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진디혹파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디혹파리
완두수염진딧물 무리 사이에 껴 있는 진디혹파리의 구더기
완두수염진딧물 무리 사이에 껴 있는 진디혹파리의 구더기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파리목
과: 혹파리과
아과: 혹파리아과
족: 진디혹파리족
속: 진디혹파리속
종: 진디혹파리
학명
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 1847)

학명이명
  • Aphidoletes basalis Felt, 1908
  • Aphidoletes borealis Felt, 1908
  • Aphidoletes flavida Felt, 1908
  • Aphidoletes fulva Felt, 1908
  • Aphidoletes marginata Felt, 1908
  • Aphidoletes meridionalis Felt, 1908
  • Bremia hamamelidis Felt, 1907
  • Cecidomya aphidimyza Rondani, 1847
  • Diplosis rosivora Coquillet], 1900
  • Phaenobremia doutti Pritchard, 1961
향명

진디혹파리(학명Aphidoletes aphidimyza 아피돌레테스 아피디미자[*])는 애벌레 시기에 복숭아혹진딧물 등의 80 종 이상의 진딧물을 잡아먹는 파리의 일종이다.[1][2]

진디혹파리

특징

[편집]

성충은 몸길이가 3.2mm 정도로 작으며, 몸은 검고 연약하다,(진딧물의 감로를 먹으며 수명이 평균 10일인 균식성 파리들과 유사하다.)[3] 해가 떠 있을 동안에는 잎 뒷면에 숨어있으며, 밤이 되면 활동한다.

생활환

[편집]

암컷은 2~3일 동안 진딧물 무리 사이에 0.40mm 크기의 조그맣고 광택이 나는 주항색의 알을 하나 씩 또는 작은 덩이 씩 총 100~250개를 산란한다. 3~7일 후 구더기는 지상으로 떨어져 1.9~3.8cm 크기의 굴을 파고 안에서 번데기가 된다. 20~27°C 사이의 온도와 높은 상대습도가 가장 최적이다.

습성

[편집]

작고 옅은 주황색의 민달팽이 모습을 한 구더기는 진딧물의 다리 관절부에 독을 주입해 마비시키고 진딧물의 가슴에 구멍을 뚫어 그 안의 내용물을 빨아먹는다.[3] 구더기는 자신의 몸집보다 더 큰 진딧물도 잡아먹을 수 있으며 진딧물의 개체 밀집도가 높을 때에 자신이 먹는 양보다 더 많은 수를 죽일 수 있다.[2] 애벌레는 최대 0.32cm까지 자라며 하루에 4~65마리의 진딧물을 죽인다.

생물적 방제로의 이용

[편집]

진디혹파리는 온실 작물의 생물적 방제로 사용하기 위해 곤충 사육장에서 상업용으로 사육된다.[1] 번데기 단계를 마치기 위해 질석 또는 토탄과 같은 습한 기질이 함유된 트레이나 병 속에 번데기를 넣는다. 일단 온실에 배치되면 보통 성충이 되어 출하 용기에서 빠져나와 온도에 따라 3~7일 후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각주

[편집]
  1. Junichi Yukawa; Daisuke Yamaguchi; Kuniyuki Mizota; Osamu Setokuchi (1998), “Distribution and host range of an aphidophagous species of Cecidomyiidae, Aphidoletes aphidimyza (Diptera), in Japan”, 《Applied Entomology and Zoology》 33 (1), doi:10.1303/AEZ.33.185 위키데이터 Q130486764
  2. Sarah E Jandricic; Stephen P Wraight; Dave R Gillespie; John P Sanderson (14 12 2016), “Biological Control Outcomes Using the Generalist Aphid Predator Aphidoletes aphidimyza under Multi-Prey Conditions”, 《Insects》 7 (4), doi:10.3390/INSECTS7040075, PMC 5198223, PMID 27983620  위키데이터 Q37542779
  3. “Aphid Predatory Midge | NC State Extension Publications”. 《content.ces.ncsu.edu》 (미국 영어). 2024년 10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