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크리벨리
![]() Carlo Crivelli | |
---|---|
신상정보
| |
출생 | 1430년경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사망 | 1495년경 교황령 아스콜리피체노 |
직업 | 화가 |
성별 | 남성 |
사조 | 고딕 미술, 르네상스 |
주요 작품
| |
영향
|

카를로 크리벨리(이탈리아어: Carlo Crivelli, 1430년경~1495년경)는 이탈리아의 화가로 후기 고딕의 장식적 감각을 지닌 보수적인 성향의 르네상스 화가이다.[1] 그는 젊은 시절을 베네토에서 보냈으며, 비바리니, 스쿠아르초네, 만테냐의 영향을 받았다. 1458년까지 베네토를 떠났고, 이후 대부분의 경력을 안코나 지방에서 보냈으며, 동시대 베네치아 화가 조반니 벨리니와 대조되는 독자적인 개인 화풍을 발전시켰다.
초기 생애
[편집]크리벨리는 1430년에서 35년 무렵 베네치아의 화가 집안에서 태어나 그곳과 파도바에서 예술적 교육을 받았다. 그의 경력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2] 그는 1436년까지 활동했던 야코벨로 델 피오레 밑에서 수학했다고 전해지는데, 당시 크리벨리는 소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그는 또한 베네치아의 비바리니 화실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파도바로 떠나 프란체스코 스쿠아르초네의 작업장에서 일한 것으로 보인다. 1457년 유부녀와의 관계로 인해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뒤, 1459년에는 달마티아의 자다르(오늘날 크로아티아, 당시 베네치아 영토)로 떠났다.
경력
[편집]
1457년 간통죄로 투옥될 당시 그는 이미 자신의 화실을 운영하고 있었다. 현재 전해지는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연대는 1468년, 페르모 근처 마사 페르마나의 산 실베스트로 성당 제단화이고, 가장 늦은 것은 1493년 밀라노 브레라 미술관의 《성 요한, 성모, 막달레나 사이의 죽은 그리스도》이다.[3]
그는 자신의 서명에서 ‘카롤루스 크리벨루스 베네투스’(Carolus Crivellus Venetus, 카를로 크리벨리 베네치아인)와 같은 형태로 베네치아 출신임을 자주 강조했지만,[4] 실제로는 주로 안코나 지방, 특히 아스콜리피체노와 그 주변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베네치아에서 볼 수 있는 그의 작품은 산 세바스티아노 교회에 있는 두 점뿐이다.[3]
그는 평생 동안 유행하던 유화 대신 템페라만 사용했고, 주로 목판에 그렸으며, 일부 작품은 이후 캔버스로 옮겨졌다. 장식적으로 눌러 찍은 금박 배경을 선호한 것은 그의 보수적 취향을 드러내는 특징 가운데 하나이며, 이는 후원자들의 요구이기도 했다. 그의 초기 폴립티크 가운데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은 1473년 아스콜리피체노 대성당에 있는 제단화 한 점뿐으로, 지금도 원래의 액자와 장소에 보존되어 있다. 다른 다면제단화들은 해체되어 판넬과 프레델라는 여러 박물관으로 흩어졌다.
당대와 후대의 동시대 화가들, 모방자, 추종자들 가운데 일부는 ‘크리벨레스키’(Crivelleschi)라 불리며, 그의 화풍의 측면을 다양한 정도로 반영했다.
작품
[편집]
그의 화풍은 생전 피렌체에서 일어난 자연주의적 경향과는 달리 궁정적이고 국제고딕적인 감각을 유지했다. 그의 도시 배경은 보석처럼 화려하며 정교한 알레고리적 세부 묘사로 가득하다. 그는 푸른 풍경 배경을 선호했으며, 과일과 꽃을 장식 모티프로 사용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종종 매달린 화환 형태로 등장한다.[3] 이러한 요소는 그가 몸담았을 가능성이 있는 파도바의 스쿠아르초네 화실의 전형적 특징이기도 하다.
그의 그림은 움브리아 동시대 화가들과 닮은 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크리벨리는 뚜렷한 개성을 지닌 화가였다. 동시대 화가 조반니 벨리니와 달리 그의 작품은 부드럽지 않고 윤곽이 명확하며 세부 묘사가 정밀하다. 그는 북방 르네상스 화가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의 작품과 비교되는 트롱프뢰유 기법을 사용했는데, 판넬 위에 석고로 조각처럼 입체적으로 만든 보석이나 갑옷 등을 배치하곤 했다.

아스콜리의 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회가 의뢰한 그의 작품은 전적으로 종교적 주제였다. 작품은 주로 성모자상, 피에타, 폴립티크(다면제단화)로 이루어졌으며, 당시에는 점차 구식이 되어 가던 형식이었다. 그의 그림에는 종종 고통의 묘사가 담겨 있는데, 그리스도의 손과 옆구리에 뚫린 상처나 슬퍼하는 이들의 일그러진 표정 등은 관람자에게 강렬한 영적 감흥을 주었다. 이러한 극도로 사실적이고 때로는 불편할 정도로 생생한 표현 때문에, 비평가들은 그의 그림을 종종 ‘기괴하다’고 평가했으며, 이는 북이탈리아 화가 코시모 투라와 비슷한 평가였다. 그의 작품은 많은 권위 있는 의뢰를 받아냈으며, 이는 그의 화풍이 후원자들의 취향에 잘 맞았음을 보여준다.
카를로 크리벨리는 1495년경 마르케 지방(아스콜리피체노로 추정)에서 사망했다. 그는 때때로 함께 작업하기도 한 동생 비토리오 크리벨리를 두었으며, 독일/오스트리아 출신으로 안코나 지방에 정착한 피에트로 알레만노는 그의 제자이자 협력자였다. 1459년에 활동했던 야코벨로의 제자 도나토 크리벨리 역시 그의 집안일 가능성이 있다.[3]
평가
[편집]그가 죽은 뒤, 그의 작품은 평가에서 멀어졌으며, 특히 피렌체 예술을 중심적으로 서술한 조르조 바사리의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에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프리라파엘파 화가들이 활동하던 영국에서 부활의 기미를 보였는데, 에드워드 번존스를 포함한 여러 화가들이 그의 작품을 찬미했다. 그러나 프리라파엘파 운동이 쇠퇴하면서 그의 명성도 희미해졌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서의 재배치 전시 덕분에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의 소설가 수전 손택은 에세이 《캠프에 관한 단상》(1992)에서 “캠프는 카를로 크리벨리의 그림이다. 진짜 보석과 트롱프뢰유 곤충, 금이 간 벽돌로 장식된 그림 말이다.”라고 썼다.[5]
작품 목록
[편집]
- 《1472년 제단화》 – 현재 미국과 유럽의 여러 미술관에 분산 소장
- 《성 에미디오와 함께한 수태고지》, 1486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아마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 《사도》, 약 1471–73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6]
- 《아스콜리 피체노 제단화》(또는 성 에미디우스 제단화), 1472–73년, 아스콜리피체노 대성당. 원래의 15세기 조각 목재 액자와 함께 완전히 남아 있는 유일한 제단화
- 《복자 페레티》, 1489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죽은 그리스도》, 바티칸 미술관
- 《좌정한 성모와 성 예로니모, 성 세바스티아노》, 1490년
- 《원죄 없는 잉태》, 1492년[7]
- 《성모자》, 1480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9]
- 《성모자》, 1460년, 베로나
- 《성모자》, 1480–1486년, 안코나
- 《성모자》, 마시냐노 산 자코모 마조레 성당[10]
- 《좌정한 성모자》, 1472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1]
- 《성모자와 성인들, 그리고 봉헌자》, 1490년
- 《성모와 성인들》, 1491년, 베를린
- 《촛불의 성모》, 밀라노 브레라 미술관
- 《포조 브레타의 성모자》, 약 1472년, 71x50 cm, 아스콜리 피체노 교구 미술관
- 《성모자와 성인들》, 마르케 몬테 산 마르티노
- 《막달레나 성인》, 1480년경,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12]
- 《피에타》, 1476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3]
- 《성 도미니코》, 1472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4]
- 《성 프란치스코와 그리스도의 피》, 1480–1486년, 폴디 페촐리 미술관
- 《성 조지의 용 퇴치》, 1470년
- 《성 야고보 대》, 1472년, 브루클린 미술관
- 《성 스테파노》(데미도프 제단화 일부), 1476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산 자코모》, 1472년
- 《성 토마스 아퀴나스》, 1476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성 프란치스코와 세바스티아노와 함께한 성모자》, 1491년
- 《수태고지 성모》, 1482년, 프랑크푸르트
그 외 주요 작품들은 마테리카의 산 프란체스코 교회에 있다.
갤러리
[편집]-
《구세주》(1470–1472년), 템페라와 금, 아마도 유화 혼합, 목판, 32 x 23.4 cm, 클라크 미술관
-
《성 야고보 대》, 1472년
-
《성 조지》, 1472년
-
《성 베드로와 성 바울로》, 포르토산조르조 제단화 일부, 1470년
-
《성 조지의 용 퇴치》, 포르토산조르조 제단화 일부, 1470년
-
《성 카타리나》, 1476년
-
《수태고지 성모》, 1482년(세부)
-
《성 프란치스코와 세바스티아노와 함께한 성모자》, 1491년
-
《좌정한 성모자, 성 예로니모, 성 세바스티아노》, 1490년
-
《성 프란치스코》, 1476년
-
《성모자》, 1460년, 베로나
-
《성모자》, 1480–1486년, 안코나
-
《성 스테파노》, 1476년, 돌 세 개와 순교자의 종려가 함께 묘사됨
-
《복자 페레티》(가브리엘 복자의 환시), 1489년경,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성 토마스 아퀴나스》, 1476년, 내셔널 갤러리
-
《성모의 대관식》, 1493년경, 브레라 미술관
-
《촛불의 성모》, 1490~1492년, 브레라 미술관
각주
[편집]- ↑ "...a great fifteenth century artist, but one in whose paintings stylistic evolution is not the predominant interest", Ronald Lightbown began his monograph.
- ↑ Frey's monograph of 1927 is superseded by R. W. Lightbown, Carlo Crivelli (Yale University Press) 2004, which sums up the scholarship, much of it provided over several decades by the late Federico Zeri and sets Crivelli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Marche in the fifteenth century.
- ↑ 가 나 다 라 마 Rossetti 1911.
- ↑ From 1490 he added the title Miles, by then having been knighted (Cavaliere) by Ferdinand II of Naples.
- ↑ “Martin Irvine, Georgetown University”.
- ↑ “An Apost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IDLE SPECULATIONS: Carlo Crivelli: The Immaculate Conception (1492)”. 2007년 4월 23일.
- ↑ “Lamentation over the Dead Christ”.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Madonna and Child”.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Chiesa di San Giacomo Maggiore”.
- ↑ “Madonna and Child Enthroned”.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A Medievalist at Amsterdam's Rijksmuseum”. 2015년 7월 6일.
- ↑ “Pietà”.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Saint Dominic”.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Strehlke, Carl Brandon. “Dead Christ Supported by Two Putti by Carlo Crivelli (cat. 158)”. 《The John G. Johnson Collection: A History and Selected Works》. A Philadelphia Museum of Art free digital publication.[깨진 링크]
출처
[편집]- Encyclopedia of Artists, volume 2, edited by William H.T. Vaughan, 2000, ISBN 0-19-521572-9
- Italian Art, edited by Gloria Fossi, ISBN 88-09-01771-4, 2000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문헌
[편집]- Lightbown, Ronald. Carlo Crivelli.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2004.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카를로 크리벨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Carlo Crivelli at the Web Gallery of Art
- Carlo Crivelli at the National Gallery, London
- "Carlo Crivelli, The Annunciation, with Saint Emidius", The National Gallery, London 보관됨 2021-01-17 - 웨이백 머신,
- smARThistory: Madonna and Child
- Italian Paintings in the Robert Lehman Collection, plates 92–93, index
- Works at Open Library
- Miranda, Salvador. “CRIVELLI, Carlo (1736-1818)”.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CLC 53276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