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레오마이신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3S)-3,6-diamino-N-[[(2S,5S,8E,11S,15S)-15-amino-11-[(4R)-2-amino-3,4,5,6-tetrahydropyrimidin-4-yl]-8-[(carbamoylamino)methylidene]-2-(hydroxymethyl)-3,6,9,12,16-pentaoxo-1,4,7,10,13-pentazacyclohexadec-5-yl]methyl]hexanamide; (3S)-3,6-diamino-N-[[(2S,5S,8E,11S,15S)-15-amino-11-[(4R)-2-amino-3,4,5,6-tetrahydropyrimidin-4-yl]-8-[(carbamoylamino)methylidene]-2-methyl-3,6,9,12,16-pentaoxo-1,4,7,10,13-pentazacyclohexadec-5-yl]methyl]hexan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1003-38-6 |
ATC 코드 | J04AB30 |
PubChem | 3000502 |
드러그뱅크 | DB00314 |
ChemSpider | 2272094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5H44N14O8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intramuscular |
카프레오마이신(Capreomycin)은 다른 항생제와 병용하여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이다.[1] 특히 활성 내성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치료제로 사용된다.[1] 이는 정맥주사나 근육주사로 투여된다.[1]
흔한 부작용으로는 신장 문제, 청력 문제, 균형 장애, 주사 부위 통증 등이 있다.[1] 다른 부작용으로는 호흡 불능을 초래하는 마비가 포함된다.[1] 스트렙토마이신이나 전정달팽이신경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1] 아기에게 신장 또는 청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임신 중에는 권장되지 않는다.[1] 카프레오마이신은 일반적으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약물과 함께 분류된다.[2] 작용 방식은 불분명하다.[1]
카프레오마이신은 1960년 스트렙토미세스 카프레올루스에서 발견되었다.[3] 2019년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서 제외되었다.[4]
감수성 스펙트럼
[편집]카프레오마이신은 결핵균 감염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결핵균의 성장은 2.5 μg/mL 농도에서 억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5]
부작용
[편집]고빈도: 혈뇨, 소변량 또는 소변 빈도 현저히 증가 또는 감소, 식욕 부진 또는 심한 갈증 (저칼륨혈증, 신장 독성).
저빈도: 청력 상실, 이명, 보행 불안정, 현기증, 호흡곤란, 기면, 극심한 허약감 (신경근 차단, 신장 독성, 저칼륨혈증), 구역질 또는 구토.
심각한 신장 독성: 혈중 크레아티닌 증가, 혈중 요소 질소 증가, 크레아티닌 청소율 저하, 단백뇨 (이 약물 사용 중 신장 기능 및 소변 분석에 대한 정기적인 혈액 모니터링 필요).
제8뇌신경 손상. 약물을 2~4개월 사용 후 경미한 청력 손실과 같은 전정 기능 장애가 있을 수 있다.
신경근의 특정 차단 효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발진, 약열, 얼굴 홍조 또는 창백, 천식, 심계항진, 가슴 압박감, 복통, 아나필락시스 쇼크.
상호작용
[편집]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병용 시 이독성, 신독성 및 신경근 차단 가능성이 증가하여 일부 청력 손실을 초래하거나 청력 상실이 지속될 수 있다. 이는 일시적인 증상일 수 있지만 영구적인 경우가 많다. 신경근 차단은 골격근 약화 및 호흡 억제 또는 마비(무호흡)로 이어질 수 있다. 항콜린에스테라제 또는 칼슘염을 사용하면 이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암포테리신 B, 반코마이신, 바시트라신, 파로모마이신, 사이클로스포린, 카나마이신, 시스플라틴, 부메타니드, 에토리콕시브, 푸로세미드와 병용 시 이독성 및 신독성 가능성이 증가한다.
항히스타민제, 부클리진, 사이클리진, 메클리진, 페노티아진, 티오케톤, 트리메타민, 카프레오마이신과 병용 시 이명, 현기증 또는 어지럼증 및 기타 이독성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항신경근 차단 약물과 병용 시 항신경근 차단 약물의 골격근에 대한 효과를 길항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육 약화 방지 약물의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에틸 황화 이소니아지드와 병용 시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다.
메톡시플루란 또는 폴리믹신 주사와 병용 시 신장 독성 또는 신경근 차단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오피오이드와 병용 시 중추 호흡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호흡 억제 또는 호흡 마비(무호흡)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역사
[편집]카프레오마이신은 1960년 미국에서 생산된 항염 항생제로 1968년에 임상에 적용되었다. 1979년에 카프레오마이신은 결핵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결핵 분야에 사용되었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Capreomycin Sulfat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Navneet, Kumar (2015). 《Textbook of Neurology》 (영어). PHI Learning Pvt. Ltd. 192쪽. ISBN 9788120342439.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omlinson, Catherine. “TB Online – Capreomycin”. 2015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Executive summary: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19: report of the 22nd WHO Expert Committee on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3. WHO/MVP/EMP/IAU/2019.05. License: CC BY-NC-SA 3.0 IGO.
- ↑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CTEC 460 H37Ra)”. 《TOKU-E》. 2024년 6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Capreomycin”.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