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초안:메틸말론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틸말론산
이름
우선명 (PIN)
Methylpropanedioic acid
별칭
Methylmalon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Spider
EC 번호
  • 208-219-5
KEGG
MeSH Methylmalonic+acid
UNII
  • InChI=1S/C4H6O4/c1-2(3(5)6)4(7)8/h2H,1H3,(H,5,6)(H,7,8) 아니오아니오
    Key: ZIYVHBGGAOATLY-UHFFFAOYSA-N 아니오아니오
  • InChI=1/C4H6O4/c1-2(3(5)6)4(7)8/h2H,1H3,(H,5,6)(H,7,8)
    Key: ZIYVHBGGAOATLY-UHFFFAOYAT
  • CC(C(=O)O)C(=O)O
성질
C4H6O4
몰 질량 118.088 g/mol
밀도 1.455 g/cm−3
녹는점 134 °C (273 °F; 407 K)
산성도 (pKa) pKa1 = 3,07[1]
pKa2 = 5,76[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메틸말론산(Methylmalonic acid)은 다이카복실산이 포함된 화합물이다. 메틸말론산은 말론산의 기본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메틸기를 가지고 있다. 메틸말론산의 메틸말로네이트로 불린다.

물질 대사

[편집]
메틸말론산을 중간산물로 하는 프로피온산염의 대사 경로

메틸말론산은 프로피온산염 대사 경로의 중간 산물이다.[2]

임상적 연관성

[편집]

비타민 B12 결핍증

[편집]

상승한 메틸말론산 수치는 비타민 B12 결핍증을 시사할 수 있다.

대사 이상

[편집]

과잉은 메틸말론산증과 연관되어 있다.

증가한 말론산 수치가 메틸말론산 수치의 증가를 수반한다면, 이것은 대사 이상인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을 표시할 수 있다. 혈장 내에서 메틸말론산에 대한 말론산의 비율을 계산하면, CMAMMA를 전형적인 메틸말론산증과 구별할 수 있다.

[편집]

그밖에, 연령에 따른 메틸말론산의 축적은 종양의 진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2020년 밝혀졌다.

소장의 세균 과다 생장

[편집]

소장의 세균 과다 생장은 비타민 B12 흡수 과정에서 세균 간 경쟁을 초래하여 메틸말론산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식품과 경구 보충의 경우에도 해당되며, 주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측정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issociation Constants Of Organic Acids And Bases”. 《ZirChrom Separations, Inc.》. 
  2. Tejero, Joanne; Lazure, Felicia; Gomes, Ana P. (March 2024). “Methylmalonic acid in aging and disease”.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35 (3): 188–200. doi:10.1016/j.tem.2023.11.001. ISSN 1043-2760. PMC 10939937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8030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