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역 패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제 관계에서 지역 패권(영어: Regional hegemony 리저널 헤게모니[*])은 지역 패권국으로 알려진 하나의 독립적으로 강력한 국가가 다른 이웃 국가들에 대해 가지는 패권(정치적, 경제적 또는 군사적 우위, 통제 또는 영향력)을 말한다. 지역 패권국과 그 영향권 내의 다른 국가들 간의 관계는 세계적 패권국과 국제 시스템 내의 다른 국가들 간의 관계와 유사하다.

저명한 국제 관계 학자 존 미어샤이머는 그의 저서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에서 지역 패권 추구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술한다. 공격적 현실주의로 알려진 그의 이론에 따르면,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적 성격, 생존 욕구, 그리고 다른 국가들의 의도에 대한 불확실성은 궁극적으로 국가들이 지역 패권을 추구하도록 이끈다. 미어샤이머에 따르면, 세계적 패권은 달성할 수 없는 목표이며, 대신 지역 패권국 수준에 도달한 국가는 다른 지역에서 동등한 경쟁자가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현대 사례

[편집]

현대 사례는 종종 정치적으로 민감하거나 논쟁의 여지가 있다. 종종 지역 패권국에 대한 분석은 특정 맥락이나 관점에 기반하므로 그들의 식별을 주관적으로 만든다.

아메리카

[편집]

미국아메리카에서 지역 패권국의 명확한 예이다.[1]

오세아니아

[편집]

오스트레일리아오세아니아에서 지역 패권국이다.[2][3]

유럽

[편집]

러시아유라시아의 지역 패권국이다.[4][5]

아시아

[편집]

동아시아

[편집]

중국동아시아 내 미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지역 패권국이 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6][7][8]

서아시아

[편집]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그리고 튀르키예가 지역 패권국이 되려는 경쟁을 하고 있다.[9][10]

남아시아

[편집]

인도가 지역 패권국이 되려는 준비를 하고 있다.[11][12][13]

아프리카

[편집]

나이지리아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 지역 패권국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들은 국내 정치로 인해 지역 패권국으로서 활동이 제약받고 있다.[14][15][1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avid J. Myers. 1991. Regional Hegemons: Threat Perception and Strategic Response. ISBN 978-0-8133-8155-8
  2. Loke, Beverley; Emmers, Ralf (2025). “Coalition-Building and the Politics of Hegemonic Ordering in the Indo-Pacific”.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79 (4): 543–551. doi:10.1080/10357718.2025.2509555. ISSN 1035-7718. 
  3. “Australia seeks to assume a sort of 'hegemonic' role in Indo-Pacific through closer defense ties with the Philippines: expert - Global Times”.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4. “Russia’s Wartime Foreign Policy: Regional Hegemony in Question” (영어).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5. “Competing visions of international order | 03 Russia stakes global ambitions on regional dominance” (영어).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6. “Unraveling China’s Grand Strategy: Its Aim is to Erode U.S. Global Hegemony, Not Seek World Domination” (미국 영어). 2025년 2월 26일.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7. Lind, Jennifer (2018). “Life in China's Asia: What Regional Hegemony Would Look Like”. 《Foreign Affairs》 97 (2): 71–82. ISSN 0015-7120. 
  8. Walt, Stephen M. (2025년 10월 2일). “Stop Worrying About Chinese Hegemony in Asia” (미국 영어).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9. Walt, Stephen M. (2025년 10월 2일). “Israel Can’t Be a Hegemon” (미국 영어).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10. pomepsassistant (2025년 2월 11일). “Hegemony, Unipolarity and American Failure in the Middle East” (미국 영어).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11. Ayoob, Mohammed (1991). “India as Regional Hegemon: External Opportunities and Internal Constraints”. 《International Journal》 46 (3): 420–448. doi:10.2307/40202897. ISSN 0020-7020. 
  12. “India regional hegemony – The Diplomat”. 2025년 9월 21일에 확인함. 
  13. Bhasin, Madhavi (2008). “India's Role in South Asia: Perceived Hegemony or Reluctant Leadership?”. 《Indian Foreign Affairs Journal》 3 (4): 72–88. ISSN 0973-3248. 
  14. Ogunnubi, Olusola; Okeke-Uzodike, Ufo (2016년 4월 2일). “Can Nigeria be Africa's hegemon?”. 《African Security Review》 25 (2): 110–128. doi:10.1080/10246029.2016.1147473. ISSN 1024-6029. 
  15. Aleyomi, Michael B. (2022년 7월 1일). “Major Constraints for Regional Hegemony: Nigeria and South Africa in Perspective” (영어). 《Insight on Africa》 14 (2): 139–157. doi:10.1177/09750878211049485. ISSN 0975-0878. 
  16. Iyob, Ruth (1993). “Regional Hegemony: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the Horn of Africa”. 《The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31 (2): 257–276. ISSN 0022-278X. 

추가 문헌

[편집]
  • David R. Mares. 1988. "Middle Powers under Regional Hegemony: To Challenge or Acquiesce in Hegemonic Enforcement."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32(4):453–471.
  • William Zimmerman. 1978. "Hierarchical Regional Systems and the Politics of System Bounda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26(1):18–3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