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케모사베 레코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케모사베 레코드
모기업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설립일2011년 11월(13년 전)(2011-11)
창립자닥터 루크
배급
  • 다양[a]
  • (미국 내)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미국 외)
장르다양
국가미국
위치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웹사이트kemosaberecords.com

케모사베 레코드는 2011년 레코드 프로듀서 닥터 루크가 설립한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이다.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사업부인 RCA 레코드의 임프린트로 출범했다.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이 레이블은 도자 캣, 케샤, 베키 지, 주시 J, 록 시티, 릴 비비, G.R.L., 런치머니 루이스, 등과 계약했다.

역사

[편집]

2011년 11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는 미국의 레코드 프로듀서 겸 작곡가인 루카시 "닥터 루크" 고트발트와 협력하여 그의 레코드 레이블인 케모사베 레코드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1] 이 레이블은 소니 산하의 다양한 레이블과 공동으로 아티스트와 계약하며,[2] 미국 기반의 아티스트의 경우 주로 RCA 레코드와 계약한다. 고트발트는 자신의 직원을 고용하고, 아티스트와 계약하며, 재능을 개발할 권리를 부여받았지만, 2016년까지는 소니 아티스트의 음반만 제작할 수 있었다.[3][4] 2017년 4월, 가수 케샤강간 혐의로 그를 고발한 후 소니는 그 프로듀서와 거리를 두었다.[5] RCA와 소니 뮤직 웹사이트에서 케모사베는 "레이블" 목록과 소니 웹사이트의 "사실 및 수치" 페이지에서도 삭제되었다.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

[편집]

현재

[편집]

이전

[편집]

음반 목록

[편집]
  • 케샤 – 《Warrior》 (2012년 12월 4일)
  • 케샤 – 《Deconstructed》 (2013년 2월 5일)
  • 베키 지 – 《Play It Again》 (2013년 7월 16일)
  • Various Artists – 《Music from and Inspired by The Smurfs 2》 (2013년 7월 23일)
  • 주시 J – 《Stay Trippy》 (2013년 8월 27일)
  • 엘리팬트 – 《Look Like You Love It》 (2014년 4월 1일)
  • G.R.L. – 《G.R.L.》 (2014년 7월 29일)
  • 크리스천 버가르트 – 《Safe Place To Land》 (2014년 9월 9일)
  • 옐 (밴드) – 《Complètement fou》 (2014년 9월 29일)
  • 도자 캣 – 《Purrr!》 (2014년 8월 5일)
  • 엘리팬트 – 《One More》 (2014년 10월 13일)
  • 런치머니 루이스 – 《Bills》 (2015년 4월 21일)
  • 옐 – 《Complètement fou (Remix)》 (2015년 7월 24일)
  • 록 시티 – 《What Dreams Are Made Of》 (2015년 10월 9일)
  • 엘리팬트 – 《Living Life Golden》 (2016년 3월 25일)
  • 페이퍼 루트 – 《Real Emotion》 (2016년 9월 23일)
  • 릴 비비 – 《FC3: The Epilogue》 (2017년 3월 8일)
  • 케샤 – 《Rainbow》 (2017년 8월 11일)
  • 주시 J – 《Rubba Band Business》 (2017년 12월 8일)
  • 도자 캣 – 《Amala》 (2018년 3월 30일)
  • 베키 지 - 《Mala Santa》 (2019년 10월 17일)
  • 도자 캣 – 《Hot Pink》 (2019년 11월 7일)
  • 케샤 – 《High Road》 (2020년 1월 31일)
  • 도자 캣 – 《Planet Her》 (2021년 6월 25일)
  • 베키 지 – 《Esquemas》 (2022년 5월 13일)
  • 케샤 – 《Gag Order》 (2023년 5월 19일)
  • 도자 캣 – 《Scarlet》 (2023년 9월 22일)
  • 베키 지 – 《Esquinas》 (2023년 9월 28일)
  • 베키 지 – 《Encuentros》 (2024년 10월 10일)
  • 도자 캣 – 《Vie》 (2025년 9월 26일)

내용주

[편집]
  1. 케모사베 레코드는 케모사베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간의 합작 투자로 설립되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레이블은 아티스트와의 계약을 체결할 때 자사뿐 아니라 소니 산하의 다른 레이블과도 합작 계약을 맺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각주

[편집]
  1. Christman, Ed (2011년 11월 9일). “Dr. Luke and Sony: Manager Says Luke Plans to 'Build the Label' Organically”. 《Billboard》. 2016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1일에 확인함. 
  2. Halperin, Shirley (2011년 11월 8일). “Dr. Luke Signs Label Deal With Sony, Doug Morris Calls Hitmaker His 'New Jimmy' Iovine”. 《Billboard》.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3. Corner, Lewis (2011년 11월 9일). “Katy Perry to stop working with Dr Luke”. 《Digital Spy》.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4. Sisario, Ben (2011년 11월 7일). “At Sony Music, a Plan to Dominate the Industry”. 《뉴욕 타임스》. ISSN 0362-4331.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5. “Dr. Luke Is No Longer the CEO of Sony's Kemosabe Records Amid Kesha War”. hollywoodreporter.com. 2017년 4월 25일. 2017년 4월 26일에 확인함. 
  6. Romero, Angie (2013년 11월 8일). “Meet Becky G, Dr Luke's Latest Protegee”. 《Rolling Stone》. 
  7. “Juicy J Enlists Megan Thee Stallion, A$AP Rocky and More for 'The Hustle Continues'. 2020년 11월 26일. 
  8. “Juicy J Signs With Dr. Luke's Label Via Columbia Records”. 《MTV News》 (영어). 2017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9. Payne, Chris (2014년 7월 9일). “Yelle Announces New Dr. Luke-Produced LP 'Completement Fou,' Shares New Song & Tour Dates”. 《Billboard》. 
  10. “OMG!!! by Yelle on Apple Music”. 《애플 뮤직》 (영국 영어). 2018년 8월 30일.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11. “Make That Cake (feat. Doja Cat) – Single by LunchMoney Lewis”. 《애플 뮤직》. 2019년 9월 6일. 2019년 9월 18일에 확인함. 
  12. “G.R.L. To Release Debut Self-Titled EP July 29th on Kemosabe Records/RCA Records”. 《Rcarecords.com》. 
  13. “Singles Lady: Bonnie McKee is Looking Out for Number One”. 《빌보드》. 2013년 8월 13일. 
  14. “It is with much excitement that we announce”. 《paperrouteonline.com》. 2015년 7월 23일.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9일에 확인함. 
  15. Vincent, Alice (2017년 7월 7일). “Kesha's comeback: a timeline of her bitter legal feud with Sony and producer Dr Luke”. 《The Tele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