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크폰페이어군
보이기
| 추크폰페이어군 | |
|---|---|
| 지리적 분포 | 미크로네시아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 하위 분류 | |
| 언어 코드 | |
| 글로톨로그 | pona1247 |
추크폰페이어군(영어: Chuukic–Pohnpeic languages, Trukic-Ponapeic)은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이라는 두 방언연속체가 이루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의 하위 어군이다. 추크폰페이어군은 미크로네시아어군에서 서쪽 끝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가장 최근에 분화했다.[1][2]
분류
[편집]고유 혁신 사항
[편집]나머지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언어들과 구별되는 추크폰페이어군만의 고유한 혁신 사항에는 미크로네시아조어로부터의 역사적 음운 변동이 있다.
역사적 음운 변동
[편집]추크폰페이어군은 오세아니아조어와 미크로네시아조어로부터의 역사적 음운 변동을 공유하기도 하고,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 각각에 고유한 후대의 혁신 사항도 있다.
| 오세아니아조어 | *mp | *mp,ŋp | *p | *m | *m,ŋm | *k | *ŋk | *ŋ | *y | *w | *t | *s,nj | *ns,j | *j | *nt,nd | *d,R | *l | *n | *ɲ | |
|---|---|---|---|---|---|---|---|---|---|---|---|---|---|---|---|---|---|---|---|---|
| 미크로네시아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x | *ŋ | *y | *w | *t | *T | *s | *S | *Z | *c | *r | *l | *n | *ɲ |
| 추크폰페이조어 | *p | *pʷ | *f | *m | *mʷ | *k | *∅,r1 | *ŋ | *y | *w | *t | *j | *t | *t | ∅ | *c | *r | *l | *n | *ɲ |
1 /a/ 앞.
재구된 어휘
[편집]| 추크폰페이조어 | 한국어 해석 | 오늘날의 대응형 |
|---|---|---|
| *awa | 입 | 캐롤라인어 aaw, 폰페이어 aaw |
| *faa | 용감하다, 강하다 | 추크어 fa '용감하다, 용맹하다', 모킬어 pa '재능이 있다' |
| *fawo-ni-pei | 폰페이 섬의 이름 | 월레아이어 fóólopei, 폰페이어 Pohnpei |
| *kurupʷu | 작은 풋코코넛 | 추크어 kurupʷ, 폰페이어 kurupʷ '덜 익은 코코넛' |
| *pirafa | 훔치다 | 모르틀록어 púraf, 핀지랩어 pirap |
| *waiya | 여행, 외국에서 왔다 | 캐롤라인어 weey '여행하다', 폰페이어 way '외국에서 왔다, 해외에서' |
| *woro- | 목 | 추크어 woro-mi '삼키다', 폰페이어 wɛrɛ '그의 목' |
각주
[편집]- ↑ Blust, Robert (2013). 《The Austronesian Languages》. Canberra, Australia: Asia Pacific Linguistics. ISBN 9781922185075.
- ↑ Lynch, John; Malcolm Ross; Terry Crowley (2002). 《The Oceanic languages》. Richmond, Surrey: Curzon. ISBN 978-0-7007-1128-4. OCLC 48929366.
- ↑ Bender, Byron W. (2003).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Oceanic Linguistics》 42: 4, 5. doi:10.2307/3623449.
- ↑ Bender, Byron W. (2003).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2”. 《Oceanic Linguistics》 42: 271–281. doi:10.1353/ol.2003.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