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지향적 경찰활동
보이기

지역사회지향적 경찰활동{community-oriented policing)은 지역사회 구성원과의 관계 형성을 중시하는 경찰활동전략이다. 경찰관리들이 같은 지역을 장기간 꼼꼼히 순찰하고 지역 주민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관민협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지역사회지향적 경찰활동에서는 경찰이 지역사회와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반사회적 행동과 풀뿌리 잡범죄를 줄이고자 한다.[2][3][4][5][6][7]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는 지역사회지향적 경찰활동이 강력범죄도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8][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ertus, Ferreira.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Policing in a Democracy. Prod.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Washington, D.C., 1996
- ↑ Brown, L. and Wycoff, M.D., "Policing Houston: reducing fear and improving services", Crime and Delinquency (Jun. 1987): 71–89.
- ↑ Goldstein, H., Problem Oriented Policing, McGraw-Hill Publishing, New York, 1990.
- ↑ Ankony, Robert C., "The Impact of Perceived Alienation on Police Officers' Sense of Mastery and Subsequent Motivation for Proactive Enforcement".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and Management, vol. 22. no. 2 (1999): 120–132.
- ↑ Bobinsky, Robert, "Reflections on community-oriented policing", FBI Law Enforcement Bulletin (Mar. 1994): 15–19.
- ↑ Burden, O., "Community policing", National Fraternal Order of Police Journal, Fall/Winter (1992): 31–35.
- ↑ Mastrofski, Stephen. and Robert Warden, "Law Enforcement in a time of community policing", Criminology (Nov. 1995): 539–63.
- ↑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BJS) - Community Policing”. 《www.bjs.gov》. 2020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Wilson, James Qu.; Kelling, George (1982). “Broken Windows”. 《The Atlantic》.
![]() |
이 글은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