 카자흐스탄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하고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의 대사로 재직 중이다.[2] 2018년 12월 주탄자니아 대한민국 대사로 부임하여 2021년 말까지 재임했다.[4][5]
경력
[편집]- 1990년: 외무부 입부.[6]
- 1990년대–2010년대: 주러시아 2등서기관·주노르웨이 1등서기관·주오스트리아 참사관·재외동포영사제도과장·주아랍에미리트 참사관·주이란 공사참사관 등 역임.[6]
- 2018년 12월 7일–2021년 12월 28일: 주탄자니아 대한민국 대사 부임 및 재임.[4][5]
- 2023년 5월 30일–현재: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아스타나). 전임: 구홍석.[2]
외교 활동
[편집]경제·투자 협력
[편집]조태익은 부임 초기부터 양국 간 인프라·산업 협력 확대를 위한 접점을 넓혔다. 2023년 8월 카자흐스탄 물산업 협력 세미나에서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수자원·환경 분야 협력 확대를 강조했고,[7] 2024년 4월에는 카자흐인베스트 및 카자흐스탄 외무부 투자위원회와 면담하여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8] 2025년 2월 카자흐스탄 부총리 겸 외교장관 무라트 누르뜰레우와의 회담에서는 경제·투자 및 광물 공급망 협력의 진전을 점검했다.[9]
교육·과학 협력
[편집]부임 직후 카즈구(Maqsut Narikbayev KazGUU) 등 고등교육기관과의 교류를 점검하고 ‘코리아 코너’ 등 한국학 인프라를 확인했다.[10] 2024년 2월에는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 장관과 면담하여 대학 간 협력, 장학·연수 프로그램, 한국어 교사 파견 관련 협약 추진 등을 논의했다.[11]
다자·안보 협력
[편집]2023년 12월 아시아상호협력신뢰구축회의(CICA) 사무국에 대한 대한민국의 자발적 분담금 제공과 관련하여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대(對)CICA 협력을 확인했다.[3] 또한 대테러 분야에서 유엔 대테러사무소(UNOCT)와 외교부 공동 행사에 관여하는 등 국제안보 의제에도 참여했다.[12]
문화·스포츠 외교 및 공공외교
[편집]2025년 8월 세계태권도연맹(WT) 조정원 총재 등과의 교류를 통해 카자흐스탄 내 태권도 저변 확대와 한류 기반 공공외교를 지원했다.[13] 같은 해 9월 수자원·물산업 협력 세미나 등 민관 연계 현장 협력에도 참여했다.[14]
외교 기조
[편집]조태익은 카자흐스탄을 중앙아시아에서 한국의 핵심 투자 파트너로 규정하고 실용 협력과 상생을 강조한다. 이러한 기조는 수자원·인프라·고등교육·핵심광물 등 실물 분야의 협업 구체화로 연결되었다.[7][8][9]
카자흐스탄 부임 및 신임장 제출
[편집]신임장은 2023년 5월 30일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은 같은 시기 공식 채널을 통해 부임 및 신임장 사본 제출 일정을 공지했다.[15]
탄자니아 재임
[편집]탄자니아 재임 중에는 동아프리카공동체(EAC)와의 협력 의제에서 한국 정부의 지역 통합 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16] 2019년 5월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부터 신임장을 수여받고 공식 업무를 개시했다.[5]
각주
[편집]- ↑ 영문 공식 표기는 카자흐스탄 대통령실과 국제회의 자료에서 ‘Cho Tae‑ick’으로 병기되고, 캐즘(CICA) 사무국 보도자료에서도 동일 표기를 사용한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개정 로마자) 기준 표기는 Jo Tae‑ik이다.
- ↑ 가 나 다 라 “President Kassym-Jomart Tokayev received credentials from foreign ambassadors” (영어). 《Akorda (Presidential website of Kazakhstan)》. 2023년 5월 30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South Korea makes voluntary financial contribution to CICA” (영어). 《CICA Secretariat》. 2023년 12월 20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수교 및 역대공관장”. 《주탄자니아 대한민국 대사관》.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문 대통령, ‘조태익 주탄자니아대사 신임장 수여’”. 《뉴시스》. 2019년 5월 3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외교부 인사: 주탄자니아대사에 조태익 보건복지부 국제협력관”. 《월드코리안뉴스》. 2018년 12월 8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Kazakhstan and Korea Have Agreed to Expand Their Cooperation in the Water Industry” (영어). 《KAZAKH INVEST》. 2023년 8월 23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Issues of Investment Cooperation Discussed with the Ambassador of South Korea in Kazakhstan” (영어). 《KAZAKH INVEST》. 2024년 4월 16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Development of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was Discussed at the Kazakh Foreign Ministry” (영어). 《Government of Kazakhstan》. 2025년 2월 7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조태익 대사, M. Narikbayev 인문법학대학(KazGUU) 대학 방문”.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23년 7월 12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조태익 대사, Sayasat NURBEK 과학고등교육부 장관 면담”.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24년 2월 20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조태익 대사, 외교부·UN대테러사무소 공동 개최 행사”.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조태익 대사,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면담”.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025년 8월 14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카자흐스탄 물산업 협력 세미나 참석 소식”.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공식 페이스북》. 2025년 9월 3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주카자흐스탄대사관: 신임장 제출 관련 공지”.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공식 페이스북》. 2023년 5월 30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Korean Ambassador to Tanzania affirms Korea’s support to the EAC” (영어). 《East African Community》. 2021년 9월 1일. 2025년 10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