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
이름이 붙여진 대상 찰스 E. 카스트로
로버트 D. 스테판스
반응 유형 짝지음 반응
식별자
RSC ontology ID RXNO:0000525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영어: Castro–Stephens coupling)은 피리딘에서 구리(I) 아세틸라이드아릴 할라이드 사이의 교차 결합 반응으로, 이치환된 알카인과 구리(I) 할라이드를 형성한다.[1][2]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의 일반적인 개략도

이 반응은 1963년 화학자 카스트로와 스테판스에 의해 기술되었다.[1][2] 이 반응은 아릴 할라이드와 구리(I) 시안화물 사이의 훨씬 오래된 로젠문트-폰 브라운 합성 (1914년)[3][4]과 유사하며, 1975년에 팔라듐 촉매를 추가하고 유기구리 화합물in situ에서 제조하여 구리도 촉매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소노가시라 반응으로 변형되었다.[5][6]

대표적인 반응으로, 뜨거운 피리딘에서 아이오도벤젠과 CuC2C6H5의 짝지음을 통해 다이페닐아세틸렌이 얻어진다:[1]

페닐아이오다이드와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의 응용

소노가시라 반응과는 달리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은 친핵성 그룹이 아릴 할라이드에 오르토 위치에 있을 때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를 용매로 사용해야 한다.[7][8]

이소쿠마린을 생성하기 위한 o-아이오도벤조산과 카스트로-스테판스 짝지음의 응용

각주

[편집]
  1. Stephens, R. D.; Castro, C. E. (1963). 《The Substitution of Aryl Iodides with Cuprous Acetylides. A Synthesis of Tolanes and Heterocyclics》. 《J. Org. Chem.28. 3313–3315쪽. doi:10.1021/jo01047a008. 
  2. Owsley, D. C.; Castro, C. E. (1972). “Substitution of Aryl Halides with Copper(I) Acetylides: 2-Phenylfuro[3,2-b]pyridine”. 《Organic Syntheses52: 128. doi:10.15227/orgsyn.052.0128. ; 《Collective Volume》 6, 916쪽 
  3. Rosenmund, Karl W.; Struck, Erich (1919). 《Das am Ringkohlenstoff gebundene Halogen und sein Ersatz durch andere Substituenten. I. Mitteilung: Ersatz des Halogens durch die Carboxylgruppe》 [고리 탄소에 결합된 할로겐 및 다른 치환기로의 대체. I. 고지: 카복실기로의 할로겐 대체] (독일어). 《Ber. Dtsch. Chem. Ges. A/B52. 1749–1756쪽. doi:10.1002/cber.19190520840. 
  4. von Braun, Julius; Manz, Gottfried (1931). 《Fluoranthen und seine Derivate. III. Mitteilung》 [플루오란텐과 그 유도체. III. 고지] (독일어). 《Justus Liebigs Ann. Chem.488. 111–126쪽. doi:10.1002/jlac.19314880107. 
  5. Sonogashira, Kenkichi; Tohda, Yasuo; Hagihara, Nobue (1975). 《아세틸렌의 편리한 합성: 브로모알켄, 아이오도아렌 및 브로모피리딘으로 아세틸렌 수소의 촉매적 치환》. 《Tetrahedron Lett.16. 4467–4470쪽. doi:10.1016/s0040-4039(00)91094-3. 
  6. Sonogashira, Kenkichi (2002). 《말단 아세틸렌과 sp2-탄소 할라이드의 Pd-Cu 촉매 교차 결합 개발》. 《J. Organomet. Chem.653. 46–49쪽. doi:10.1016/s0022-328x(02)01158-0. 
  7. Batu, Gunes; Stevenson, Robert (1980). 《천연 이소쿠마린, 아르테미딘 및 3-프로필이소쿠마린의 합성》. 《J. Org. Chem.45. 1532–1534쪽. doi:10.1021/jo01296a044. 
  8. Castro, Charles E.; Havlin, R.; Honwad, V. K.; Malte, A. M.; Moje, Steve W. (1969). 《구리(I) 치환. 일가 구리 아세틸라이드 치환의 범위 및 메커니즘》. 《J. Am. Chem. Soc.91. 6464–6470쪽. Bibcode:1969JAChS..91.6464C. doi:10.1021/ja01051a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