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보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보단 S.A.
형태공개 회사
스위스: GIVN
창립1895년(130년 전)(1895)
ISINCH0010645932
산업 분야향미료, 방향화합물
본사 소재지스위스 제네바주 베르니에
웹사이트www.givaudan.com

지보단 S.A.(Givaudan S.A.)는 스위스의 다국적 향미, 향수 및 활성 화장품 원료 제조사이다. 2008년 기준으로, 향미 (맛)향수 산업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회사였다.[1]

개요

[편집]

이 회사의 향수와 향미는 식음료 제조업체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가정용품, 미용 및 개인 관리 제품, 향수에도 사용된다.

이 회사는 두 가지 사업 분야를 가지고 있다:

  • 맛 & 웰빙은 식품 산업(짭짤한 맛, 유제품, 과자 및 음료)을 위한 향미, 맛, 기능성 및 영양 솔루션을 제공한다.
  • 향수 & 뷰티는 향수를 만들고 개인 관리, 세탁용품, 위생, 가정용품, 고급 향수 및 미용을 위한 뷰티 및 웰빙 솔루션을 개발한다.

지보단의 향미와 향수는 일반적으로 주문 제작되며 비밀 유지 계약 하에 판매된다.[2] 지보단은 살아있는 식물에서 냄새의 화학적 구성을 포착하는 기술인 ScentTrek을 사용한다.[3] 이 회사는 유럽, 아프리카 및 중동, 북미, 라틴 아메리카 및 아시아 태평양에 지점을 두고 있다.[4] 2024년 지보단은 74억 CHF의 매출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스위스에서 30번째로 큰 상장 회사 중 하나이다. 2021년 지보단은 FoodTalks의 글로벌 Top 50 식품 향미 및 향수 회사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다.[5]

2024년, 스위스 그룹은 향수 제품에 대한 지역 수요 증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업체 TMall과 파트너십을 발표했다.[6]

이 회사의 목표인 '자연에 대한 사랑으로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창조. 함께 상상하자'는 창조, 자연, 사람, 공동체의 네 가지 영역에 중점을 둔다. 회사의 목표에는 2030년까지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에 기여하는 창조를 통해 사업을 두 배로 늘리고, 2050년 이전에 기후 긍정적인 기업이 되며, 2025년 이전에 포괄적인 선도적인 고용주가 되고, 2030년까지 환경과 사람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모든 재료와 서비스를 조달하는 것이 포함된다. 지보단의 목표 영역은 2025년 전략 및 목표와 일치한다.

지보단은 유럽 향미 협회의 회원이다.[7] 주요 경쟁사는 피르메니히, 인터내셔널 플레이버 앤 프래그런시스심라이즈이다.

역사

[편집]

1768년 그라스에 뿌리를 둔 이래 2021년 커스텀 에센스 인수에 이르기까지 지보단은 역사적인 발명 및 인수 정책을 추구해 왔다. 이 회사는 1895년 프랑스 리옹에서 레옹과 자비에 지보단에 의해 향수 회사로 설립되었다. 1898년 지보단은 제네바로 이전하여 베르니에르에 공장을 건설했다.[8][9][10] 1946년 지보단은 향수 학교를 설립하여 세계 조향사 중 3분의 1을 훈련시켰다. 1948년 이 회사는 에르솔코 SA를 인수하여 지보단을 향미 산업에도 진출시켰다.[11] 1963년 지보단은 호프만 라 로슈에 인수되었고, 1964년 로슈는 지보단의 경쟁사 중 하나인 루르를 인수했다. 루르는 1820년 프랑스 그라스에서 설립되었다. 1937년 루르는 스키아파렐리를 위해 첫 번째 디자이너 향수: 쇼킹을 만들었다.[12][13] 지보단의 원래 미국 향수 본사는 뉴저지주 티넥에 있었으며, 1972년 트럼프 타워의 건축가인 데르 스컷의 디자인으로 지어졌다.[14] 이 회사는 나중에 이스트 해노버로 이전했다.[15]

지보단-루르

[편집]

1991년 지보단과 루르가 합병하여 지보단-루르를 형성했다.[16] 또한 1991년, 이 회사는 프리츠슈, 닷지 앤 올콧을 인수했다.[11] 1997년 지보단-루르는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본사를 둔 또 다른 향미 회사인 테이스트메이커를 인수했다. 이 합병으로 지보단은 세계 최대의 향미 회사가 되었다.[11] 2000년 지보단-루르는 로슈에서 분사하여 지보단으로 스위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코드 GIVN.VX) SMI, SLISPI의 일부가 되었다.[16]

2000년대

[편집]

2002년 지보단은 네슬레의 향미 사업부인 FIS를 인수했으며,[17] 이에 대해 네슬레는 회사 지분 10%를 받았다.[18] 다음 해, 지보단은 치즈 향미 회사인 IBF를 인수했다.[11] 2004년 이 회사는 1990년대부터 진출해 있던 중국에서 사업을 확장했다.[19]

2006년 11월 22일, 지보단은 2007년 1분기까지 퀘스트 인터내셔널의 인수를 완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21][더 나은 출처 필요] 2007년 2월 21일, EU는 지보단과 퀘스트의 합병을 승인하여, 미국 당국이 이달 초 합병을 승인한 후 최종 규제 장애물을 제거했다.[22] 합병 거래는 2007년 3월 2일에 완료되었다. 이 인수는 지보단을 고급 향수와 소비자 제품 모두에서 글로벌 리더로 만들었다. 이미 향미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였으며 퀘스트 인터내셔널 인수로 그들의 입지를 강화했다.[23] 퀘스트 인수로 지보단의 매출은 2006년 2,909백만 스위스 프랑에서 2007년 4,132백만 스위스 프랑으로 42% 증가했다.[24]

2013년 네슬레는 지보단 지분을 13억 달러에 매각했다.[18] 2014년까지 이 회사는 약 46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5] 그 해, 이 회사는 퀘스트 이후 첫 인수로 솔리앙스를 인수했다.[26] 지보단은 또한 TasteSolutions Richness 향미 라인을 출시했다.[27] 또한 지보단 재단을 설립하고, 혁신적인 천연물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패출리 및 기타 재배자 수집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 관행을 수립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8][29]

2014년 이후 지보단은 네이쳐엑스, AMSilk의 화장품 사업, 알베르 비엘, 프래그런스 오일, 골든 프로그 등 약 20개의 회사를 인수했다.

2021년 지보단은 켄터키주 루이빌에 위치한 염료 및 착색제 제조업체인 D.D. 윌리엄슨을 인수했다.[30]

2022년 지보단, 기계 공학 회사인 뷔러, 그리고 미그로는 켐프탈에 컬처드 푸드 혁신 허브를 개설하기를 원했다. 그곳에서는 또한 배양육에 대한 연구도 수행될 예정이었다.[31]

2023년 3월 7일, 지보단은 유럽 및 스위스 당국의 업계 전반에 걸친 조사의 대상임을 확인했다. 조사관들은 향수 및 향수 성분 공급에서 가능한 카르텔을 조사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EU 독점 금지 규정을 위반할 경우 전 세계 매출의 최대 10%에 해당하는 벌금을 물 수 있다.[32]

지보단과 환경

[편집]

1976년 7월 10일, 이탈리아 최악의 환경 재앙인 세베소 참사로 유독 구름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다. 이탈리아 최고 법원은 주민들에게 불안에 대한 정신적 피해 보상을 명령했다. ICMESA의 모회사인 지보단은 사고로 인해 신체적 상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정화 비용과 보상금으로 1억 390만 유로(9030만 달러)를 지불했다.[33]

2024년 11월, 켄터키주 루이빌의 지보단 센스 컬러(구 D.D. 윌리엄슨)에서 폭발이 발생했다. 이 폭발로 노동자 2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부상을 입었다.[34]

각주

[편집]
  1. “Flavor & Fragrance Industry - Top 10”. 《leffingwell.com》. 
  2. Katchadourian, Raffi (2009). “The Taste Makers”. 《The New Yorker》. 23 November호. 86–99쪽. 
  3. Büscher, Bram; Davidov, Veronica (2013년 8월 15일). 《The Ecotourism-Extraction Nexus》. Routledge. ISBN 9781135945268 – google.ca 경유. 
  4. “File Viewer | Givaudan”. 2022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6월 5일에 확인함. 
  5. Fu, Rice (2021년 4월 6일). “2021年全球食用香精香料50强” [Global Top 50 Food Flavours and Fragrances Companies] (중국어). 《FoodTalks》.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6. “Parfumerie : Givaudan s'allie à TMall – Alibaba.”. 《Journal du Luxe》. 2021년 6월 5일. 2024년 5월 22일에 확인함. 
  7. “About EFFA”. EFFA. 2019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3일에 확인함. 
  8. Wolfgang Legrum (2015). 《Riechstoffe, zwischen Gestank und Duft: Vorkommen, Eigenschaften und Anwendung von Riechstoffen und deren Gemischen》. Springer-Verlag. 209쪽. ISBN 9783658073107.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9. 《Leading Sensory Innovation》 104.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2008. 77쪽.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0. Thom Votteler (2001). 《International Directory of Company Histories, Volume 43》. St. James Press. 192쪽. ISBN 9781558624610.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1. Chris Rowley; Jayantee Saha; David Ang (2011). 《Succeed or Sink: Business Sustainability Under Globalisation》. Elsevier. 72쪽. ISBN 9781780633312.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2. Bruno Ziglioli (2010). 《La mina vagante. Il disastro di Seveso e la solidarietà nazionale》 (이탈리아어). FrancoAngeli. 169쪽. ISBN 9788856828672.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3. Groom, N. (1997년 6월 30일). 《New Perfume Handbook》. Springer. ISBN 9780751404036 – google.ca 경유. 
  14. Chadderdon, Lisa. "The Sweet Smell of Success: A building in Teaneck, New Jersey is the source of some of the world's most popular fragrances. Meet Givaudan Roure's perfumers, the 'ghostwriters' behind your favorite scents.", Fast Company (잡지), March 1998. Accessed 22 August 2007. "In fact, more than 30% of the world's fine perfumes for women can be traced to Givaudan Roure - and to an inconspicuous brick building set back from the street in suburban Teaneck, New Jersey. Inside the building, designed by Der Scutt (architect of the Trump Tower) and constructed in 1972, is an environment that fosters creativity."
  15. Howard Prosnitz (2009년 11월 26일). “Major Teaneck ratable remains vacant”. North Jersey Record.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6. David Rowe (2009). 《Chemistry and Technology of Flavours and Fragrances》. John Wiley & Sons. 4쪽. ISBN 9781405148078.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7. “Nestlé drops Givaudan from balance sheet”. Swiss Info. 2013년 12월 6일.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8. John Revill (2013년 12월 6일). “Nestlé to Sell Its 10% Stake in Givaudan”. Wall Street Journal. 2015년 4월 22일에 확인함. 
  19. Jean-François Tremblay (2004년 11월 10일). “Givaudan Smells Opportunity in China”. Chemical & Engineering News. 2015년 4월 23일에 확인함. 
  20. “Givaudan - engage your senses”. 《givaudan.com》. 27 September 200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1. “CNBC Interview with CEO Gilles Andrier on Quest acquisition”. 2006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27일에 확인함. 
  22. Anthony Fletcher (2007년 2월 22일). “EC approves Givaudan's acquisition of Quest”. Food Navigator. 2022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6월 5일에 확인함. 
  23. “Quest acquisition closure”. 2007년 3월 2일.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4. “Corporate publications” (PDF). 《givaudan.com》. 
  25. John Revill (2015년 1월 29일). “Givaudan Scents Tough Conditions Continuing in 2015”. Wall Street Journal. 2015년 4월 23일에 확인함. 
  26. “Givaudan buys France's Soliance in first acquisition since 2007”. 《Reuters》. 2014년 6월 3일. 
  27. Sarah Hills (2014년 6월 26일). “Givaudan breaks down flavour components for 'home-cooked' taste”. 《FoodNavigator.com》. 
  28. Lucy Whitehouse (2014년 6월 12일). “Givaudan launches charitable foundation”. 《CosmeticsDesign-Europe.com》. 
  29. Deanna Utroske (2015년 1월 20일). “Givaudan furthers patchouli collection network”. 《CosmeticsDesign.com USA》. 
  30. Jacobs, Megan (2021년 12월 8일). “Acquisition Complete: DDW Joins Givaudan - Givaudan Sense Colour”. 2024년 11월 12일에 확인함. 
  31. “Riechstoffkonzern - Givaudan, Bühler und Migros spannen bei pflanzlichem «Fleisch» zusammen” (독일어). 《www.cash.ch》. 2021년 9월 15일. 2022년 7월 27일에 확인함. 
  32. Foo Yun Chee (2023년 3월 7일). “EU, UK, Swiss probe suspected fragrance cartel, Givaudan confirms cooperation”. 《www.reuters.com》. 2023년 5월 30일에 확인함. 
  33. “Victims of toxic cloud over Seveso entitled to "moral damages," claims could reach tens of millions of euros”. 《highbeam.com》.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2일에 확인함. 
  34. “Louisville police setting up 'triage area' after Clifton residents report 'explosion' (영어). 《WDRB》. 2024년 11월 12일. 2024년 11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