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재그
보이기


지그재그(zigzag, 문화어: 톱날)는 두 평행선 사이의 경로를 따라가는, 지그재그 내에서는 일정하지만 가변적인 각도를 가진 작은 모서리로 이루어진 패턴이다. 들쭉날쭉하면서도 상당히 규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하학에서는 이 패턴을 기울어진 아페이론이라고 한다. 대칭 관점에서 볼 때, 규칙적인 지그재그는 선분과 같은 단순한 모티프에 미끄럼 반사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단어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7세기 후반 프랑스어 서적과 단행본에 처음으로 인쇄되어 나타났다.[1]
유의어로는 갈지자형(-之字形)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지그재그의 예시
[편집]


- 삼각파 또는 톱니파의 궤적은 지그재그이다.
- 핑킹 가위는 천이나 종이를 올이 풀리는 것을 줄이기 위해 지그재그 모양으로 자르도록 설계되었다.[2]
- 바느질에서 지그재그 스티치는 지그재그 패턴의 기계 스티치이다.[3]
- 지그재그 아치는 이슬람 건축, 비잔틴 건축, 노르만 건축 및 로마네스크 건축에 사용되는 건축 장식이다.[4][5]
- 지진학에서는 지진계를 사용하여 기록된 지진이 "지그재그 선" 형태로 나타난다.[6]
각주
[편집]- ↑ Liberman, Anatoly (2009). 《Word Origins...And How We Know Them: Etymology for Everyone》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USA. ISBN 978-0-19-538707-0.
- ↑ Shepler, Missy; Brent, Rebecca (2011).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Sewing》 (영어). Penguin. 84쪽. ISBN 978-1-101-51368-2.
- ↑ Gardiner, Wendy; Knight, Lorna (2011). 《The Sewing Machine Accessory Bible: Get the Most Out of Your Machine---From Using Basic Feet to Mastering Specialty Feet》 (영어). Macmillan. 34-35쪽. ISBN 978-0-312-67658-2.
- ↑ Allen, Terry (1986). 〈4〉. 《A Classical Revival in Islamic Architecture》. Wiesbaden.
- ↑ Allen, Terry (2008). 《Pisa and the Dome of the Rock》 (electronic publication) 2판. Occidental, California: Solipsist Press. ISBN 978-0-944940-08-2. 2012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Seismograph - What is a seismograph?”. 《SMS-Tsunami-Warning.com》. 2023년 1월 8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Wedgwood, Hensleigh (1855). 《On Roots mutually connected by reference to the term Zig-zag》. 《Transactions of the Philologic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