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 |
---|---|
영문 명칭 |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and Database |
실시 국가 | ![]() |
자격 종류 | 국가기술자격 |
분야 | 정보기술 |
시험 방식 | 필기: CBT, 절대평가 실기: 작업형, 절대평가 |
시행 언어 | 한국어 |
시행 기관 | 대한상공회의소 |
시행 시작 | 1999년 4월 11일[1][2] |
등급 | 1급, 2급 |
컴퓨터활용능력(컴퓨터活用能力, 영어: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and Database)은 대한민국의 정보기술 분야 자격이다.
사무자동화의 필수 프로그램인 컴퓨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3]으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한다.
응시자격의 제한이 없으며,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시험이 치러진다.
필기 시험은 합격일로부터 2년 동안 유효하며, 그 기간 내에 실기시험에 합격해야 한다.[4] 필기 유효기간 안에 실기 시험일이 있으면 되며, 합격자 발표일은 2년이 넘어가는 시점에 있어도 괜찮다.[5]
2012년부터는 1급과 2급으로 시행되며, 3급은 국가기술자격에서 완전 폐지되었다. 단, 2012년 이전에 취득한 3급 자격증은 폐지이후에도 그 자격의 효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컴퓨터활용능력1급 2024년 실기 합격률은 한 자릿수로 약 6%대를 기록하는 악명 높은 시험으로 공공기관, 공기업, 대기업 취업준비생들이 많이 준비하는데 1년 넘게 컴활1급을 공부했다는 후기도 많이 보인다.
급수 | 필기합격률 | 실기합격률 | 비고 |
---|---|---|---|
컴퓨터활용능력1급 | 약20%~30% | 약6%~15% | 기술사~기사 합격률로 사무자격증 통틀어 최고로 어려운 난이도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약30%~40% | 약40%~50% | 취업 가산점에서 약55%합격률인 사무자동화산업기사와 비교 |
컴퓨터활용능력3급 | 폐지 | 폐지 | ITQ마스터의 엑셀, MOS마스터의 엑셀과 비교 |
응시 자격
[편집]- 필기시험은 응시 제한이 없으며, 실기시험은 해당 종목의 필기시험을 합격한 후에 실기시험 시행일까지 2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가 응시할 수 있다.
필기 시험과목
[편집]- 1급 :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데이터베이스 일반
- 2급 :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 시험시간은 1급 60분, 2급 40분으로 시험을 진행한다. 과목별 20문제에 시험 시간 20분이다.
합격기준은 매 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다.
- 컴퓨터활용능력 출제기준
- 1급
- 2급
- 컴퓨터 일반 : 컴퓨터 시스템 개요, 컴퓨터 하드웨어, PC운영체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정보통신과 인터넷, 정보화 사회와 컴퓨터 보안, 멀티미디어 (2021년부터 컴퓨터 일반 과목이 윈도우 10 홈 기준으로 출제된다.)
- 스프레드시트 일반 : 입력 및 편집, 수식활용, 차트작성, 출력, 데이터 관리, 데이터 분석, 매크로 작성
실기 시험과목
[편집]- 1급은 스프레드시트·데이터베이스 실무이며, 2급은 스프레드시트 실무이다.
- 시험방법은 문제지에 나온 지시사항대로 엑셀, 액세스(1급만)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다.
- 시험 문항은 과목별로 12문항이다. 즉, 1급은 24문항이다.
- 시험시간은 1급 90분(과목당 45분), 2급 40분이며, 실기시험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1급만)이다.
- 시험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버전은 2020년까지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0였으며, 2021년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6으로 버전이 변경되었다. 2024~2026년은 MS 오피스 LTSC Professional Plus 2021 버전을 사용한다.[6] 해당 제품은 기업용 라이선스고, 개인 사용자는 MS 오피스 Professional 2021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2급 응시자는 MS Access가 없는 Standard 버전도 괜찮다고 한다.
- 합격기준은 2급의 경우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이고, 1급의 경우는 엑셀·액세스 두 과목 모두 7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한다.
- 스프레드시트
- 기본작업 : 고급 필터, 수식을 포함하는 조건부 서식, 페이지 레이아웃 및 통합 문서 보기
- 계산작업 : 찾기 함수, 텍스트 함수, 수학·삼각 함수, 통계 함수, 데이터베이스 함수, 날짜·시간 함수
- 분석작업 : 피벗 테이블(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포함), 정렬, 부분합, 데이터 표, 시나리오, 데이터 통합, 목표값 찾기, 데이터 유효성 검사
- 기타작업 : 매크로(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 쉬운 조건부 서식), 차트, 프로시저
- 데이터베이스
- DB 구축 : 테이블 완성, 데이터 생성, 관계, 필드의 조회 속성
- 입력 및 수정 기능 구현 : 폼 완성, 조회, 콤보상자 설정, 하위폼 추가하기
- 조회 및 출력 기능 구현 : 보고서 완성, 조회
- 처리 기능 구현 : 쿼리 4문제(4+7+7+7)
자격특전
[편집]- 공무원 채용 가산점
- 소방공무원(사무관리직) : 컴퓨터활용능력1급(3%), 컴퓨터활용능력2급(1%)
- 경찰공무원 : 컴퓨터활용능력1, 2급(2점 가점)
- 학점은행제 학점인정 : 1급 14학점, 2급 6학점
- 300여개 공공기관 및 공기업 등 채용, 승진 우대
접수
[편집]상시 검정에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 인터넷 접수가 가능하다.
특이 사항
[편집]- 《국가기술자격》중에서 컴퓨터활용능력1급은 난이도가 가장 어려운 자격증 중 하나다. 보통, 1급 합격률은 실기시험 기준 한 자릿수에서 10% 초반대 정도이다. 2024년 실기 합격률은 한 자릿수로 약6%(6.9%)
- 컴퓨터활용능력 3급은 2012년 1월 1일부터 폐지되었다. 컴퓨터활용능력 1급 난이도가 사무자동화산업기사보다 어렵다고 평가된다.
기출 문제
[편집]2021년도부터 종이에 인쇄된 문제에 대한 답안을 OMR 카드에 마킹하는 PBT(paper-based testing) 방식의 정기 검정은 폐지되고, 컴퓨터로 문제를 푸는 CBT 방식의 상시 검정만 시행한다. 정기검정 때처럼 시험지를 집으로 가져올 수 없어 2021년도부터 기출문제 복원은 순전히 사람들의 기억력으로 한다.
아래 목록은 기출 문제 모음집 링크이다.
- https://cbt.youngjin.com/exam/index.php?no=2 (2025년 문제까지. 2급. 실시간 문제 푸는 형태)
- https://cbtbank.kr/ (2020년 문제까지. 1, 2급. 실시간 문제 푸는 형태. 원하는 시험에 대한 북마크 기능 있음.)
- https://www.comcbt.com/ (2020년 문제까지. 1, 2급. 실시간 문제 푸는 형태)
- https://www.gunsys.com/cbt_list/index.php?cbt=com2 (2020년 문제까지. 2급. 1문제나 5문제 단위로 풀 수 있다.)
- https://hellocbt.com/index.php?mid=comskill2 (2020년 문제까지. 2급. 출력 가능 형태)
- https://hellocbt.com/index.php?mid=exam&category_srl=2576 (2020년 07월 04일 기출문제. 2급. 실시간 문제 푸는 형태)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컴퓨터능력시험 13만명 원서”. 한겨레. 1999년 3월 23일.
- ↑ “컴퓨터 검정시험에 13만7천명 몰려”. 매일경제. 1999년 3월 23일.
- ↑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의 컴퓨터활용능력에 대한 규정
- ↑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시험종목 및 시험문제 질문 BEST5 https://license.korcham.net/customer/faq.do?bigCate=12
- ↑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컴퓨터활용능력 FAQ 2쪽 https://license.korcham.net/co/examguide05.do?mm=21&cd=0103&pg=2
- ↑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컴퓨터활용능력 FAQ https://license.korcham.net/co/examguide05.do?mm=21&cd=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