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
중앙아프리카 왕립 박물관의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 표본
중앙아프리카 왕립 박물관의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 표본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곡비원아목
하목: 로리스하목
과: 로리스과
아과: 포토원숭이아과
속: 포토원숭이속
종: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
(P. edwardsi)
학명
Perodicticus edwardsi
Bouvier, 1879

학명이명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Perodicticus edwardsi)는 로리스과에 속하는 야행성 곡비원류 영장류다.[2] 중앙아프리카에서 서식한다. 알퐁스 밀른-에드워즈 이름을 따서 밀른-에드워즈포토원숭이로도 알려져 있다.

분류학

[편집]

이전에는 "페로딕티쿠스 포토"(Perodicticus potto, 현재 서아프리카포토원숭이)의 아종으로 간주했지만, 2015년 연구에서는 세 종으로 나누고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했다.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는 동아프리카포토원숭이의 자매종으로 간주하는데, 약 550만 년 전인 마이오세 후기에 동아프리카 포토원숭이에서 갈라져 나왔다.[3]

IUCN 적색 목록은 미스터리한 "가짜포토원숭이"를 카메룬에서 수집한 표본이라는 소문을 근거로 동아프리카포토원숭이를 오동정한 표본으로 간주한다.[1] 반면에 미국포유류학회는 가짜포토원숭이를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를 오동정한 것으로 간주한다.[4]

분포

[편집]

나이지리아에서 동쪽으로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까지, 남쪽으로는 앙골라까지 분포한다. 나이저강은 중앙아프리카포토원숭이의 분포 범위의 서쪽 경계 역할을 하며, 서아프리카포토원숭이 분포 지역을 구분한다.[1]

보전 상태

[편집]

중앙아프리카포토언숭이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지정되었으며, 적응력이 강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 교란되지 않은 숲과 교란된 숲 모두에서 발견되며, 심지어 사람 거주지 근처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농업을 위한 삼림 벌채와 야생동물 고기 거래를 위한 채집으로 인해 지역적인 개체 수 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

각주

[편집]
  1. Svensson, M.; Pimley, E. (2019). Perodicticus edwardsi. 《IUCN 적색 목록》 (IUCN) 2019: e.T136852A91996061. doi:10.2305/IUCN.UK.2019-3.RLTS.T136852A91996061.en.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2.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23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3. Pozzi, Luca; Nekaris, K. Anne-Isola; Perkin, Andrew; Bearder, Simon K.; Pimley, Elizabeth R.; Schulze, Helga; Streicher, Ulrike; Nadler, Tilo; Kitchener, Andrew; Zischler, Hans; Zinner, Dietmar (2015). “Remarkable ancient divergences amongst neglected lorisiform primates” (영어).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5 (3): 661–674. doi:10.1111/zoj.12286. ISSN 1096-3642. PMC 4744660. PMID 26900177. 
  4. Perodicticus potto (P. L. S. Müller, 1766)”. 《ASM Mammal Diversity Databas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