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방재 국제세미나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보이기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
---|---|
주제 | 지진방재 정책, 내진설계, 활성단층 평가 |
장소 | 대한민국 (연도별 상이) |
지역 | 아시아 |
국가 | 대한민국 |
최초 행사 | 2017년, 경상북도 경주 (힐튼호텔) |
최근 행사 | 2025년 10월 22일, 전라북도 전주 전북특별자치도청 공연장 |
주최자 | 행정안전부 (공동 주최 및 주관기관은 연도별 상이) |
참석자수 | 약 200명 내외 (연도별 상이) |
공식 웹사이트 | https://www.mois.go.kr/ |
지진방재 국제세미나는 행정안전부가 2017년부터 주최하는 지진위험과 내진정책, 활성단층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국제 학술 교류 행사이다.[1][2][3][4]
개요
[편집]행사는 지진 취약성 저감과 재해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최신 내진설계 방법론과 하이브리드 실험, 노후 철근콘크리트 건축물 내진평가 기준, 활성단층의 장기 지진위험 평가 등을 다룬다.[3] 주최는 행정안전부이며, 연도별로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국립재난안전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한다.[5][6][7]
역사
[편집]- 2017년 — 경주 힐튼호텔에서 ‘지진방재대책 발전을 위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였다. 9·12 경주 지진 1주년을 계기로 내진설계 및 활성단층 조사 등 정책 의제를 논의했다.[1][2][8]
- 2018년 — ‘지진안전주간’ 프로그램의 하나로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국제세미나가 진행되었다.[9]
- 2023년 —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되었고, 해외 지자체의 지진대책 및 내진보강·단층조사 동향을 다뤘다.[6]
- 2024년 — 서울 건설회관에서 열렸으며, “정책 발전 방안 모색”을 목적에 명시하였다.[7][10]
- 2025년 — 전라북도청 공연장에서 개최. 주제는 “지진위험을 고려한 내진설계와 단층조사의 실질적 해법 모색”이다.[3][4][11]
구성
[편집]2025년 세미나
[편집]- 제1세션
- 내진설계와 지진 대응기술의 발전
- 하이브리드 실험(UT‑SIM 프레임워크 등) 기반 내진성능 평가, 청콘크리트 건축물 내진평가 기준, 성능기반 설계 동향 등을 소개한다.[3][12]
- 제2세션
- 활성단층과 지진위험 평가
- 캐나다·뉴질랜드·일본 사례를 통해 장기 지진위험 평가, 단층 재발주기 및 지역별 위험도 산정 방법론을 논의한다.[3]
주요 참여 연사
[편집]- 타케우치 토오루 — 강구조 및 내진설계 분야 연구자. (개인 연구실) [13]
- 권오성 —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토목·광산공학과 교수. 하이브리드·다중플랫폼 시뮬레이션(UT‑SIM) 연구를 주도한다.[12][14]
- 무카이 토모히사 — 일본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NILIM) 평가시스템과장(Head). 일본의 건축 내진기준 연구에 관여한다.[15]
- 알렉산더 피스 — 캐나다 맥마스터대학교 지구환경사회학부 부교수(구조지질학).[16]
- 마크 스털링 —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지진과학 석좌교수. 뉴질랜드 지진위험지도 고도화 등 연구를 수행한다.[17]
역대 개최
[편집]연도 | 일시/장소 | 주최/주관 | 비고/주요 주제 |
---|---|---|---|
2017 | 9월 7–8일, 경주 힐튼호텔 | 행정안전부 등 | 지진방재대책 발전, 활성단층 조사 동향[2] |
2018 | 9월 13–14일, 서울 양재 aT센터 | 행정안전부 등 | ‘지진안전주간’ 프로그램 내 국제세미나[9] |
2023 | 10월 17일, 서울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행정안전부·한국지진공학회 / 국립재난안전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해외 지자체 대책, 내진보강, 단층조사 동향[6] |
2024 | 10월 16일, 서울 건설회관 | 행정안전부·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등 | 정책 발전 방안 모색[7][10] |
2025 | 10월 22일, 전북특별자치도청 공연장 | 행정안전부·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 국립재난안전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 제1세션(내진설계·대응기술), 제2세션(활성단층·위험평가)[3][11][4] |
운영 및 성과
[편집]행정안전부는 해당 세미나를 통해 국내외 연구 동향을 정책과 지침 논의로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세션별 논의는 내진성능평가의 실험·수치해석 융합(예: UT‑SIM), 장기 지진위험도 평가와 같은 실무 의사결정 도구로 확장된다.[12][3]
각주
[편집]- ↑ 가 나 “9.12 지진 1년, 지진 방재 대책 발전을 위한 국제 세미나 개최”. 행정안전부. 2017년 9월 6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지진방재대책 국제세미나 초청장” (PDF).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7년 9월 7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2025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안내장(PDF)” (PDF). 한국지진공학회. 2025년 9월 15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2025년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개최 안내”. 행정안전부. 2025년 9월 25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2025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개최 안내”. 한국암반공학회. 2025년 9월 17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행정안전부] 2023년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개최 알림”. 한국지반공학회. 2023년 10월 10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행정안전부] 2024년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개최 (24.10.16.(수))”. 한국지반공학회. 2024년 10월 7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행안부, 지진방재 대책 발전을 위한 국제 세미나 개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년 9월 6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지진안전주간(2018.9.10.~9.14.) 홍보물 배포”. 행정안전부. 2018년 9월 10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2024년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보도자료(PDF)”. 행정안전부. 2024년 10월 16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2025 지진방재 국제세미나 개최”. 전북특별자치도. 2025년 9월 12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UT‑SIM Application Examples” (영어). University of Toronto.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Takeuchi Lab.” (영어). Toru Takeuchi.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Oh‑Sung Kwon” (영어). ResearchGate.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The Roles of NILIM and Perspectives for the Future (Annual Report 2024)” (PDF) (영어). NILIM. 2025년 4월 16일.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Alexander Peace – McMaster Experts” (영어). McMaster University.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Professor Mark W. Stirling” (영어). University of Otago. 2025년 9월 30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오가와 미키오 외, 《일본의 지질학》(The Geology of Japan). 런던: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6. (영문 원서, 시카고 스타일 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