캥거루섬두나트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유대하강 |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 아과: | 두나트아과 |
| 족: | 두나트족 |
| 속: | 두나트속 |
| 종: | 캥거루섬두나트 (S. aitkeni) |
| 학명 | |
| Sminthopsis aitkeni | |
| Kitchener, Stoddart & Henry 1984 | |
| 캥거루섬두나트[1]의 분포 | |
캥거루섬두나트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캥거루섬두나트(Sminthopsis granulipes)는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1] 검은 잿빛을 띠는 두나트로 1969년에 처음 기술되었으며, 하체 쪽은 좀더 연한 색을 띤다. 평균 몸길이는 170~198mm이고, 주둥이부터 항문까지 길이가 80~93mm, 꼬리 길이가 90~105mm, 뒷발이 17.5mm, 귀 길이는 18mm, 몸무게는 20~25g 사이로 다양하게 측정된다. 가는 꼬리 또한 회색을 띠지만, 안쪽은 연한 색으로 두 가지 색을 함께 띤다. 꼬리 길이가 몸길이보다 길다. 캥거루섬두나트는 성적 이형(性的異形)을 보여서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3][4][5]
분포 및 서식지
[편집]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캥거루섬 서쪽 절반 지역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주머니고양이과 동물이며, 캥거루섬의 유일한 토착종 포유류이다. 라테라이트 토양의 말리 히스 황야에 서식한다. 원래는 캥거루섬두나트가 섬 전체에 분포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늘날은 캥거루섬의 6군데에서만 발견된다. 서식지 모두 캥거루섬 서부 지역에 위치한 플린더스 체이스 국립공원 또는 래빈 야생 보호 구역 안에 있다. 최근에 캥거루섬두나트를 섬 동부 지역에 도입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각주
[편집]- ↑ 가 나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3판 (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4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Sminthopsis aitkeni”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justification for why this species is listed as critically endangered
- ↑ Menkhorst, P.; Knight, F. (2001).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Press. 68쪽. ISBN 0-19-550870-X.
- ↑ Gates, J. (2011). 《Recovery Plan for Kangaroo Island Dunnart (Sminthopsis aitkeni)》.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South Australia. 1–12쪽. ISBN 978-0-9806503-0-3.
- ↑ van Weenan, J. (2014). 《Sminthopsis aitken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년 12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