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카라바조 화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르톨로메오 만프레디의 마르스가 큐피드를 꾸짖다 (1605년–1610년경)

카라바조 화파(Caravaggisti) 또는 "카라바제스크(Caravagesques)"는 16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바로크 화가 카라바조의 양식을 따르는 화가들을 일컫는다. 매너리즘에서 벗어나 새롭게 등장한 바로크 양식에 대해, 카라바조는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카라바조는 대부분의 다른 화가들처럼 작업실을 운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기법을 전파할 학교가 없었다. 또한 그는 자신의 예술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지 않아서 즉 그의 현존하는 작품에서만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루벤스, 호세 데 리베라, 베르니니, 렘브란트 등의 작품에서 직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카라바조는 살아있는 동안 매우 유명했으나, 사망 직후 거의 잊혀졌고, 그가 그렸던 작품들은 그의 추종자들의 작품으로 알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의 체포는 1990년까지 네덜란드 화가 헤리트 판 혼토르스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었다.[1]

카라바조가 서양 예술 발전에 미친 중요성은 20세기에 들어서야 재발견되었다. 1920년대 로베르토 롱기는 다시 그를 유럽 전통에 올렸다.: "리베라, 페르메이르, 라 투르, 렘브란트는 그 없이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들라크루아, 쿠르베, 마네의 예술은 완전히 달랐을 것이다."[2] 영향력 있는 버나드 베렌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를 제외하고 다른 어떤 이탈리아 화가도 카라바조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3]

이탈리아

[편집]

로마

[편집]

1590년대 후반과 1600년대 초반 로마에서 카라바조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을 때, 그의 극적인 새로운 양식은 로마 예술계의 많은 동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초기 카라바조 화파에는 마리오 민니티, 조반니 바글리오네, 레오넬로 스파다, 오라치오 젠틸레스키 등이 있었다. 다음 세대로는 카를로 사라체니, 바르톨로메오 만프레디, 오라치오 보르지아니외에도 겜블러의 거장과 같은 익명의 거장들도 있었다. 이중 젠틸레스키는 상당히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예술가 중 훨씬 오래 살았고(1620년 이후까지), 결국 영국 찰스 1세의 궁정 화가가 되었다. 그의 딸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또한 카라바조와 가까웠으며,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를 포함하여 이 운동에서 가장 재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로마와 이탈리아에서는 궁극적으로 카라바조가 아니라, 르네상스 전성기롬바르디아의 사실주의 요소를 혼합한 안니발레 카라치의 영향이 승리했다. 로마에서 활동한 다른 주목할 만한 예술가로는 안젤로 카로셀리, 피에르 프란체스코 몰라, 톰마소 살리니, 프란체스코 부오네리가 있다. 지아친토 브란디는 주로 로마와 나폴리에서 활동했다. 네덜란드 화가 다비드 데 하엔은 1615년에서 1622년 사이에 로마에서 활동했다. 바르톨로메오 카바로치는 로마에서 활동했지만, 1617년부터 1618-19년까지 마드리드에서 일했으며, 스페인에 카라바조 화풍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4][5]

나폴리

[편집]

1606년 5월, 라누치오 토마소니 살해 사건 이후, 카라바조는 나폴리로 도피하여 사형 선고를 받았다.[6] 그곳에서 그는 여러 작품을 완성했는데, 중요한 작품으로는 장미의 마돈나자비의 일곱 가지 행위 등이 있다.[6] 그의 작품은 나폴리 지역 예술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짧은 나폴리에서의 체류에도 불구하고 바티스텔로 카라치올로, 베르나르도 카발리노, 카를로 셀리토, 마시모 스탄치오네, 프란체스코 과리노, 마티아 프레티, 안드레아 바카로, 체사레 프라칸차노, 안토니오 데 벨리스를 포함한 주목할 만한 나폴리 카라바조 화파를 탄생시켰다. 지아친토 브란디는 주로 로마와 나폴리에서 활동했다. 그곳의 카라바조 화파 운동은 1656년 끔찍한 전염병 발생으로 끝났지만, 당시 나폴리는 스페인 영토였고 카라바조 화풍의 영향은 이미 스페인에도 퍼져 나갔다.

이탈리아 북부

[편집]

마르코 안토니오 바세티는 1616년에 로마에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그는 카라바조와 오라치오 보르지아니의 그림에 영향을 받았다. 베로나로 돌아온 후 그는 산 토마소 교회에 <성 베드로와 성도들>을, 산탄나스타시아 교회에 <성모 대관식>을 그렸다. 그는 1630년 베로나에서 전염병으로 사망했다.

베르나르도 스트로치제노바에서 태어나 주로 그곳에서 활동했으며, 나중에는 베네치아에서 활동하며 베네치아 바로크 양식의 주요 창시자로 여겨진다. 1620년대 스트로치는 점차 초기 매너리즘 양식을 버리고 카라바조와 그의 추종자들의 작품에서 파생된 새로운 자연주의로 빠져들었다. 카라바조 화풍은 1617년–18년 로마에서 돌아온 도메니코 피아셀라와 도시에서 활동했던 카라바조 추종자들에 의해 제노바에 전파되었다.

이탈리아 화가 비아지오 만초니파엔차에서 활동했다. 레조에밀리아 출신의 이탈리아 화가 바르톨로메오 스케도니, 밀라노 출신의 다니엘레 크레스피, 그리고 16세기 제노바의 주요 예술가였던 루카 캄비아시(루카 캄비아소로도 알려짐)도 종종 어두운 배경에 밝게 빛나는 인물을 묘사했다. 피아첸차에서 활동한 펠리체 보셀리는 그의 정물화에 카라바조 화파의 대조적인 테네브리즘을 사용했다. 탄치오 다 바랄로 (또는 단순히 일 탄치오)는 주로 롬바르디아주피에몬테주에서 활동했으며, 피에르 프란체스코 마추첼리 (일 모라초네)와 동시대에 작업했던 바랄로 세시아사크로 몬테를 포함한다. 이탈리아 화가이자 판화가인 베르나르디노 메이는 그의 고향 시에나와 로마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키지 가문의 후원을 받았다.

중앙 이탈리아

[편집]

루카 (토스카나주)에서 태어난 피에트로 리키 (또는 일 루케시노)는 또한 종종 어두운 배경에 밝게 빛나는 인물을 묘사했다 (<성 세바스티아누스> 참조).

시칠리아

[편집]

마리오 민니티는 1606년 이후 시칠리아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예술가이다. 그는 16세 때 카라바조의 그림 과일 바구니를 든 소년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플랑드르

[편집]
카인과 아벨, 루벤스, 1608–09

루벤스는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플랑드르 예술가 중 한 명일 것이다. 루벤스는 1600년에서 1608년 사이에 이탈리아에 머물렀다. 그는 빈첸초 1세 곤차가 공작의 궁정인 만토바에 정착했지만, 로마에서도 시간을 보냈다. 1601년 로마에 머무는 동안 그는 카라바조의 작품을 알게 되었다. 그는 나중에 카라바조의 그리스도의 매장을 복사했고, 그의 후원자인 만토바 공작에게 성모의 죽음 (루브르 박물관)을 구입하도록 추천했다. 루벤스는 안트베르펜로 돌아온 후 안트베르펜의 성 바울 교회를 위해 카라바조의 장미의 마돈나 (빈 미술사 박물관)를 구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 루벤스는 카라바조의 작품에 대한 관심을 넓혀 1606년 엠마오의 저녁식사 (브레라 미술관)와 1600년 성 마태오를 부르심, 그리고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성당산타고스티노 대성당의 최근 작품에도 관심을 두었다. 카라바조에 대한 이러한 관심 중 일부는 그의 스케치에 반영되어 있지만, 그의 작품이 카인과 아벨 (1608년–1609년, 코톨드 갤러리)처럼 카라바조 양식의 특징을 노골적으로 보여준 것은 1608년 안트베르펜로 돌아온 이후였다. 그러나 루벤스의 작품에 대한 카라바조의 영향은 라파엘로 산치오, 코레조, 바로치 등의 베네치아파 예술가들의 영향보다 덜 중요했을 것이다.[8] 피터 반 몰, 가스파르 드 크라예르, 빌럼 야콥 헤라인스와 같이 루벤스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도 카라바조 화파 양식에 공통된 특정 강렬한 사실주의와 강렬한 명암 대조를 사용했다.

루벤스와 동시대 인물인 아브라함 얀센스는 이탈리아로 여행한 또 다른 플랑드르 화가였으며(1597년부터 1602년까지), 그곳에서 카라바조의 작품을 알게 되었다.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온 후 그의 작품은 카라바조의 영향을 보여준다. 1609년작 스칼디스와 안트베르피아에서는 카라바조가 개척한 강렬한 명암 대조 (키아로스쿠로)를 사용하여 표현력을 볼 수 있다.[9]

주로 1620년대에 예술계에 등장한 루벤스 이후 세대의 플랑드르 예술가들이 카라바조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플랑드르에서는 1620년부터 1640년경까지 카라바조 화풍 열풍이 불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10] 이 예술가들은 주로 활동했던 도시에 따라 헨트 카라바조 화파와 안트베르펜 카라바조 화파로 불린다. 그러나 이 두 운동 사이에는 개인적인 차이 외에 뚜렷한 양식적 구분이 없다. 헨트 카라바조 화파에는 얀 얀센스, 멜히오르 데 라 마르스, 안톤 반 덴 회벨이 포함될 수 있다. 안트베르펜은 플랑드르의 주요 예술 중심지였기 때문에 카라바조 화파 화가가 더 많다. 그들 중에는 테오도르 롬바우츠, 헤라르트 세헤르스, 얀 코시어스, 아담 데 코스터, 자크 드 랑주, 얀 반 달렌이 있다. 브뤼허에서 야콥 반 오스트는, 로마에서 연구했던 카라바조와 만프레디의 작품 영향을 보여주는 장르화와 역사화를 그렸다.[11] 일부 플랑드르 카라바조 화파 화가들은 카라바조와 그의 추종자들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이탈리아로 고국을 떠나 돌아오지 않았다. 브뤼허의 루이스 핀손은 나폴리와 로마에 머물다 경력의 대부분을 프랑스에서 보냈다.[12] 또 다른 국외 거주 플랑드르 카라바조 화파 화가의 예로는 로크리스티 출신의 헨드릭 데 소머(또는 로케런)가 있는데, 그는 나폴리에서 그의 삶과 경력의 대부분을 보냈으며, 그곳에서 스페인 화가 호세 데 리베라의 영향을 받은 카라바조 화풍의 작품을 남겼다.[13]

이들 예술가들 대부분은 공통적으로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카라바조 또는 그의 이탈리아 및 네덜란드 추종자들의 작품을 직접 접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들의 작품에서는 극적인 빛 효과와 표현적인 제스처 사용뿐만 아니라, 카드 사기꾼, 점쟁이, 성 베드로의 부정 등과 같은 새로운 주제를 사용했다는 점에서도 카라바조의 영향을 볼 수 있다.[10][14][15] 일부 예술가들은 카라바조 작품의 특정 측면에 집중했다. 예를 들어, 아담 데 코스터는 강렬한 키아로스쿠로 사용과 가려진 촛불로 비추는 반신상의 반복적인 모티프 때문에 픽토르 녹티움 (밤의 화가)으로 불렸다.[16]

롬바우츠, 코시어스, 세헤르스와 같은 많은 예술가들은 나중에 카라바조 화풍과 주제를 포기하고, 17세기 플랑드르 예술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 플랑드르 예술가들의 이전 세대, 즉 루벤스와 반 다이크의 영향을 보이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10][15]

네덜란드

[편집]

17세기 첫 30년 동안, 네덜란드 공화국의 위트레흐트 출신 카톨릭 예술가들 중 일부는, 로마로 여행하여 카라바조와 그의 추종자들의 작품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들 예술가 중 가장 먼저 도착한 사람은 헨드릭 테르 브뤼헨 (1607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기록됨)이었고, 이어서 헤리트 판 혼토르스트, 디르크 반 바뷔런, 얀 반 빌레르트가 뒤따랐다. 위트레흐트로 돌아온 후 제작된 작품들은, 양식과 주제가 카라바조와 이탈리아 카라바조 추종자들의 작품에서 간접적으로 영감을 받았으며,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큰 영향력을 미쳤다. 이 회화 양식 또는 학파는 나중에 위트레흐트 카라바조 화파로 불리게 되었다.[17] 위트레흐트 카라바조 화파의 짧은 번성은 1630년경에 끝났는데, 주요 예술가들이 바뷔런과 테르브뤼헨의 경우처럼 사망하거나, 반 혼토르스트의 경우처럼 초상화나 역사화로 방향을 선회했기 때문이다. 다음 세대에서는 카라바조의 영향이 약해졌지만,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렘브란트, 헤리트 다우의 그림에서 영향을 볼 수 있다.

프랑스

[편집]

카라바조 시대에 로마에서 스튜디오를 운영한 최초의 프랑스 예술가 중 한 명은, 17세기 초 사라체니 밑에서 공부한 장 르클레르였다. 시몽 부에는 1613년부터 1627년까지 이탈리아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다. 그의 후원자로는 바르베리니 가문, 카시아노 달 포조, 파올로 조르다노 오르시니, 빈첸초 주스티니아니가 있었다.[18] 그는 또한 베네치아, 볼로냐 (카라치 가문의 아카데미가 있었다), 제노바 (1620년부터 1622년까지 도리아 공작들을 위해 일했다), 나폴리 등,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들도 방문했다. 그는 카라바조의 극적인 조명, 이탈리아 매너리즘, 파올로 베로네세의 색상과 단축 원근법, 그리고 카라치, 구에르치노, 란프란코, 귀도 레니의 예술 등, 보았던 것을 흡수하고 그의 그림에 담아냈다. 로마에서의 부에의 성공은 1624년 산 루카 아카데미 회장으로 선출되는 결과를 낳았다. 로마에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부에는 1627년 프랑스로 돌아왔다. 부에의 새로운 양식은 분명히 이탈리아 양식이었으며, 이탈리아 바로크 양식을 프랑스로 도입했다. 새로운 양식에 매료된 다른 프랑스 예술가로는 1620년 로마에 살았던 발랑탱 드 불로뉴와 부에 밑에서 공부한 후 불로뉴의 제자였던 니콜라 투르니에가 있었다.

조르주 드 라 투르는 경력 초기에 이탈리아나 네덜란드를 여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그림은 카라바조의 영향을 반영하지만, 이는 아마도 네덜란드 카라바조 화파와 다른 북부(프랑스 등)의 동시대 예술가들을 통해 배웠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라 투르는 종종 네덜란드인 헨드릭 테르 브뤼헨과 비교된다.[19] 루도비쿠스 핀소니우스로도 알려진 루이스 핀손은 프랑스에서도 활동한 플랑드르 바로크 화가였다.

스페인

[편집]

프란시스코 리발타스페인에서 테네브리즘 양식의 초기 추종자 중 한 명이다. 그가 로마나폴리를 직접 방문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스페인이 지배하던 나폴리를 통해 스페인은 17세기 초에 이미 카라바조 화풍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아들 후안 리발타비센테 카스텔로, 호세 데 리베라는 리발타의 제자들이지만 리베라는 이탈리아로 이주했을 때 테네브리즘을 습득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 양식은 스페인에서 많은 추종자를 얻었고, 바로크 또는 스페인 황금기 스페인 화가들, 특히 수르바란, 벨라스케스, 무리요에게 영향을 미쳤다. 스페인 정물화인 보데곤조차도 종종 유사한 엄격하고 금욕적인 양식으로 그려졌다. 오라치오 보르지아니는 스페인에서 이탈리아 양식의 회화 아카데미를 시작하기 위한 청원서에 서명하고, 바야돌리드의 콘벤토 데 포르타코엘리를 위해 9점의 그림 시리즈를 제작했는데, 이 그림들은 지금도 그곳에 남아 있다. 조반니 바티스타 크레셴치는 초기 바로크 시대의 이탈리아 화가이자 건축가로, 로마와 스페인에서 활동했으며, 엘 에스코리알에 있는 스페인 왕들의 판테온을 장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는 교황 바오로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예술가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1617년경 마드리드로 이주했으며, 1620년부터는 엘 에스코리알에서 활동했다. 스페인의 필리페 3세는 그에게 마 산티아고 기사 작위를 수여했다. 그의 제자인 바르톨로메오 카바로치는 1617년-19년에 스페인에서 활동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rr, Jonathan (2005). 《The Lost Painting: The Quest for a Caravaggio Masterpiece》. Random House. ISBN 0-375-50801-5. 
  2. Roberto Longhi, quoted in Lambert, op. cit., p.15
  3. Bernard Berenson, in Lambert, op. cit., p.8
  4. Museo del Prado, Enciclopedia - Voz: Cavarozzi, Bartolomeo. Accessed 3 December 2022
  5. J. Paul Getty Museum: Bartolomeo Cavarozzi. Accessed 3 December 2022
  6. Catherine Puglisi (1998). 《Caravaggio》. Phaidon. ISBN 0-7148-3966-3. 
  7. Sirjacobs, Raymond. Antwerpen Sint-Pauluskerk: Rubens En De Mysteries Van De Rozenkrans = Rubens Et Les Mystères Du Rosaire = Rubens and the Mysteries of the Rosary, Antwerpen: Sint-Paulusvrienden, 2004
  8. Gregori, Mina, Luigi Salerno, and Richard E. Spear, The Age of Caravaggio,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5
  9. Roger A. d'Hulst, Abraham Janssens - Scaldis en Antwerpia 보관됨 2020-10-23 - 웨이백 머신 at Openbaar Kunstbezit Vlaanderen (네덜란드어)
  10. “Matthias Depoorter, Theodoor Rombouts on Baroque in the Southern Netherlands”. 2019년 7월 31일에 확인함. 
  11. Hans Vlieghe. "Oost, Jacob van, I." Grove Art Online. Oxford Art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Web. 3 August 2019
  12. Louis Finson at the 네덜란드 미술사 연구소 (네덜란드어)
  13. Damian, Veronique et Chiara Naldi, Massimo Stanzione, Guercino, Hendrick de Somer et Fra' Galgario, Paris: Galerie Canesso, 2016, p. 20-25
  14. “Matthias Depoorter, Jan Janssens on Baroque in the Southern Netherlands”. 2019년 7월 31일에 확인함. 
  15. “Matthias Depoorter, Gerard Seghers on Baroque in the Southern Netherlands”. 2019년 7월 31일에 확인함. 
  16. Adam de Coster, The Denial of Saint Peter at 소더비스
  17. [https://www.rijksmuseum.nl/en/rijksstudio/styles/caravaggism Caravaggism at the Rijksmuseum
  18. Brejon de Lavergnée, Barbara. 'Simon Vouet', Oxford Art Online.
  19. Anthony Blunt, "Art and Architecture in France, 1500–1700", 1953, Penguin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