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코로나19 연구소 유출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우한시에 있는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코로나19 연구소 유출설 또는 연구소 유출 가설코로나19 범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인 SARS-CoV-2가 실험실에서 제조되었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매우 논란이 많다. 바이러스가 유전공학의 결과가 아니라는 과학적 합의가 있으며,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SARS-CoV-1MERS-CoV 발생과 유사하게, 그리고 인류 역사상 다른 팬데믹과 일관되게 자연적인 인수공통감염병 (감염된 비인간 동물로부터 직접 전이)을 통해 인간 개체군으로 유출되었다고 믿는다.[1][2] 사용 가능한 증거에 따르면 SARS-CoV-2 바이러스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에서 박쥐에 의해 처음 보유되었으며, 감염된 야생 동물을 통해 중간 숙주 역할을 하면서 인간에게 전파되었다.2022년 7월 사이언스에 두 편의 획기적인 기원 연구가 나란히 발표되었다:[3] [4] 몇몇 후보 동물 종들이 잠재적인 중간 숙주로 확인되었다.[10] 팬데믹 이전에 SARS-CoV-2가 어떤 실험실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으며,[11][12][13] 어떤 실험실에서도 의심스러운 생물 안전 사고가 발생했다는 증거도 없다.[14]

연구소 유출에 대해 제시된 많은 시나리오는 음모론의 특징을 가진다.[15] 많은 시나리오의 핵심은 코로나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WIV)와 발생 지점의 근접성에 기반한 잘못된 의심이다. 대부분의 중국 대도시에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실험실이 있으며,[16] 바이러스 발생은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에서 시작되지만, 대도시에서 먼저 발견된다.[17] 중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하면 대도시, 즉 코로나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실험실 근처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7][18]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유출되었다는 주장은 중국 정부의 대응 중의 비밀주의 때문에 지지를 얻었다.[11][19] 연구소 유출설과 정치인들의 그에 대한 무기화는 모두 반중 감정을 활용하고 증가시켰다.[20]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과학자들은 이전에 야생 박쥐로부터 바이러스 샘플을 수집했으며, 이들이 그러한 바이러스에 대해 비공개 작업을 수행했다는 주장은 일부 주장의 핵심이다.[21] 특히 유전체 편집을 주장하는 일부 주장은 잘못된 정보 또는 과학적 증거의 왜곡에 기반을 두고 있다.[22][23][24]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우발적으로든 고의적으로든) 유출되었다는 주장은 팬데믹 초기에 나타났다.[25][26] 이 주장은 2020년 초 미국의 보수적인 인사들의 홍보를 통해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27]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을 조성했다.[28] 과학자와 언론 매체는 이를 음모론으로 일축했다.[29][30] 우발적 유출 주장은 2021년에 다시 부활했다.[31] 3월에는 WHO가 가능성을 "극히 낮다"고 판단한 보고서를 발표했지만, WHO 사무총장은 보고서의 결론이 확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32] 이후 실험실 감사 계획은 중국에 의해 거부되었다.[19][33]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연구소 유출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하고 인수공통감염병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많다는 점을 들어 실험실 기원의 가능성에 회의적이다.[12][34] 일부 과학자들은 연구소 유출이 진행 중인 조사의 일환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동의하지만,[35][36] 정치화는 여전히 우려 사항이다.[37][38] 2022년 7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두 편의 논문은 팬데믹이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실험실에서 유래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새로운 역학적 및 유전적 증거를 설명했다.[13][39][40]

배경

[편집]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주요 가설은 자연적인 스필오버 이벤트 (인수공통감염병)를 통해 인간에게 감염력을 얻었다는 것이다. 연구 중이던 실험실에서 탈출하여 인간에게 감염력을 얻었다는 것은 소수 의견이다. 사용 가능한 증거는 인수공통감염병을 지지한다.[41][15] SARS-CoV-2의 기원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실험실 유출을 지지하는 주장은 음모론적 사고의 특징을 가진다.[15]

인수공통감염병

[편집]

대부분의 새로운 감염병은 동물로부터의 스필오버 이벤트로 시작되며,[37] 더욱이 자발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야생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또는 가축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42][43]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 페락에서 니파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2002년 중국 광둥성에서 2002년 사스 발생은 야생 동물 기원으로 추적된 자연적인 인수공통감염병이었다.[42] 코로나19는 과학자들에 의해 "동물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간주된다.[43] 이는 인수공통감염병 (동물에서 인간으로 자연적으로 전파 가능한 질병)으로 분류되었다. 일부 과학자들은 자연 숙주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분류에 이의를 제기한다.[44][43] 바이러스가 스필오버 이벤트 전후에 병원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는지 여부는 물론 인간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된 원래 출처는 불분명하다.[45][46][47]

베타코로나바이러스의 거대한 저장소인 박쥐는 SARS-CoV-2의 가장 유력한 자연 숙주로 간주된다.[48][49]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와 SARS-CoV-2 사이의 차이는 인간이 중간 숙주를 통해 감염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50][10] 2002년 사스 발생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에 대한 연구는 박쥐, 특히 말굽 박쥐에서 순환하는 많은 SARS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분석에 따르면 윈난성의 통관 마을 근처 동굴에서 채집된 Rhinolophus affinis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인 RaTG13은 SARS-CoV-2와 96%의 유사성을 가진다.[51][52][53] RaTG13 바이러스 게놈은 라오스의 말굽 박쥐에서 BANAL-52가 발견될 때까지 SARS-CoV-2에 가장 가까운 알려진 서열이었다.[54][48][55] 그러나 이는 직접적인 조상은 아니다.[23] 다른 밀접하게 관련된 서열도 윈난성 지역 박쥐 개체군의 샘플에서 확인되었다.[56] 그러한 바이러스 중 하나인 RpYN06은 게놈의 한 큰 부분에서 SARS-CoV-2와 97%의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전체적으로는 94%의 유사성을 가진다. 이처럼 매우 높은 유사성을 가진 핵산 "덩어리"는 종종 공통 조상의 증거로 간주된다.[57][58]

SARS-CoV-2의 조상은 박쥐와 중간 숙주 종에서 진화적 적응을 통해 여러 다른 종에 대한 "일반적" 결합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높다.[10][59][60][61] 게놈 서열 및 접촉 추적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는 SARS-CoV-2가 인간에게 감염된 시점을 2019년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 사이로 추정한다.[62][63] 일부 과학자들(예: 파우치 및 CIRAD의 로저 프루토스)은 문턱 사건(예: 우한과 같은 대도시에서 더 많은 숙주에게 복제) 이전에 소수의 인간에게서 느리고 감지되지 않은 순환이 감지되지 않은 적응 기간을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9]

SARS-CoV-2의 첫 번째 알려진 인간 감염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견되었다.[51] 초기 감염자 중 상당수가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의 상인이었기 때문에,[64][65] 바이러스가 사향고양이, 너구리, 박쥐 또는 천산갑 등 시장에서 팔리던 야생 동물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처음 제기되었다.[47][50] 이후 환경 분석 결과 시장에서 SARS-CoV-2가 발견되었으며, SARS-CoV-2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동물을 사육하던 시장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66][4] 초기 인간 사례들은 시장과 그 주변에 집중되었으며, 두 개의 별개 SARS-CoV-2 계통 감염을 포함했다.[67][68][69][4] 이 두 계통은 바이러스가 시장의 동물 개체군을 활발히 감염시키고 있었으며, 이들 동물과 인간 간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해 인간에게 여러 차례 바이러스 전파가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67][68][69][4] COVID-19의 초기 사례는 모두 시장과 그 주변에 국한된 것으로 나중에 밝혀졌다.[4]

SARS-CoV-2 감염에 취약한 다른 야생 동물들이 화난 시장에서 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박쥐나 천산갑은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았다.[70][4]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편집]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우한 질병관리본부는 팬데믹의 초기 진원지인 우한 화난 해산물 도매 시장에서 몇 마일 이내에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매우 가까운 거리가 음모론이 바이러스의 기원이 실험실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쉽게 뿌리내리게 만들었다.[15] 그러나 바이러스학 연구소는 종종 잠재적인 발생 지역 근처에 지어진다.[18] 연구소 유출설 지지자들은 대부분의 중국 대도시에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소가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16] 바이러스 발생은 보통 농촌 지역에서 시작되지만, 대도시에서 처음으로 인지된다.[17] 스테판 레반도프스키와 동료들은 연구소의 위치가 발생 지역과 가까운 것은 "말 그대로 우연"이며, 그 우연을 연구소 유출의 선험적 증거로 사용하는 것은 합접 오류의 일종이라고 썼다. 또한, 그들은 연구소 유출 지지자들이 연구소와 발생 지역의 근접성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도 바이러스 스필오버 사건의 잠재적 기원으로 오랫동안 확인된 습식 시장의 근접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이러니하다고 지적한다.[15]

SARS-CoV-2 및 밀접하게 관련된 베타코로나바이러스계통수 (왼쪽) 및 지리적 배경 (오른쪽)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WIV)는 2005년부터 SARS 유사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71] 일부 전문가(리처드 이브라이트 등)가 기능 획득이라고 특징지은 2015년 실험에 참여했다.[21][72] 다른 학자들(랄프 바릭 포함)은 이 특성화에 이의를 제기하며, 해당 실험(키메라 바이러스 관련)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가 아니라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대학의 기관 생물안전 위원회는 해당 실험을 "기능 획득"으로 평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73] 바릭은 그러한 연구에 내재된 위험을 인정하며 "과학 검토 패널은 순환하는 변종에 기반한 키메라 바이러스를 만드는 유사한 연구가 추구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미래 발생에 대비하고 완화할 잠재력은 더 위험한 병원체를 만드는 위험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썼다.[21][74]

연구소가 팬데믹 초기 발생 지역인 우한에 위치한다는 사실,[75] 그리고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연구가 덜 엄격한 생물 안전도 2단계와 3단계에서 수행되고 있었다는 사실[21][76]은 SARS-CoV-2가 우한 연구소에서 탈출했을 수 있다는 추측으로 이어졌다.[77] 리처드 이브라이트는 생물 안전도 2단계와 같이 낮은 격리 수준의 실험실이 때때로 사용되는 한 가지 이유는 높은 격리 시설의 비용과 불편함 때문이라고 말했다.[21][78] 팬데믹 이전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를 방문한 마지막 외국 과학자인 호주 바이러스학자 다니엘 앤더슨은 이 연구소가 "다른 고수준 격리 연구소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엄격한 안전 프로토콜"이 있었다고 말했다.[79] 화난 해산물 시장은 이미 우한을 순환하던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을 촉진하는 출발점으로만 작용했을 수 있다.[45][80]

이전 연구소 유출 사건 및 음모론

[편집]

실험실 유출 사고는 과거에도 발생한 적이 있다.[81][82] 소련의 연구 시설에서 1979년에 탄저균이 유출되어 최소 68명이 사망했다.[83] 영국의 2007년 구제역 발생은 고보안 연구소의 새는 파이프 때문에 발생했다.[83] 사스 바이러스는 중국의 고수준 생물 격리 실험실에서 적어도 한 번, 아마도 두 번 탈출했다.[84][12][85]

병리균에 대한 양성 노출(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는 노출)은 숙주 기관의 명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광범위한 전염병의 낮은 위험을 고려할 때 아마도 과소 보고될 것이다.[86] 역학자 마르크 립시치와 세균학자 리처드 이브라이트는 실험실에서 감염(특히 변형된 병원균)될 위험이 널리 알려진 것보다 크다고 말했다.[87][88]

새로운 바이러스의 유출로 인한 전염병은 발생한 적이 없다.[11] 실험실 감염이 전염병으로 이어진 유일한 사건은 1977년 러시아 독감으로, 이는 1950년대까지 자연적으로 순환하던 H1N1 균주가 유출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1]

이전의 새로운 질병 발생, 예를 들어 AIDS, H1N1/09, SARS, 에볼라 등은 원인 물질이 실험실에서 생성되었거나 탈출했다는 음모론과 주장의 대상이 되었다.[89][90][12] 이들 각각은 현재 자연적 기원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24] 반생명공학 활동가들은 올리브 나무의 식물 병원체가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라고 거짓 주장했으며,[91] 병원체가 실험실 균주가 아니라는 반대 증거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주장을 폈다.[92]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 병원체는 거짓 주장의 대상이 된 워크숍보다 훨씬 이전에 기원했으며, 수입 식물에 의한 더 일반적인 도입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다고 한다.[93]

심리적, 사회적 요인

[편집]

미국 대중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정체성 정치인종적 분노가 연구소 유출설과 코로나19 허위 정보에 대한 과도한 믿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는 그러한 믿음이 증거뿐만 아니라 뿌리 깊은 태도와 자아 개념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반박에 저항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제안한다.[94]

소셜 미디어에서는 코로나가 중국의 생물학적 무기였다는 주장이 널리 퍼졌으며, 이는 황화론이 백인을 위협한다는 수사와 일치한다.[95] 과학 역사가 프레드 쿠퍼와 동료들은 영국에서 중국인에 대한 태도가 오랫동안 외국인 혐오적 고정관념으로 얼룩져 있었다고 썼다. 쿠퍼는 우한 연구소 유출 서사와 "치명적인 동물 및 생물학적 물질 적용에 능숙하며" TV 쇼에서 서방을 치명적인 질병으로 위협하는 것으로 묘사된 가상의 슈퍼 악당 푸 만추의 음모를 비교한다.[96]

제안된 가설

[편집]

연구소 유출설은 단일한 개별 시나리오가 아니라, 한편으로는 합법적인 연구에서 비롯된 부주의한 사고부터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의 생물무기의 공학과 방출에 이르는 다양한 제안된 시나리오의 집합이다.[15] 제안된 시나리오들이 이론적으로는 증거 기반 조사에 따르지만, 연구소 유출 지지자들을 달래기에 충분히 반증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들은 유사 과학적이고 음모론적인 사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15]

코로나19 범유행이 시작되기 전에 어떤 실험실도 SARS-CoV-2 샘플이나 그럴듯한 조상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11]

다양한 출처에서 SARS-CoV-2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또는 우한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우한의 다른 실험실에서 유출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해 왔다. 이론들은 이것이 의도적인 행위였는지 아니면 사고였는지에 따라 다르다. 또한 바이러스가 방출되기 전에 인간 활동에 의해 변형되었는지 여부도 이론마다 다르다. 2020년 1월까지 일부 연구소 유출 지지자들은 음모론적 요소를 포함한 서사를 홍보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서사는 종종 "역학적, 유전적 또는 기타 과학적 데이터가 바이러스의 기원을 가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보류되거나 변경되었다"는 인종차별적 비유를 사용하여 지지되었다.[16] 데이비드 고르스키는 "연구소 유출 뒤에 있는 노골적인 반중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를 언급하며, 그 지지자들은 종종 "중국 정부에 사악한 은폐를 돌린다"고 말했다.[20] 고르스키는 나중에 연구소 유출 가설이 "과학적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다"고 말했다.[97] 외국인 혐오적 수사 사용은 또한 반중 감정의 증가를 야기했다.[98]

기원

[편집]

코로나19 범유행 초기에 연구소 유출에 대한 추측은 4chan인포워스를 포함한 음모론 지향 인터넷 부분에 국한되었지만, "중국 생물학적 무기"에 대한 비난이 그레이트 게임 인디아에서 처음 발표되고 레드 스테이트 워치제로 헤지 웹사이트에서 재게시된 후 아이디어가 더 넓은 관심을 얻기 시작했다.[99] 거기서부터 이 아이디어는 언론의 관심을 얻었고 미국의 보수 정치인들에 의해 지지되었다.[99]

이 아이디어는 아시아인이 코로나에 면역이라는 주장이나 중국이 사용할 비밀 백신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 등 여러 가지 변형으로 나뉘었다. 일부는 중국 정부와 세계보건기구가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주장했다.[99]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쿵푸 독감"과 같은 반중 수사를 사용하여 이 아이디어를 부추겼으며, 2020년 4월 기자회견에서 SARS-CoV-2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문서가 있다고 말했다.[99]

이러한 정치화된 환경에 대한 반응으로, 대부분의 주류 과학 및 언론 매체는 연구소 유출 아이디어를 인종차별적 선전 이상으로 여기지 않았으며, 2020년 여름까지 이 아이디어는 대체로 기각되었다. 그러나 다음 미국 대통령인 조 바이든이 2021년에 코로나 기원에 대한 조사를 명령하면서 다시 부상했다.[99]

자연 바이러스의 우발적 유출

[편집]

일부에서는 바이러스가 야생 동물에서 추출한 샘플과의 접촉 또는 포획 동물이나 그 호흡기 비말 또는 분변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실험실 직원의 우발적인 감염으로 인해 인간에게 발생했다고 추측한다.[29]

전 질병통제예방센터장 로버트 R. 레드필드는 2021년 3월에 자신의 의견으로는 바이러스의 가장 유력한 원인은 실험실 탈출이며, 이는 "어떤 의도성도 내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러스학자로서 초기 발생부터 바이러스가 "인간 대 인간 전파에 그렇게 효율적"이라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과학자들이 박쥐로부터 바이러스를 옮겨 인간에게 전파한 중간 숙주를 찾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일부에게는 연구소 유출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간주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100][101]

유타 대학교 바이러스학자 스티븐 골드스타인은 레드필드의 발언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비판하며, 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 간 점프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인간 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골드스타인은 "SARS-CoV2와 같은 인간 바이러스가 밍크 사이에서 전파될 수 있다면, 박쥐 바이러스[역시 SARS-CoV2]가 인간 사이에서 전파될 수 없다고 가정할 근거가 없다. 우리 인간은 우리가 매우 특별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바이러스에게 우리는 또 다른 포유류 숙주일 뿐이다"라고 말했다.[102]

2024년 6월, 도널드 트럼프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조정관이었던 데보라 버크스CNN카시에 헌트가 연구소 유출설을 불신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는지 묻자 "그렇다고 생각한다. 밥 레드필드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말했고, 그가 연구소 유출 가능성을 제기하려 했다는 이유로 그를 과학자로서 비난했는지 보면 알 수 있다"고 답했다. 그녀는 덧붙여 "레드필드가 그것을 제기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 이유, 즉 '이런 식으로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기 위해 그렇게 느낀 이유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알지 못했고, 결코 알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었다"고 말했다.[103][104]

WHO 평가

[편집]

2021년 3월에 발표된 WHO 주최 SARS-CoV-2 기원 글로벌 연구 보고서는 중국 및 국제 과학자들로 구성된 공동 팀이 작성했으며,[35][105] 실험실 사고를 통한 유입은 "극히 희박"하며 어떠한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48][106] 그러나 보고서는 추가 증거 없이는 이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29] 보고서는 중간 동물 숙주를 통한 인간 스필오버가 가장 유력한 설명이며, 박쥐로부터 직접적인 스필오버가 그 다음으로 유력하다고 밝혔다. 식품 공급망과 우한화난수산물도매시장을 통한 유입은 덜 유력하다고 간주되었다.[48]

소수의 연구자들은 이 보고서가 중국 정부의 감독을 받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부 관찰자들은 WHO의 성명이 시기상조라고 느꼈다.[19] 다른 과학자들은 이 보고서가 설득력이 있다고 보았으며, 바이러스의 실험실 기원에 대한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105][11]

WHO 사무총장 테워드로스 아드하놈은 팀이 초기 코로나19 사례에 대한 원시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가장 가능성이 낮은 가설인 연구소 유출은 "더 견고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추가 데이터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므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32][35][107] WHO 조사팀의 리더인 피터 벤 엠바렉은 "실험실 직원이 박쥐 동굴에서 샘플을 채취하다가 감염된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실험실 유출이면서도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인간으로 직접 전파되었다는 우리의 첫 번째 가설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108]

미국, 유럽 연합 및 13개국은 WHO 주최 연구를 비판하며 중국 정부에 투명성을 요구하고 원시 데이터 및 원본 샘플에 대한 접근을 요청했다.[109] 중국 관료들은 이러한 비판을 "연구를 정치화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110] WHO 보고서에 참여한 과학자들, 즉 량 완니안, 존 왓슨, 피터 다스작 등은 비판에 반대하며, 이 보고서가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성공적으로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과 대화의 예라고 말했다.[110]

2021년 7월 15일, 테워드로스 아드하놈은 코로나19 연구소 유출설이 WHO에 의해 시기상조로 기각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그가 이전에 "추가적인 데이터와 연구가 필요하며, 전문가 참여를 통한 추가 임무가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한 뒤 나온 발언이었다.[111] 그는 WHO 조사의 2단계 진행을 제안했으며, 이를 통해 연구소 유출설을 더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 정부에 "투명하게" 관련 데이터를 공개해달라고 요청했다.[112] 7월 17일, 테드로스는 초기 코로나19 발병 지역의 "관련 실험실 및 연구 기관에 대한 감사"를 요청했다.[113]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무례"하고 "과학에 대한 오만"을 보였다며 거부했다.[114][112][115] 미국은 중국의 후속 기원 조사에 대한 입장을 "무책임하고" "위험하다"고 비판했다.[116]

2022년 6월, WHO의 Scientific Advisory Group for Origins of Novel Pathogens (SAGO)는 연구소 유출 가능성에 대한 심층 조사를 촉구하는 예비 보고서를 발표했다.[117] SAGO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가장 강력한 증거는 여전히 인수공통감염병 전파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118] AP는 이 보고서를 WHO의 이전 평가에 대한 "급격한 역전"이라고 표현했으며,[117] 사이언스.org는 학자들의 반응이 엇갈렸다고 설명했다.[118]

2023년 초, WHO는 SARS-CoV-2 기원에 대한 원래 조사를 중단하고, 이를 상임위원회인 Scientific Advisory Group for Origins of Novel Pathogens (SAGO)에 위임했다. 이 작업은 코로나19 타임라인을 설정하고, 유사 바이러스를 검색하며, 동물 및 인간 샘플에 대한 추가 실험실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119]

모장 구리 광산

[편집]

연구소 유출설을 주장하는 인터넷 활동가 그룹인 DRASTIC의 구성원들은[120][121] 스정리 그룹이 조사했던 2012년 봄 중국의 폐쇄된 구리 광산 근처에서 발생한 호흡기 질환 발생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스정리 그룹은 바이러스 RNA 샘플을 채취하여 RaBtCoV/4991로 명명했다.[23] 이후 스정리 그룹은 2020년 2월 네이처에 RaTG13이라는 바이러스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51] 서열 비교를 통해 RaBtCoV/4991과 RaTG13이 동일한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스정리는 이름 변경이 바이러스의 기원 위치와 연도를 반영하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말했다.[55]

니콜라스 웨이드와 가명을 쓰는 DRASTIC 회원 "TheSeeker268"을 포함한 일부 지지자들은 이름 변경이 바이러스의 기원을 숨기고 관련 SARS-CoV-2 바이러스의 실험실 기원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 숨기려는 시도였다고 주장했다.[122] 과학자들은 RaTG-13이 팬데믹의 기원과 관련되기에는 너무 멀리 관련되어 있으며, 실험실에서 SARS-CoV-2를 만들기 위해 변형될 수 없다고 말했다.[123] 네이처는 나중에 2020년 RaTG13 논문에 광산과의 가능한 연결고리를 다루는 추가 정보를 발표했는데, 스정리는 바이러스가 거기에서 채취되었지만 광부들의 질병 원인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추가 정보에 따르면, 작업자 혈청에 대한 실험실 테스트는 음성이었고, "SARS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55]

유전자 변형 바이러스의 우발적 유출

[편집]

SARS-CoV-2유전공학의 결과가 아니라는 과학적 합의가 있다.[1] 그러나 실험실 기원을 지지하는 한 가지 음모론은 SARS-CoV-2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기능 획득 연구를 위해 개발되었다고 주장한다.[124] "기능 획득"의 정확한 의미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다.[73][125][126] 스정리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신종 감염병센터장의 이메일 성명에 따르면, 그녀의 연구실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미공개 기능 획득 실험을 수행한 적이 없으며, 팬데믹 초기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모든 직원과 학생들은 바이러스 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였다.[127]

푸린 절단 부위

[편집]
다양한 베타코로나바이러스에서 푸린 절단 부위의 존재 (빨간색) 또는 부재 (검은색)를 묘사한 계통수. 우 et al.에서 발췌.[128]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는 한 가지 주장은 SARS-CoV-2 바이러스의 유전적 구성에 "부자연스러운" 점이 있어 유전공학에 의해 만들어졌음이 틀림없다는 전제에 기반한다.[15] 일부 생명공학 주장은 바이러스 RNA의 두 개의 연속적인 사이토신-구아닌-구아닌 (CGG) 코돈이, 특히 중요한 푸린 절단 부위에 존재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23][12] CGG 코돈은 번역되어 아르기닌 아미노산이 되는 여러 코돈 중 하나이며, 인간 병원성 베타코로나바이러스에서 가장 흔하지 않은 아르기닌 코돈이다.[129] 부분적으로는 인간 병원성 코로나바이러스에 CGG 코돈이 부족한 것은 자연선택 때문이다. 인체 내 B 세포는 바이러스 게놈에서 C와 G가 인접해 있는 영역(소위 CpG 섬)을 인식한다.[29][130] CGG 코돈은 SARS-CoV-1 게놈에서 아르기닌 코돈의 5%를 차지하며, SARS-CoV-2 게놈에서는 아르기닌 코돈의 3%를 차지한다.[23]

언론인 니콜라스 웨이드를 포함한 공학 바이러스 지지자들은 두 개의 희귀한 코돈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실험실 실험의 증거라고 말한다. 자연에서 CGG 코돈 쌍이 발생할 확률이 낮고, 대조적으로 유전 공학 작업에서 아르기닌에 CGG 코돈이 흔히 사용되기 때문이다.[23][12] 이는 과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는데,[131][132] 그들은 CGG 코돈이 MERS-CoV를 포함한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존재하며(심지어 더 흔하다),[133] 코돈이 희귀하다고 해서 자연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지적한다.[132][134] 만약 CGG 코돈이 바이러스에 공학적으로 삽입되었다면, 수년에 걸쳐 인간에게 순환하면서 바이러스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야 했지만, 그 반대가 발생했다.[134] 사실, 전염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푸린 절단 부위의 존재는 그것을 코딩하는 유전 서열에 의해 유발되는 B-세포의 불리한 면역 반응을 크게 상쇄한다.[130][29]

또 다른 추측의 원인은 푸린 절단 부위의 단순한 존재이다.[24][128] SARS-CoV-2의 가장 가까운 알려진 친척에는 없지만(다른 베타코로나바이러스에는 존재함, 예: BtHpCoV-ZJ13),[135] 이는 가장 가능성 높은 재조합의 결과이며,[128][136] 이러한 바이러스의 유전 계보가 충분히 탐색, 샘플링 또는 서열 분석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놀랄 일이 아니다.[137][138] 다른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HCoV-OC43, HCoV-HKU1 포함, HKU9-1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나타남)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부위는 단순한 진화 메커니즘으로 인한 자연적인 재조합을 시사하는 짧은 회문 서열로 선행된다. 또한, 알려진 사례(HCoV-OC43 또는 HCoV-HKU1 등)와 비교할 때 인간이나 쥐에 대한 절단 부위의 최적화되지 않은 구성과 미흡한 표적화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분자 생물학적 작업을 필요로 했을 것이며, 이는 공학적으로 조작된 바이러스에서 예상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139]

Project DEFUSE는 2021년 9월 DRASTIC이 온라인에 게시한[140] 거부된 DARPA 보조금 신청으로,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샘플링할 것을 제안했다.[141] 거부된 제안서에는 에코헬스 얼라이언스피터 다스작, UNC랄프 바릭, 싱가포르 듀크-NUS 의과대학의 왕린파,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스정리가 공동 연구자로 포함되었다.[120] 보조금 수령자들은 박쥐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인간 세포를 감염시키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서 변이된 키메라 코로나바이러스를 사용하고, 미래 인간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야생 박쥐에게 배포될 스파이크 (S) 단백질 (전체 바이러스가 아님)을 기반으로 단백질 백신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142] 제안된 한 가지 변경 사항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변형하여 스파이크 (S) 바이러스 단백질의 S1/S2 접합부에 푸린 효소의 절단 부위를 삽입하는 것이었다. SARS 관련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조작이나 역유전학 (키메라 바이러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술)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는 증거는 없다.[120][143] 모든 가용한 증거는 SARS-CoV-2 푸린 절단 부위가 자연 진화의 결과임을 시사한다.[128][136][139]

정치 및 정부의 견해

[편집]

이 상황은 기능 획득 연구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붙였지만, 이 문제를 둘러싼 격렬한 정치적 수사는 이 분야의 정책에 대한 진지한 조사를 방해할 위험이 있다.[144] 연구자들은 논쟁의 정치화가 과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말이 종종 "음모론의 먹이"가 되도록 왜곡된다고 말했다.[145][24][29] 2015년에 SARS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수행된 실험이 팬데믹의 원인이라는 주장은 팬데믹 초기에 영국 타블로이드에 보도되었다.[146] 바이러스학자 앤젤라 라스무센은 기능 획득 연구가 엄격한 조사와 정부 감독을 받으므로 이러한 주장은 가능성이 낮고, 얻기 어려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비밀리에 이루어질 수 없다고 말했다.[75]

켄터키주 랜드 폴 상원의원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우한에서 기능 획득 연구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주장하며, 역학자 랄프 바릭을 포함한 연구자들이 "슈퍼 바이러스"를 만들었다고 비난했다.[125][73] 앤서니 파우치와 NIH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는 모두 미국 정부가 그러한 연구를 지원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125][126][147] 바릭 또한 폴의 주장을 부인하며, 그의 연구실에서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의 종간 전파에 대한 연구는 기능 획득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73]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키메라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2017년 연구에 NIH가 스폰서로 등재되었지만, NIH 자금은 샘플 수집과만 관련이 있었다.[73] 워싱턴 포스트의 팩트체커는 "에코헬스 자금은 실험과 관련이 없었으며, 샘플 수집과 관련이 있었다"고 언급하며 "바릭의 연구에 대한 진술은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73] 2021년 10월, NIH 대변인은 에코헬스 얼라이언스가 쥐 실험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예상보다 더 많은 체중 감소를 유발했다는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했음을 인정했다.[148] 이것은 연구의 의도된 결과나 원래 자금 제안의 구성 요소가 아닌 예상치 못한 결과로 설명되었다.[149] 중요한 점은 NIH 대변인이 이 발견이 늦은 진행 보고서에서 제공되었으며,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실험에 대한 이전 진술 이전에 사용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150]

2021년 8월,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공화당 의원들인 소수당 직원이 작성한 잠정 보고서에 따르면, SARS-CoV-2의 실험실 유출 기원이 자연적 기원보다 더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151][152] 이 보고서는 SARS-CoV-2가 2012년 윈난성의 동굴에서 채취된 RaTG13 바이러스에 대한 기능 획득 연구의 결과로 인간에게 출현했으며, 이후 2019년 9월 12일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데이터베이스가 오프라인으로 전환되기 전 어느 시점에 우발적으로 유출되었다고 주장했다.[153][154] 2021년 8월 보고서는 대부분 기존의 공개 증거와 팬데믹 초기 전후의 CCP 내부 문서를 기반으로 한다.[155]

잠정 보고서는 프로퍼블리카배너티 페어의 공동 조사와 동시에 발표되었다.[156][157] 발표 직후, 이 보고서는 외교 및 중국어 전문가들로부터 중국 문서의 오역 및 오해석에 대해 강한 비판을 받았다.[158][159] 세균학자이자 연구소 유출설 지지자인 리처드 이브라이트는 보고서가 기존에 검토되었던 증거를 새로운 정보로 포장한 것을 비판했다.[151] 진화생물학자 마이클 워로비는 이 문서가 2022년 11월 중간선거에서 "공화당 표를 얻으려는 냉소적인 노력"이거나 "과학을 이해할 능력이 없는 직원들이 잘못된 정보와 오해로 가득 찬 트윗을 우연히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다.[160] 바이러스학자 앤젤라 라스무센은 이 보고서를 "납세자 돈과 자원을 끔찍하게 낭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151] 보고서의 최종본은 2023년 4월 18일에 발표되었다. 최종본은 "정황 증거의 우세"를 근거로 팬데믹이 2019년 가을 실험실 사고에서 시작되었다는 잠정적인 입장을 재확인했다.[161]

유전공학에 대한 비주류 견해

[편집]

실험실 유출설에 대한 최초의 기록된 언급은 2020년 1월 5일 홍콩 사용자 @GarboHK가 게시한 트윗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정부가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고 의도적으로 유출했다고 암시했다.[25][26] 유사한 아이디어는 2020년 1월 31일 인도 공과대학교 연구원들이 BioRxiv에 게시한 프리프린트에서 나중에 공식화되었는데, 이 논문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과 HIV의 게놈 사이에 유사성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논문은 연구원들의 "기술적 접근과... 결과 해석"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빠르게 철회되었다.[162][163] 이 주장은 논란이 많은 프랑스 바이러스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뤼크 몽타니에에 의해 제기되었는데, 그는 SARS-CoV-2가 HIV/AIDS 백신 연구 중에 만들어졌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164][165] 생물정보학 분석에 따르면 공통 서열은 짧고, 그 유사성은 공통 기원 가설을 뒷받침하기에 불충분하며, 확인된 서열은 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다양한 시점에서 발생한 독립적인 삽입물이었다.[29][166][167]

주디 미코비츠제임스 라이언스-바일러와 같은 몇몇 반백신 활동가들은 SARS-CoV-2가 실험실에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으며,[168] 미코비츠는 바이러스가 고의적으로 조작되고 고의적으로 유출되었다고 더 나아가 주장했다.[169][12] 바일러의 분석은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중간의 긴 서열이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험실 재조합의 증거라고 주장했지만, 과학자들은 문제의 서열이 다른 많은 코로나바이러스에서도 발견되어 자연에서 "널리 퍼져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를 일축했다.[168][더 나은 출처 필요]

중국 연구원 옌리멍은 2020년 봄에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는 널리 비판받는 프리프린트 논문을 발표하며 고의적인 유전공학의 초기 지지자였다.[170][171] 그녀가 프리프린트를 발표한 후, 정치 활동가들(스티브 배넌궈원구이 포함)은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팬데믹 대처를 비판하기 위한 방법으로 옌이 2020년 여름 미국으로 도피하여 우익 언론 매체에서 강연을 하도록 주선했다.[172] 존스 홉킨스 건강 안보 센터의 과학 검토자들에 따르면, 옌의 논문은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모순되고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했으며,[171] MIT 프레스Rapid Reviews: COVID-19 검토자들은 그녀의 프리프린트가 "주장을 뒷받침할 충분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170]

2022년 9월, 더 란셋이 구성한 패널은 팬데믹에 대한 광범위한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그룹 회장 제프리 삭스가 감독한 바이러스 기원에 대한 논평이 포함되었다. 이는 바이러스가 미국 실험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으로, 삭스가 오랫동안 주장해 온 개념이며, 음모론자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의 팟캐스트에서도 언급되었다. 이에 대해 바이러스학자 앤젤라 라스무센은 이것이 "과학과 의학에 대한 중요한 발견을 전달하는 수호자이자 리더로서의 역할에 있어 란셋의 가장 수치스러운 순간 중 하나"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173] 바이러스학자 데이비드 로버트슨은 미국 실험실 연루 가능성에 대한 제안이 "황당한 추측"이며 "그처럼 중요한 주제에 대한 추가적인 잘못된 정보에 기여하는 잠재적으로 영향력 있는 보고서를 보는 것이 정말 실망스럽다"고 말했다.[173]

고의적 유출

[편집]

과학사학자 나오미 오레스케스는 바이러스가 고의적으로 유출되었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신뢰할 만한 과학자는 알지 못하며, 바이러스가 우발적으로 탈출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더 그럴듯하다고 말했다.[174]

미국에서는 마샤 블랙번 상원의원이 "중국은 5천년 동안 속임수와 절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어떤 것들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에 대해 "생물학적 무기" 사용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제안했다.[175]

정치, 학계, 언론의 관심

[편집]

언론 보도

[편집]

SARS-CoV-2 연구소 유출을 시사하는 최초의 언론 보도는 2020년 1월 말 데일리 메일워싱턴 타임스에 실렸다.[25] 2020년 1월 31일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리처드 이브라이트 교수는 SARS-CoV-2가 우한의 실험실 사고를 통해 인간에게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바이러스의 게놈 서열 및 특성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자연적 사고 또는 실험실 사고로 인한 인간 개체군으로의 유입과 일치한다"고 말했다.[176] 2021년 2월 5일 차이신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보도는 두 가지 출처에서 비롯된 소문으로 묘사되었는데, 하나는 나중에 철회된 인도 학자가 BioRxiv에 게시한 프리프린트 논문이고, 다른 하나는 BBC 차이나 보고서였다.[177][178] 2023년 2월 8일, 미국 국립보건원(NIH) 임시 국장은 공화당 주도 하원 위원회에서 우한 연구소에서 연구된 바이러스는 SARS-CoV-2와 "전혀 관계가 없다"며, 동등성을 제안하는 것은 "인간이 소와 같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증언했다.[179]

2021년 초, 새롭게 언론에서 논의되면서 이 가설은 다시 대중적인 논쟁으로 떠올랐다.[180] 새롭게 떠오른 관심은 두 가지 사건에 의해 촉발되었다. 첫째, 5월에 월스트리트 저널에 게재된 기사는 2019년 11월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실험실 직원들이 코로나19와 유사한 증상으로 병에 걸렸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는 정보 관리들과의 비공식 브리핑에 기반을 두었다.[180][122][181] 이 사례들은 중국 정부가 2019년 12월에 첫 번째 사례가 발생했다고 공식 보고한 것보다 앞선다. 비공개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가장 이른 사례는 11월 중순에 발견되었다.[182][183] 가디언은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가 연구소 유출 가능성을 양질의 증거로 거의 확인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84] 국가정보국의 기밀 해제 보고서도 연구원들이 입원한 사실이 발병의 기원과 무관하다고 밝혔다.[185] 둘째, 2020년 2월 란셋 성명의 주요 조직자인 피터 다스작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와의 관계를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31][180][122][186] 란셋은 나중에 다스작이 중국 연구원들과의 이전 협력을 나열한 추가 정보를 발표했다.[187]

WHO 주최 보고서가 발표된 후, 정치인, 토크쇼 진행자, 언론인, 그리고 일부 과학자들은 SARS-CoV-2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나왔을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37] DRASTIC도 트위터를 통해 그 홍보에 기여했다.[188] 2021년 7월, 하버드-폴리티코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52%가 코로나19가 실험실 유출에서 유래했다고 믿었으며, 28%는 코로나19가 자연에서 감염된 동물에서 유래했다고 믿었다.[189] 2023년 3월까지, 실험실 기원을 믿는 미국인의 비율은 3년 전보다 두 배 증가(30%에서 60%로)했으며, 자연 기원을 믿는 미국인의 비율은 절반으로 감소(40%에서 20%로)했다.[190]

과학 교육자 헤슬리 마차도 실바는 중국산 바이러스라는 아이디어를 "외국인 혐오적인 소셜 네트워크 십자군"의 일부로 묘사하며, 이는 터무니없는 영화 시나리오와 유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백만 명의 인터넷 추종자를 얻었다. 실바는 팬데믹이 인류에게 "더 나은 존재가 되고 증오를 조장할 기회가 아니어야 한다"는 간절한 소망을 제기한다.[191]

2021년 5월 이후, 일부 언론 기관은 연구소 유출설을 "논박된" 또는 "음모론"으로 묘사하던 이전의 표현을 완화했다.[192] 그러나 지배적인 과학적 견해는 우발적 유출이 가능하지만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이었다.[34][37]

중국-미국 관계

[편집]

코로나19의 기원은 미국–중국 관계의 마찰의 원인이 되었다. 연구소 유출설은 2020년 초 미국의 정치인과 언론, 특히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다른 저명한 공화당원, 보수 언론(폭스 뉴스의 논평가 터커 칼슨, 전 브라이트바트 뉴스 발행인이자 백악관 수석 전략가 스티브 배넌 등)에 의해 유포되었다.[180][122] 트럼프는 또한 바이러스를 "쿵푸 독감"이라고 지칭했으며,[193] 행정부는 또한 중국에 대한 제재 의사를 표명했다.[194] 2020년 4월, 트럼프는 연구소 유출설에 대한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시하기를 거부했다.[122][195] 당시 언론은 자연 바이러스의 우발적인 실험실 유출과 생물 무기 기원 음모론을 구별하지 않았다. 온라인 토론에서는 연구소 유출설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들이 더 큰, 근거 없는 음모론적 줄거리로 결합되었다.[180]

2020년 5월, 폭스 뉴스 진행자 터커 칼슨앤서니 파우치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WIV)에서 기능 획득 연구를 통해 "COVID의 생성을 지원했다"고 비난했다.[125] 과학 작가 니콜라스 웨이드의 에세이를 인용하며 칼슨은 파우치가 박쥐 바이러스를 인간에게 더 감염성이 있게 만드는 연구를 지시했다고 주장했다.[147] 페이스북은 연구소 유출설에 대한 논의를 허위 정보로 간주하여 삭제하는 정책을 시행했으며, 1년 뒤인 2021년 5월에 이 금지를 해제했다.[31][196][197]

BBC 중국 보고서에 따르면 2월 14일, 시진핑 중국 주석이 생물 안전을 법으로 통합할 것을 제안했고, 다음 날 바이러스 연구실, 특히 바이러스를 다루는 연구실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조치가 도입되었다.[177][178] 2020년 4월, 가디언은 중국이 발병 원인에 대한 서사를 통제하고 바이러스가 중국 밖에서 시작되었다는 추측을 부추기기 위해 국내 연구를 엄격히 규제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보도했다.[198] 2020년 5월, 중국 국영 언론은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조지 가오 소장의 발언을 포함하여 해산물 시장과 바이러스 연구소가 가능한 발원지라는 주장을 반박하는 과학자들의 성명을 보도했다.[199]

미국에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근거 없는 생물 무기 주장 등을 포함한 반중 정보가 확산되어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공격적인 수사를 부추겼고,[200] 과학자들에 대한 괴롭힘으로 이어졌다.[37] 일부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발언이 오해되어 인종차별적 수사를 지지하는 데 사용될까 봐 우려했다.[193] 제시 블룸 외 여러 명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서한SARS-CoV-2의 불확실한 기원을 설명하며 잘못된 정보의 확산에 기여했다.[201][202] 이 서한은 바이러스학자와 공중 보건 전문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들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 대한 "적대적이고" "분열적인" 집중은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고, 투기적이고 무의미한 주장과 결합하여 중국의 팬데믹 대응과 투명성에 대한 정당한 우려에 대한 조사를 방해하며,[23] 중국 과학자와 당국이 데이터를 덜 공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37]

일부 중국 정부 관리들은 SARS-CoV-2가 미국의 포트 데트릭 군사 시설에서 유래했다는 반음모론을 제기했다.[203][115] 이 이론은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미국의 실험실을 조사하라는 중국의 요구는 우한에서 초점을 옮기기 위한 주의를 분산시키는 기술로 여겨진다.[204]

과학자들에 대한 공격

[편집]

연구소 유출설의 모든 종류의 일관된 특징은 과학자들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린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조작하거나 부주의하게 실험실에서 탈출하도록 허용했으며, 그들의 잘못을 은폐하기 위해 공모했다고 비난받는다.[205]

럿거스 대학교 교수진인 리처드 이브라이트와 브라이스 니켈스는 연구소 유출 주장을 펴는 주요 소셜 미디어 게시자였으며, 코로나19 연구자들을 계속 공격하고 그들을 나치폴 포트에 비유했다. 2024년 3월, 12명의 과학자들이 이브라이트와 니켈스가 자신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메시지를 소셜 미디어에 게시했다며 럿거스에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이브라이트는 이 항의가 "상대방을 침묵시키려는 조잡한 시도"라고 반응했고, 니켈스는 항의가 "고의적인 거짓말"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206]

부정적인 사회적 영향

[편집]

폴 태커 (British Medical Journal 기고)에 따르면, 일부 과학자와 기자들은 "팬데믹 초기부터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객관적인 고려가 잘못되었는데,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자들이 연구소 유출 가설을 '음모론'으로 분류하는 캠페인을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31] 2020년 2월, 피터 다스작이 주도한 27명의 과학자가 서명한 서한이 더 란셋에 발표되었는데, 이 서한은 일부 다른 기원 아이디어를 "음모론"으로 묘사했다.[207] 필리파 렌초스는 일부 과학자들이 경력과 연구비를 걱정하여 "단합"했다고 말했다.[31] 이 서한은 제이미 메츨로부터 "과학적 선전과 폭력"으로,[208] 캐서린 이반으로부터는 과학 연구와 과학계에 "냉각 효과"를 가져왔으며, 연구소 유출설을 "제기하는 과학자들 ... 음모론자들의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고 비판했다.[209][122]

2020년 초, 제러미 파라, 크리스티안 G. 안데르센, 로버트 F. 개리 등을 포함한 과학자들은 앤서니 파우치에게 연구소 유출에 대한 안데르센이 "미친 음모론"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그리고 증거가 이를 뒷받침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담긴 이메일을 보냈다.[210][211] 당시 NIH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는 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국제적 조화"를 해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212] 자연에서 유사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게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며, 팬데믹 초기부터 더 많은 게놈 서열이 공개되면서, 이들 과학자들은 가장 가능성이 높은 설명으로 인수공통감염병 이론을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213][214][11][215]

일부 언론인과 과학자들은 도널드 트럼프가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면서 발생한 인식된 양극화로 인해 팬데믹 첫 해 동안 연구소 유출설을 기각하거나 논의를 피했다고 말했다.[193][192][216][217] 미국 미생물학회 이사회 의장인 아르투로 카사데발은 자신(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이 이전에 연구소 유출 가설을 과소평가했다고 말했다. "주로 당시 [팬데믹 초기]에는 의도적으로 조작된 바이러스라는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2021년 5월까지는 과학계에서 "오랫동안 끓어오르던 우려"였으며, 그에 대한 "더 큰 개방성"을 인식했다고 말했다.[218]

2022년 가을까지, 과학적 합의는 팬데믹이 자연적인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었다.[219][11][13] 가장 유력한 자연 숙주는 박쥐에 존재하며, 인간에게 스필오버되기 전 사향고양이,[220][221] 밍크,[222][221] 또는 천산갑[57][223]

각주

[편집]
  1. McDonald, Jessica (2025년 5월 23일). “Trump Administration Incorrectly Claims Certainty About Origin of Coronavirus”. 《FactCheck.org》. 2025년 5월 24일에 확인함. 
  2. 참조:
    • Pekar, Jonathan (2022년 7월 26일).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multiple zoonotic origins of SARS-CoV-2》. 《사이언스377. 960–966쪽. Bibcode:2022Sci...377..960P. doi:10.1126/science.abp8337. PMC 9348752. PMID 35881005. 
    • Jiang, Xiaowei; Wang, Ruoqi (2022년 8월 25일). 《Wildlife trade is likely the source of SARS-CoV-2》. 《사이언스377. 925–926쪽. Bibcode:2022Sci...377..925J. doi:10.1126/science.add8384. PMID 36007033. S2CID 251843410. 2022년 11월 20일에 확인함. Although the most probable reservoir animal for SARS-CoV-2 is Rhinolophus bats (2, 3), zoonotic spillovers likely involve an intermediate animal. 
    • Holmes EC, Goldstein SA, Rasmussen AL, Robertson DL, Crits-Christoph A, 외. (September 2021). 《The origins of SARS-CoV-2: A critical review》. 《Cell》 (Review) 184. 4848–4856쪽. doi:10.1016/j.cell.2021.08.017. PMC 8373617. PMID 34480864. As for the vast majority of human viruses, the most parsimonious explanation for the origin of SARS-CoV-2 is a zoonotic event...There is currently no evidence that SARS-CoV-2 has a laboratory origin. There is no evidence that any early cases had any connection to the WIV, in contrast to the clear epidemiological links to animal markets in Wuhan, nor evidence that the WIV possessed or worked on a progenitor of SARS-CoV-2 prior to the pandemic. 
    • Bolsen, Toby; Palm, Risa; Kingsland, Justin T. (October 2020). 《Framing the Origins of COVID-19》. 《Science Communication》 (영어) 42. 562–585쪽. doi:10.1177/1075547020953603. ISSN 1075-5470. PMC 7484600. PMID 38603006. S2CID 221614695. Individuals may learn about the origins of COVID-19 through exposure to stories that communicate either what most scientists believe (i.e., zoonotic transmission) or through exposure to conspiratorial claims (e.g., the virus was created in a research laboratory in China). 
    • Robertson, Lori (2023년 3월 2일). “Still No Determination on COVID-19 Origin”. 《FactCheck.org》.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most scientists suspect a zoonotic spillover in which the virus transferred from bats, or through an intermediate animal, to humans – the same way the SARS and MERS coronaviruses originated. 
    • Gajilan, A. Chris (2021년 9월 19일). “Covid-19 origins: Why the search for the source is vital” (영어). CNN.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The zoonotic hypothesis hinges on the idea that the virus spilled over from animals to humans, either directly through a bat, or through some other intermediary animal. Most scientists say that this is the likely origin, given that 75% of all emerging diseases have jumped from animals into humans. 
    • McDonald, Jessica (2021년 6월 28일). “Where Did COVID-19 Start? The Facts and Mysteries of Its Origin”. 《NBC 5 Dallas-Fort Worth》.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The default answer for most scientists has been that the virus, SARS-CoV-2, probably made the jump to humans from bats, if it was a direct spillover – or, more likely, through one or more intermediate mammals. 
    • McKeever, Amy (2021년 4월 6일). “We still don't know the origins of the coronavirus. Here are 4 scenarios.”. 《National Geographic》 (영국 영어).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The most controversial hypothesis for the origin of SARS-CoV-2 is also the one that most scientists agree is the least likely: that the virus somehow leaked out of a laboratory in Wuhan where researchers study bat coronaviruses. 
    • Ball, Philip. “Three years on, Covid lab-leak theories aren't going away. This is why”. 《prospectmagazine.co.uk》 (영어). The leading theory now backed by most scientists is that the virus arose in wild bats and found its way into animals (perhaps via a pangolin or a civet cat) sold at the Huanan Seafood Wholesale Market in Wuhan. 
    • Jackson, Christina (2020년 9월 21일). “Controversy Aside, Why the Source of COVID-19 Matters”. 《GEN – Genetic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News》.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Most scientists studying the origins of COVID-19 have concluded that the SARS-CoV-2 virus probably evolved naturally and infected humans via incidental contact with a wild or domesticated animal. 
    • McCarthy, Simone (2021년 9월 16일). “Bat-human virus spillovers may be very common, study finds”. 《South China Morning Post》 (영어).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whether the virus could have leaked from a laboratory studying related viruses in Wuhan – a scenario most scientists...feel is less likely than a natural spillover. 
    • Danner, Chas (2021년 5월 26일). “Biden Joins the COVID Lab-Leak-Theory Debate”. 《Intelligencer》 (미국 영어). 2023년 5월 24일에 확인함. There continues to be no evidence at all for the conspiracy theory that SARS-CoV-2, the virus that causes COVID-19, was developed as some kind of bioweapon, and most scientists believe that the majority of available evidence indicates the virus jumped from animal to human. 
  3. Zimmer, Carl; Mueller, Benjamin (2022년 2월 26일). “New Research Points to Wuhan Market as Pandemic Origin”. 《The New York Times》. 2023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13일에 확인함. 
  4. Jiang, Xiaowei; Wang, Ruoqi (2022년 8월 25일). 《Wildlife trade is likely the source of SARS-CoV-2》. 《사이언스377. 925–926쪽. Bibcode:2022Sci...377..925J. doi:10.1126/science.add8384. PMID 36007033. S2CID 251843410. 2022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20일에 확인함. 
  5. Frazzini, Sara; Amadori, Massimo; Turin, Lauretta; Riva, Federica (2022년 10월 7일). 《SARS CoV-2 infections in animals, two years into the pandemic》. 《Archives of Virology》 167. 2503–2517쪽. doi:10.1007/s00705-022-05609-1. PMC 9543933. PMID 36207554. 
  6. Fenollar, Florence; Mediannikov, Oleg; Maurin, Max; Devaux, Christian; Colson, Philippe; Levasseur, Anthony; Fournier, Pierre-Edouard; Raoult, Didier (2021년 4월 1일). 《Mink, SARS-CoV-2, and the Human-Animal Interface》. 《Frontiers in Microbiology》 12 (Frontiers Media SA). 663815쪽. doi:10.3389/fmicb.2021.663815. ISSN 1664-302X. PMC 8047314. PMID 33868218. 
  7. Zhao, Jie; Cui, Wei; Tian, Bao-ping (2020). 《The Potential Intermediate Hosts for SARS-CoV-2》. 《Frontiers in Microbiology》 11. 580137쪽. doi:10.3389/fmicb.2020.580137. ISSN 1664-302X. PMC 7554366. PMID 33101254. 
  8. Qiu, Xinyu; Liu, Yi; Sha, Ailong (2022년 9월 28일). 《SARS-CoV-2 and natural infection in animals》. 《Journal of Medical Virology》 95. jmv.28147쪽. doi:10.1002/jmv.28147. PMC 9538246. PMID 36121159. 
  9. Gupta, SK; Minocha; Thapa, PJ; Srivastava, M; Dandekar, T (2022년 8월 14일). 《Role of the Pangolin in Origin of SARS-CoV-2: An Evolutionary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3. 9115쪽. doi:10.3390/ijms23169115. PMC 9408936. PMID 36012377. 
  10. 말굽 박쥐(Rhinolophus spp.)와 인간 사이의 중간 동물 숙주에 대한 제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1. Holmes EC, Goldstein SA, Rasmussen AL, Robertson DL, Crits-Christoph A, 외. (September 2021). 《The origins of SARS-CoV-2: A critical review》. 《Cell》 (Review) 184. 4848–4856쪽. doi:10.1016/j.cell.2021.08.017. PMC 8373617. PMID 34480864. No epidemic has been caused by the escape of a novel virus ... Under any laboratory escape scenario, SARS-CoV-2 would have to have been present in a laboratory prior to the pandemic, yet no evidence exists to support such a notion and no sequence has been identified that could have served as a precursor. 
  12. Gorski, David (2021년 5월 31일). “The origin of SARS-CoV-2, revisited”. Science-Based Medicine. 2021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The second [version of the lab leak] is the version that "reasonable" people consider plausible, but there is no good evidence for either version. 
  13. Holmes, Edward C. (2022년 8월 14일). “The COVID lab leak theory is dead. Here's how we know the virus came from a Wuhan market”. 《The Conversation》 (영어). 2022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4일에 확인함. For the lab leak theory to be true, SARS-CoV-2 must have been present in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before the pandemic started. This would convince me. But the inconvenient truth is there's not a single piece of data suggesting this. There's no evidence for a genome sequence or isolate of a precursor virus at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Not from gene sequence databases, scientific publications, annual reports, student theses, social media, or emails. Even the intelligence community has found nothing. Nothing. And there was no reason to keep any work on a SARS-CoV-2 ancestor secret before the pandemic. 
  14. “COVID-19 lab leak theory ends with a whimper, not a bang”. 《시드니 모닝 헤럴드》. 2023년 6월 27일. 2023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24일에 확인함. 
  15. Lewandowsky S, Jacobs PH, Neil S (2023). 〈Chapter 2: Leak or Leap? Evidence and Cognition Surrounding the Origins of the SARS-CoV-2 Virus〉. Butter M, Knight P. 《Covid Conspiracy Theories in Global Perspective》. Taylor & Francis. 26–39쪽. doi:10.4324/9781003330769. ISBN 978-1-032-35943-4. OCLC 1356800927. 
  16. Garry, Robert F. (2022년 11월 10일). 《The evidence remains clear: SARS-CoV-2 emerged via the wildlife trad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9. e2214427119쪽. Bibcode:2022PNAS..11914427G. doi:10.1073/pnas.2214427119. eISSN 1091-6490. ISSN 0027-8424. PMC 9704731. PMID 36355862. Most lab leak proponents don't mention that most major Chinese cities have one or more active coronavirus laboratories. The Chi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se laboratories after multiple spillovers of the first SARS-CoV in 2002 through 2004. 
  17. Frutos, Roger; Pliez, Olivier; Gavotte, Laurent; Devaux, Christian A. (May 2022). 《There is no 'origin' to SARS-CoV-2》. 《Environmental Research》 207. doi:10.1016/j.envres.2021.112173. ISSN 0013-9351. PMC 8493644. PMID 34626592. 
  18. Maxmen, Amy; Mallapaty, Smriti (2021년 6월 8일). 《The COVID lab-leak hypothesis: what scientists do and don't know》. 《네이처 (저널)594. 313–315쪽. Bibcode:2021Natur.594..313M. doi:10.1038/d41586-021-01529-3. PMID 34108722. S2CID 235395594. 
  19. Dyer, Owen (2021년 7월 27일). 《Covid-19: China stymies investigation into pandemic's origins》. 《BMJ374. n1890쪽. doi:10.1136/bmj.n1890. PMID 34315713. n1890. 
  20. Gorski DH (2022년 8월 1일). “The rise and fall of the lab leak hypothesis for the origin of SARS-CoV-2”. Science-Based Medicine. 202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3일에 확인함. 
  21. Jacobsen, Rowan (2021년 6월 29일). “Inside the risky bat-virus engineering that links America to Wuhan”. 《MIT 테크놀로지 리뷰》. 202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Ebright believes one factor at play was the cost and inconvenience of working in high-containment conditions. The Chinese lab's decision to work at BSL-2, he says, would have 'effectively increas[ed] rates of progress, all else being equal, by a factor of 10 to 20'. 
  22. Krishnaswamy, S.; Govindarajan, T. R. (2021년 7월 16일). “The controversy being created about the origins of the virus that causes COVID-19”. 《프런트라인》 (영어) (Chennai). 2021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30일에 확인함. 
  23. Kasprak, Alex (2021년 7월 16일). “The 'Occam's Razor Argument' Has Not Shifted in Favor of a COVID Lab Leak”. 《스놉스》. 2021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4일에 확인함. 
  24. Hakim, Mohamad S. (2021년 2월 14일). 《SARS-CoV-2, Covid-19, and the debunking of conspiracy theories》. 《Reviews in Medical Virology》 31. e2222쪽. doi:10.1002/rmv.2222. PMC 7995093. PMID 33586302. 
  25. Kessler, Glen (2021년 5월 25일). “Timeline: How the Wuhan lab-leak theory suddenly became credible”. 《워싱턴 포스트》. 202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26. Bandeira, Luiza; Aleksejeva, Nika; Knight, Tessa; Le Roux, Jean. 《Weaponized: How Rumors About COVID-19's Origins Led To a Narrative Arms Race》 (PDF). 애틀랜틱 카운슬. 2022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27. Wallace-Wells, Benjamin (2021년 5월 27일). “The Sudden Rise of the Coronavirus Lab-Leak Theory”. 《더 뉴요커》. 2022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28. Ruwitch, John (2021년 3월 31일). “Theory That COVID Came From A Chinese Lab Takes On New Life In Wake Of WHO Report” (영어). NPR. 2021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29. Frutos, Roger; Gavotte, Laurent; Devaux, Christian A. (March 2021). 《Understanding the origin of COVID-19 requires to change the paradigm on zoonotic emergence from the spillover to the circulation model》.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95. Bibcode:2021InfGE..9504812F. doi:10.1016/j.meegid.2021.104812. PMC 7969828. PMID 33744401. The origin of SARS-Cov-2 is still passionately debated since it makes ground for geopolitical confrontations and conspiracy theories besides scientific ones...The marginal conspiracy theory of a voluntary released of an engineered virus forwarded by the press, blogs and politicians is not supported by any data. 
  30. “Covid origin: Why the Wuhan lab-leak theory is being taken seriously”. 《BBC 뉴스》. 2021년 5월 27일. 2021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6일에 확인함. 
  31. Thacker, Paul D. (2021년 7월 8일). 《The covid-19 lab leak hypothesis: Did the media fall victim to a misinformation campaign?》. 《BMJ》 374. n1656쪽. doi:10.1136/bmj.n1656. PMID 34244293. S2CID 235760734. 
  32. Miller, John; Nebehay, Stephanie (2021년 3월 31일). “Data withheld from WHO team probing COVID-19 origins in China: Tedros”. 《로이터》 (영어). 2021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33. Moritsugu, Ken (2021년 7월 22일). “China rebuffs WHO's terms for further COVID-19 origins study”. 《어소시에이티드 프레스 뉴스》 (영어). 2021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6일에 확인함. Zeng ... added that speculation that staff and graduate students at the lab had been infected and might have started the spread of the virus in the city was untrue. 
  34. See, for example, the following:
    News sources describing this as a majority view:* Maxmen, Amy; Mallapaty, Smriti (2021년 6월 8일). “The COVID lab-leak hypothesis: what scientists do and don't know”. 《Nature594 (7863): 313–315. Bibcode:2021Natur.594..313M. doi:10.1038/d41586-021-01529-3. PMID 34108722. S2CID 235395594. * “The 'Occam's Razor Argument' Has Not Shifted in Favor of a Lab Leak”. 《Snopes.com》. 2021년 7월 16일. 2021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8일에 확인함. Shi's team concluded that SARS-CoV-2 was 79% identical to SARS-CoV-1 and 96% identical to a virus her team had sampled from bats in a mineshaft in 2013. This information formed the basis of the widely accepted conclusion that SARS-CoV-2's ancestor was a bat virus. * Ling, Justin (2021년 6월 15일). “The Lab Leak Theory Doesn't Hold Up”. 《Foreign Policy》. 2021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4일에 확인함. Over the past year, I've spoken with a slew of researchers, scientists, and public health experts: Their takes on the origins of COVID-19 generally fall into two camps. Most say that the virus is very likely natural and that theories around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are a possible explanation, but they're unlikely. The other group, a minority, says both theories are more or less equally valid and that the lab leak theory is in desperate need of more study. * Sohn, Rebecca (2021년 6월 3일). “A Very Calm Guide to the Lab Leak Theory”. 《Slate》 (영어). 2021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4일에 확인함. Most experts still tend to think the virus has a natural origin. 
    Academic review articles which describe this as the mainstream view:* Adil, M. T.; Rahman, R.; Whitelaw, D.; Jain, V.; Al-Taan, O.; Rashid, F.; Munasinghe, A.; Jambulingam, P. (February 2021). “SARS-CoV-2 and the pandemic of COVID-19”.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97 (1144): 110–116. doi:10.1136/postgradmedj-2020-138386. PMC 10016996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2788312. S2CID 22112401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aboratory incident hypothesis is extremely unlikely to explain introduction of the virus into the human population * Barh, D.; Silva Andrade, B.; Tiwari, S.; Giovanetti, M.; Góes-Neto, A.; Alcantara, L. C.; Azevedo, V.; Ghosh, P. (September 2020). “Natural selection versus creation: a review on the origin of SARS-COV-2”. 《Le Infezioni in Medicina》 (이탈리아어) 28 (3): 302–311. PMID 32920565. Conspiracy theories about a possible accidental leak from either of these laboratories known to be experimenting with bats and bat CoVs that has shown some structural similarity to human SARS-CoV-2 has been suggested, but largely dismissed by most authorities. * Graham, R. L.; Baric, R. S. (May 2020). “SARS-CoV-2: Combating Coronavirus Emergence”. 《Immunity》 52 (5): 734–736. doi:10.1016/j.immuni.2020.04.016. PMC 7207110. PMID 32392464. the available data argue overwhelmingly against any scientific misconduct or negligence * Hakim, M. S. (February 2021). “SARS-CoV-2, Covid-19, and the debunking of conspiracy theories”. 《Reviews in Medical Virology》 31 (6): e2222. doi:10.1002/rmv.2222. PMC 7995093. PMID 33586302. Despite these massive online speculations, scientific evidence does not support this accusation of laboratory release theory... * Frutos, Roger; Gavotte, Laurent; Devaux, Christian A. (March 2021). “Understanding the origin of COVID-19 requires to change the paradigm on zoonotic emergence from the spillover to the circulation model”.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 95. Bibcode:2021InfGE..9504812F. doi:10.1016/j.meegid.2021.104812. PMC 7969828. PMID 33744401. 
  35. Mallapaty, Smriti (2021년 4월 15일). 《After the WHO report: what's next in the search for COVID's origins》. 《네이처 (저널)592. 337–338쪽. Bibcode:2021Natur.592..337M. doi:10.1038/d41586-021-00877-4. PMID 33790440. S2CID 232481786. 
  36. Zimmer, Carl; Gorman, James; Mueller, Benjamin (2021년 5월 27일). “Scientists Don't Want to Ignore the 'Lab Leak' Theory, Despite No New Evidence”. 《뉴욕 타임스》. 2021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8일에 확인함. 
  37. Maxmen, Amy (2021년 6월 3일). 《Divisive COVID 'lab leak' debate prompts dire warnings from researchers》. 《네이처 (저널)594. 15–16쪽. Bibcode:2021Natur.594...15M. doi:10.1038/d41586-021-01383-3. PMID 34045757. S2CID 235232290. 
  38. Jacobsen, Rowan (2021년 5월 13일). “Top researchers are calling for a real investigation into the origin of covid-19”. 《MIT 테크놀로지 리뷰》 (영어). 2021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4일에 확인함. The lab leak hypothesis has already become highly political. In the US, it has been embraced most loudly by Republican lawmakers and conservative media figures... The resulting polarization has had a chilling effect on scientists, some of whom have been reluctant to express their own concerns, says Relman. 
  39. Maxmen, Amy (2022년 2월 27일). 《Wuhan market was epicentre of pandemic's start, studies suggest》. 《네이처 (저널)》 (영어) 603. 15–16쪽. Bibcode:2022Natur.603...15M. doi:10.1038/d41586-022-00584-8. PMID 35228730. S2CID 247168739. 
  4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WorobeyPekar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41. Alwine JC, Casadevall A, Enquist LW, Goodrum FD, Imperiale MJ (March 2023). 《A critical analysis of the evidence for the SARS-CoV-2 origin hypotheses》. 《mSphere》 8. e0036523쪽. doi:10.1128/msphere.00119-23. PMC 10117112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6897078. S2CID 257429130. 
  42. Jones, Kate E.; Patel, Nikkita G.; Levy, Marc A.; Storeygard, Adam; Balk; Gittleman, John L.; Daszak, Peter (February 2008). 《Global trends i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네이처 (저널)451. 990–993쪽. Bibcode:2008Natur.451..990J. doi:10.1038/nature06536. PMC 5960580. PMID 18288193. 
  43. Haider, Najmul; Rothman-Ostrow, Peregrine; Osman, Abdinasir Yusuf; 외. (2020년 11월 26일). 《COVID-19 – Zoonosis 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Frontiers in Public Health》 8. 596944쪽. Bibcode:2020FrPH....896944H. doi:10.3389/fpubh.2020.596944. PMC 7725765. PMID 33324602. 
  44. O'Keeffe, J.; Freeman, S.; Nicol, A. (2021년 3월 21일). 《The Basics of SARS-CoV-2 Transmission》. 밴쿠버: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Environmental Health (NCCEH). ISBN 978-1-988234-54-0. 2021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2일에 확인함. 
  45. Cohen, J. (January 2020). 《Wuhan seafood market may not be source of novel virus spreading globally》. 《사이언스》. doi:10.1126/science.abb0611. S2CID 214574620. 2020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46. Eschner, K. (2020년 1월 28일). “We're still not sure where the Wuhan coronavirus really came from”. 《파퓰러 사이언스》. 2020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30일에 확인함. 
  47. Andersen, K. G.; Rambaut, A.; Lipkin, W. I.; Holmes, E. C.; Garry, R. F. (April 2020). 《The proximal origin of SARS-CoV-2》. 《Nature Medicine》 26. 450–452쪽. doi:10.1038/s41591-020-0820-9. PMC 7095063. PMID 32284615. 
  48. WHO-convened global study of origins of SARS-CoV-2: China Part (PDF) (보고서). 월드 헬스 오거나이제이션. 2021년 4월 6일. 7–10쪽. 2021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4일에 확인함. 
  49. Lu, R.; Zhao, X.; Li, J.; Niu, P.; Yang, B.; Wu, H.; 외. (February 2020). 《Genomic characterisation and epidemiology of 2019 novel coronavirus: implications for virus origins and receptor binding》. 《란셋395. 565–574쪽. doi:10.1016/S0140-6736(20)30251-8. PMC 7159086. PMID 32007145. 
  50. Cyranoski, D. (March 2020). 《Mystery deepens over animal source of coronavirus》. 《네이처 (저널)579. 18–19쪽. Bibcode:2020Natur.579...18C. doi:10.1038/d41586-020-00548-w. PMID 32127703. 
  51. Zhou P, Yang XL, Wang XG, Hu B, Zhang L, 외. (March 2020). 《A pneumonia outbreak associated with a new coronavirus of probable bat origin》. 《네이처 (저널)579. 270–273쪽. Bibcode:2020Natur.579..270Z. doi:10.1038/s41586-020-2012-7. PMC 7095418. PMID 32015507. 
  52. “Bat coronavirus isolate RaTG13, complete genome”. 《Genebank》.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0년 2월 10일. 2020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5일에 확인함. 
  53. Liu, Ping; Jiang, Jing-Zhe; Wan, Xiu-Feng; Hua, Yan; Li, Linmiao; Zhou, Jiabin; Wang, Xiaohu; Hou, Fanghui; Chen, Jing; Zou, Jiejian; Chen, Jinping (2020년 5월 14일). 《Are pangolins the intermediate host of the 2019 novel coronavirus (SARS-CoV-2)?》. 《PLOS 병원체16. e1008421쪽. doi:10.1371/journal.ppat.1008421. PMC 7224457. PMID 32407364. 
  54. Mallapaty, Smriti (2021년 9월 24일). 《Closest known relatives of virus behind COVID-19 found in Laos》. 《네이처 (저널)597. 603쪽. Bibcode:2021Natur.597..603M. doi:10.1038/d41586-021-02596-2. PMID 34561634. S2CID 237626322. 
  55. Zhou P, Yang XL, Wang XG, Hu B, Zhang L, 외. (December 2020). 《Addendum: A pneumonia outbreak associated with a new coronavirus of probable bat origin》. 《네이처 (저널)》 (Erratun) 588. E6쪽. Bibcode:2020Natur.588E...6Z. doi:10.1038/s41586-020-2951-z. PMC 9744119. PMID 33199918. 
  56. Zhou, Hong; Ji, Jingkai; Chen, Xing; Bi, Yuhai; Li, Juan; Wang, Qihui; 외. (June 2021). 《Identification of novel bat coronaviruses sheds light on the evolutionary origins of SARS-CoV-2 and related viruses》. 《Cell Host & Microbe29. 1031–1033쪽. doi:10.1016/j.cell.2021.06.008. PMC 8188299. PMID 34147139. 
  57. Singh, Devika; Yi, Soojin V. (April 2021).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ARS-CoV-2》.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영어) 53 (서울). 537–547쪽. doi:10.1038/s12276-021-00604-z. ISSN 1226-3613. PMC 8050477. PMID 33864026. 
  58. Zhu, Zhenglin; Meng, Kaiwen; Meng, Geng (December 2020). 《Genomic recombination events may reveal the evolution of coronavirus and the origin of SARS-CoV-2》. 《사이언티픽 리포츠10. 21617쪽. Bibcode:2020NatSR..1021617Z. doi:10.1038/s41598-020-78703-6. PMC 7728743. PMID 33303849. 
  59. Goraichuk, Iryna V.; Arefiev, Vasiliy; Stegniy, Borys T.; Gerilovych, Anton P. (September 2021). 《Zoonotic and Reverse Zoonotic Transmissibility of SARS-CoV-2》. 《Virus Research》 302. doi:10.1016/j.virusres.2021.198473. PMC 8188804. PMID 34118360. 
  60. MacLean, Oscar A.; Lytras, Spyros; Weaver, Steven; Singer, Joshua B.; Boni, Maciej F.; Lemey, Philippe; Kosakovsky Pond, Sergei L.; Robertson, David L. (2021년 3월 12일). 《Natural selection in the evolution of SARS-CoV-2 in bats created a generalist virus and highly capable human pathogen》. 《PLOS Biology19. e3001115쪽. doi:10.1371/journal.pbio.3001115. PMC 7990310. PMID 33711012. 
  61. Kumar, Sudhir; Tao, Qiqing; Weaver, Steven; Sanderford, Maxwell; Caraballo-Ortiz, Marcos A; Sharma, Sudip; Pond, Sergei L K; Miura, Sayaka (2021년 5월 4일). 《An Evolutionary Portrait of the Progenitor SARS-CoV-2 and Its Dominant Offshoots in COVID-19 Pandemic》.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8. 3046–3059쪽. doi:10.1093/molbev/msab118. PMC 8135569. PMID 33942847. 
  62. Pekar, Jonathan; Worobey, Michael; Moshiri, Niema; Scheffler, Konrad; Wertheim, Joel O. (2021년 4월 23일). 《Timing the SARS-CoV-2 index case in Hubei province》. 《사이언스372. 412–417쪽. Bibcode:2021Sci...372..412P. doi:10.1126/science.abf8003. PMC 8139421. PMID 33737402. This analysis pushes human-to-human transmission back to mid-October to mid-November of 2019 in Hubei Province, China, with a likely short interval before epidemic transmission was initiated. 
  63. To, Kelvin Kai-Wang; Sridhar, Siddharth; Chiu, Kelvin Hei-Yeung; Hung, Derek Ling-Lung; Li, Xin; Hung, Ivan Fan-Ngai; Tam, Anthony Raymond; 외. (2021년 3월 22일). 《Lessons learned 1 year after SARS-CoV-2 emergence leading to COVID-19 pandemic》.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10 (상하이 / 런던). 507–535쪽. doi:10.1080/22221751.2021.1898291. PMC 8006950. PMID 33666147. We predicted in 2007 that 'the presence of a large reservoir of SARS-CoV-like viruses ... together with the culture of eating exotic mammals ... is a time bomb. The possibility of the reemergence of SARS and other novel viruses from animals or laboratories ... should not be ignored'. 
  64. Huang, C.; Wang, Y.; Li, X.; Ren, L.; Zhao, J.; Hu, Y.; 외. (February 2020).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infected with 2019 novel coronavirus in Wuhan, China》. 《란셋395. 497–506쪽. doi:10.1016/S0140-6736(20)30183-5. PMC 7159299. PMID 31986264. 
  65. Chen, N.; Zhou, M.; Dong, X.; Qu, J.; Gong, F.; Han, Y.; 외. (February 2020).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99 cases of 2019 novel coronavirus pneumonia in Wuhan, China: a descriptive study》. 《란셋395. 507–513쪽. doi:10.1016/S0140-6736(20)30211-7. PMC 7135076. PMID 32007143. 
  66. Pekar JE, Magee A, Parker E, Moshiri N, Izhikevich K, 외. (August 2022).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multiple zoonotic origins of SARS-CoV-2”. 《Science377 (6609): 960–966. Bibcode:2022Sci...377..960P. doi:10.1126/science.abp8337. PMC 9348752. PMID 35881005. 
  67. Brüssow, Harald (July 2023). 《Viral infections at the animal–human interface – Learning lessons from the SARS-CoV -2 pandemic》. 《Microbial Biotechnology》 16. 1397–1411쪽. doi:10.1111/1751-7915.14269. PMC 10281366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7338856. 
  68. Cen, Xiaoping; Wang, Fengao; Huang, Xinhe; Jovic, Dragomirka; Dubee, Fred; Yang, Huanming; Li, Yixue (April 2023). 《Towards precision medicine: Omics approach for COVID-19》. 《Biosafety and Health》 5. 78–88쪽. doi:10.1016/j.bsheal.2023.01.002. PMC 9846903. PMID 36687209. 
  69. Xia, Xuhua (2023년 3월 5일). 《Rooting and Dating Large SARS-CoV-2 Trees by Modeling Evolutionary Rate as a Function of Time》. 《Viruses》 15. 684쪽. doi:10.3390/v15030684. PMC 10057463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6992393. 
  70. Xiao, Xiao; Newman, Chris; Buesching, Christina D.; Macdonald, David W.; Zhou, Zhao-Min (2021년 6월 7일). 《Animal sales from Wuhan wet markets immediately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사이언티픽 리포츠11. 11898쪽. Bibcode:2021NatSR..1111898X. doi:10.1038/s41598-021-91470-2. PMC 8184983. PMID 34099828. 
  71. Li, Wendong; Shi, Zhengli; Yu, Meng; Ren, Wuze; Smith, Craig; Epstein, Jonathan H; Wang, Hanzhong; 외. (2005년 10월 28일). 《Bats Are Natural Reservoirs of SARS-Like Coronaviruses》. 《사이언스310. 676–679쪽. Bibcode:2005Sci...310..676L. doi:10.1126/science.1118391. PMID 16195424. S2CID 2971923. Further studies in field epidemiology, laboratory infection, and receptor distribution and usage are being conducted to assess potential roles played by different bat species in SARS emergence. 
  72. “Coronavirus: Was US money used to fund risky research in China?”. 《BBC 뉴스》 (영국 영어). 2021년 8월 2일. 2021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8일에 확인함. 
  73. Kessler, Glen (2021년 5월 18일). “Analysis – Fact-checking the Paul-Fauci flap over Wuhan lab funding”. 《워싱턴 포스트》. 2021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74. Menachery, Vineet D.; Yount, Boyd L.; Debbink, Kari; Agnihothram, Sudhakar; Gralinski, Lisa E.; Plante, Jessica A.; Graham, Rachel L.; Scobey, Trevor; Ge, Xing-Yi; Donaldson, Eric F.; Randell, Scott H. (2015년 11월 9일). 《A SARS-like cluster of circulating bat coronaviruses shows potential for human emergence》. 《Nature Medicine》 (영어) 21. 1508–1513쪽. doi:10.1038/nm.3985. PMC 4797993. PMID 26552008. 
  75. Rasmussen AL (January 2021). 《On the origins of SARS-CoV-2》. 《Nature Medicine》 27. 9쪽. doi:10.1038/s41591-020-01205-5. PMID 33442004. 
  76. 《Reply to Science Magazine》 (PDF). 《sciencemag.org》. 9쪽. 2020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77. Baker, Nicholson (2021년 1월 4일). “The Lab-Leak Hypothesis”. 《뉴욕 인텔리전서》. 2021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78. Stacey, Kiran (2021년 5월 28일). “Covid-19 Lab-Leak Theory Puts Wuhan Research in Spotlight”. 《파이낸셜 타임스》. 2021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9일에 확인함. BSL-2 facilities are usually used for work of only moderate risk, where researchers can experiment at open benches wearing only lab coats and gloves. 'If this work was happening, it should definitely not have been happening at BSL-2,' said Ebright. 'That is roughly equivalent to a standard dentist office.' 
  79. Cortez, Michelle Fay (2021년 6월 27일). “The Last – And Only – Foreign Scientist in the Wuhan Lab Speaks Out”. 《블룸버그 뉴스》. 2021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3일에 확인함. There were strict protocols and requirements aimed at containing the pathogens being studied, Anderson said...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is large enough that Anderson said she didn't know what everyone was working on at the end of 2019. 
  80. Yu, Wen-Bin; Tang, Guang-Da; Zhang, Li; T. Corlett, Richard (2020). 《Decoding the evolution and transmissions of the novel pneumonia coronavirus (SARS-CoV-2 / HCoV-19) using whole genomic data》. 《Zoological Research》 41 (쿤밍, 윈난). 247–257쪽. doi:10.24272/j.issn.2095-8137.2020.022. PMC 7231477. PMID 32351056. 
  81. Knapton, Sarah (2022년 2월 22일). “Wuhan lab leak believed 'behind closed doors' to be likeliest origin of Covid, expert says”. 《더 텔레그래프》. 2022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5일에 확인함. 
  82. Artika, I. Made; Ma'roef, Chairin Nisa (May 2017). 《Laboratory biosafety for handling emerging viruses》.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Biomedicine》 7 (홍콩). 483–491쪽. doi:10.1016/j.apjtb.2017.01.020. PMC 7103938. PMID 32289025. 
  83. “Infections caught in laboratories are surprisingly common.”. 《디 이코노미스트》. 2021년 8월 24일. 2022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5일에 확인함. 
  84. Cyranoski, David (2017년 2월 1일). 《Inside the Chinese lab poised to study world's most dangerous pathogens》. 《네이처 (저널)542. 399–400쪽. Bibcode:2017Natur.542..399C. doi:10.1038/nature.2017.21487. PMID 28230144. S2CID 4399920. 
  85. Parry, J. (2004). 《Breaches of safety regulations are probable cause of recent SARS outbreak, WHO says》. 《세계보건기구》 328. 1222쪽. doi:10.1136/bmj.328.7450.1222-b. PMC 416634. PMID 15155496. 
  86. “Guidelines for Safe Work Practices in Human and Animal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질병통제예방센터. 202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The more that laboratorians become aware of and adhere to recommended, science-based safety precautions, the lower the risk...incidents such as minor scrapes or cuts, insignificant spills, or unrecognized aerosols occur even more frequently and might not cause an exposure that results in an LAI. In this report, "laboratory exposures" refer to events that put employees at risk for an LAI and events that result in actual acquisition of LAIs...The first four routes [parenteral inoculations, spills and splashes onto skin, ingestion, animal bites and scratches] are relatively easy to detect, but they account for <20% of all reported LAIs 
  87. Begley, Sharon. “U.S. Lifts Moratorium on Funding Controversial, High-Risk Virus Research”.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영어). 2022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88. Willman, David; Muller, Madison (2021년 8월 26일). “A science in the shadows”. 《워싱턴 포스트》 (영어). 2022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89. “Outbreak Deja Vu: Rumor, Conspiracies, Folklore Link Disease Narratives”. 《wbur.org》 (영어). 2022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90. Leonard, Marie-Jeanne; Philippe, Frederick L. (2021). 《Conspiracy Theories: A Public Health Concern and How to Address It》. 《Frontiers in Psychology》 12. 682931쪽. doi:10.3389/fpsyg.2021.682931. PMC 8355498. PMID 34393910. 
  91. Saxena, Roheeni (2016년 7월 26일). “Mistrust of science may be allowing a deadly plant pathogen to spread”. 《Ars Technica》 (미국 영어). 2024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8일에 확인함. 
  92. Abbott, Alison (2015년 6월 1일). 《Scientists blamed for olive-tree ruin》. 《네이처 (저널)》 (영어) 522. 13–14쪽. doi:10.1038/nature.2015.17651. ISSN 1476-4687. PMID 26040872. 2024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8일에 확인함. 
  93. Gentile, Andrea (2022년 1월 21일). 《How Xylella came to Apulia》. 《Nature Italy》 (영어). doi:10.1038/d43978-022-00008-1. S2CID 246205799. 2024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8일에 확인함. 
  94. Benegal S, Motta M (2023). 《Overconfident, resentful, and misinformed: How racial animus motivates confidence in false beliefs》. 《Social Science Quarterly》 104 (Wiley). 947–970쪽. doi:10.1111/ssqu.13224. ISSN 0038-4941. 
  95. Li Y, Nicholson HL (February 2021). 《When 'model minorities' become 'yellow peril' – Othering and the racialization of Asian Americans in the COVID-19 pandemic》. 《Sociol Compass》 15. e12849쪽. doi:10.1111/soc4.12849. PMC 7995194. PMID 33786062. 
  96. Cooper F, Dolezal L, Rose A (2023년 2월 9일). 〈Chapter 3: Coughing while Asian: Shame and Racialized Bodies〉. 《COVID-19 and Shame – Political Emotions and Public Health in the UK》. Bloomsbury. ISBN 978-1-350-28340-4. 
  97. gorskon. “I disagree that we were too quick to dismiss lab leak. It was pretty obvious pretty early on that it was a conspiracy theory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re was no good evidence for it. I do agree, though, that it's def a hypothesis that hasn't stood up to scientific scrutiny.” (트윗).  |날짜=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8. Perng W, Dhaliwal SK (May 2022). 《Anti-Asian Racism and COVID-19: How It Started, How It Is Going, and What We Can Do》. 《Epidemiology》 33. 379–382쪽. doi:10.1097/EDE.0000000000001458. PMC 8983612. PMID 34954709. Since the early days of the pandemic, politicians promoted the unsubstantiated hypothesis the virus was developed in a laboratory in Wuhan, referring to COVID-19 as 'foreign,' 'Chinese,' and 'the Kung Flu.' Use of such language led to an 800% increase of these racist terms on social media and news outlets, and redirected fear and anger in a manner that reinforced racism and xenophobia. 
  99. Birchall C, Knight P (2023). 〈Chapter 24: A Perfect Storm – Covid-19 Conspiracy Theories in the United States〉. Butter M, Knight P. 《Covid Conspiracy Theories in Global Perspective》. Taylor & Francis. 335–350쪽. doi:10.4324/9781003330769-2. ISBN 978-1-032-35943-4. 
  100. McKie, Robin (2021년 8월 22일). “The Wuhan lab leak theory is more about politics than science”. 《가디언》 (영어). 2021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6일에 확인함. 
  101. “Former CDC director believes coronavirus came from lab in China”. 《CNN Video》. 2021년 3월 26일. 202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2일에 확인함. One of them is in the lab, and one of them, which is the more likely, ... is that it likely was below the radar screen in China, spreading in the community ... which allowed it, when it first got recognized clinically, to be pretty well adapted. 
  102. Goldstein, Stephen (2021년 4월 5일). “Op-Ed: Why Redfield Is Wrong on SARS-CoV-2 Origins”. 《MedPage Today》 (영어). 2021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2일에 확인함. 
  103. Panreck, Hanna (2024년 6월 4일). “Dr. Deborah Birx admits there was an effort to squash COVID lab leak theory” (미국 영어). 폭스 뉴스.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104. “CNN This Morning: Dr. Deborah Birx is Interviewed about Attacks on Fauci and the Covid-19 Response”. CNN. 2024년 6월 4일. 
  105. Maxmen, Amy (2021년 4월 8일). 《WHO report into COVID pandemic origins zeroes in on animal markets, not labs》. 《네이처 (저널)592. 173–174쪽. Bibcode:2021Natur.592..173M. doi:10.1038/d41586-021-00865-8. PMID 33785930. S2CID 232429241. 
  106. Huang, Yanzhong (2021년 3월 31일). “What the WHO Investigation Reveals About the Origins of COVID-19 – And About the Vulnerabilities of the System Protecting Global Health”. 《포린 어페어스》. 2021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5일에 확인함. In 2004, SARS twice escaped a Beijing lab ... Chinese scientists have identified lax biosafety regulation as a concern even in high-level biosafety labs such as the Wuhan Institute. 
  107. “WHO Director-General's remarks at the Member State Briefing on the report of the international team studying the origins of SARS-CoV-2”. 세계보건기구. 2021년 3월 30일. 2021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108. “WHO scientist puts COVID lab leak theory back under spotlight” (영어). 알자지라. 2021년 8월 13일. 2021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4일에 확인함. 
  109. Gan, Nectar (2021년 3월 31일). “14 countries and WHO chief accuse China of withholding data from coronavirus investigation”. CNN. 2021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31일에 확인함. 
  110. Zarocostas, John (2021년 4월 10일). 《Calls for transparency after SARS-CoV-2 origins report》. 《란셋397. 1335쪽. doi:10.1016/S0140-6736(21)00824-2. PMC 8032220. PMID 33838748. S2CID 233186234. Health diplomats speaking on condition of anonymity said that senior Chinese officials viewed the statements as an attempt to politicise the study. 
  111. “Following report, WHO chief calls for deeper probe into lab-leak theory on Covid-19 origins” (영어). 프랑스 24. 2021년 3월 30일. 2021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112. Westcott, Ben; Yee, Isaac; Xiong, Yong (2021년 7월 22일). “Chinese government rejects WHO plan for second phase of Covid-19 origins study”. CNN. 2021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3일에 확인함. 
  113. Cohen, Jon (2021년 7월 17일). 《With call for 'raw data' and lab audits, WHO chief pressures China on pandemic origin probe》. 《사이언스》. doi:10.1126/science.abl4763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25-07-11). 2021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일에 확인함. 
  114. “China slams WHO plan to audit Wuhan lab in study of Covid-19 origins” (영어). 프랑스 24. 2021년 7월 22일. 2021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일에 확인함. 
  115. Buckley, Chris (2021년 7월 22일). “China denounces the W.H.O.'s call for another look at the Wuhan lab as 'shocking' and 'arrogant.'. 《뉴욕 타임스》. ISSN 0362-4331. 202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3일에 확인함. 
  116. “Covid: China rejects WHO plan for second phase of virus origin probe”. 《BBC 뉴스》. 2021년 7월 23일. 2021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117. “WHO 'open' to probing 'new evidence' of COVID-19 lab leak origin theory, accepts 'key pieces of data' still missing”. CBS 뉴스. Associated Press. 2022년 6월 10일. 2022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19일에 확인함. 
  118. Cohen, Jon. “From 'open-minded' to 'underwhelming,' mixed reactions greet latest COVID-19 origin report”. 《science.org》 (영어). 2022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23일에 확인함. 
  119. Mallapaty S (February 2023). 《WHO abandons plans for crucial second phase of COVID-origins investigation》. 《네이처 (저널)》. doi:10.1038/d41586-023-00283-y. PMID 36788278. S2CID 256870357. 
  120. Kormann, Carolyn (2021년 10월 12일). “The Mysterious Case of the COVID-19 Lab-Leak Theory”. 《더 뉴요커》. 2021년 10월 28일에 Yorker.com/science/elements/the-mysterious-case-of-the-covid-19-lab-leak-theory 원본 문서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In 2018, Daszak, at EcoHealth Alliance, in partnership with Shi, Baric, and Wang, had submitted a $14.2-million grant proposal to the U.S.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Andersen emphasized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any of the work described in the proposal was actually done...@TheSeeker268 is a member of drastic, or Decentralized Radical Autonomous Search Team Investigating covid-19, which formed on Twitter and has been among the most aggressive advocates of the lab-leak theory. 
  121. Kannan, Ramya (2021년 6월 6일). “Online group digs deeper into coronavirus leak theory”. 《더 힌두》. 2021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8일에 확인함. 
  122. Eban, Katherine (2021년 6월 3일). “The Lab-Leak Theory: Inside the Fight to Uncover COVID-19's Origins”. 《배너티 페어》. 202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3. Frutos, Roger; Javelle, Emilie; Barberot, Celine; Gavotte, Laurent; Tissot-Dupont, Herve; Devaux, Christian A. (March 2022). 《Origin of COVID-19: Dismissing the Mojiang mine theory and the laboratory accident narrative》. 《Environmental Research》 204. 112141쪽. Bibcode:2022ER....20412141F. doi:10.1016/j.envres.2021.112141. ISSN 0013-9351. PMC 8490156. PMID 34597664. 
  124. Thakur N, Das S, Kumar S, Maurya VK, Dhama K, 외. (December 2022). 《Tracing the origi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A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J Med Virol》 94. 5766–5779쪽. doi:10.1002/jmv.28060. PMC 9538017. PMID 35945190. ... this accomplished hardly anything to halt the proliferation of often paradoxical and, at times, completely absurd conspiracy theories that propagated more rapidly than the disease outbreak itself. For example, it has been claimed that SARS‐CoV‐2 was either the consequence of a laboratory error or was purposefully manufactured or it was produced for GoF investigations ... 
  125. Robertson L (2021년 5월 21일). “The Wuhan Lab and the Gain-of-Function Disagreement”. 《FactCheck.org》. 2021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4일에 확인함. 
  126. Bryant CC (2021년 6월 25일). “How risky is 'gain of function' research? Congress scrutinizes China.”.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2021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7. John Cohen (2021년 7월 31일). 《Wuhan coronavirus hunter Shi Zhengli speaks out》. 《사이언스369. 487–488쪽. doi:10.1126/science.369.6503.487. PMID 32732399. S2CID 220892287. 
  128. Wu, Yiran; Zhao, Suwen (January 2021). 《Furin cleavage sites naturally occur in coronaviruses》. 《Stem Cell Research》 50. doi:10.1016/j.scr.2020.102115. PMC 7836551. PMID 33340798. 
  129. Gu, Haogao; Chu, Daniel K W; Peiris, Malik; Poon, Leo L M (2020년 5월 14일). 《Multivariate analyses of codon usage of SARS-CoV-2 and other betacoronaviruses》. 《Virus Evolution》 6. veaa032쪽. doi:10.1093/ve/veaa032. ISSN 2057-1577. PMC 7223271. PMID 32431949. 
  130. Krieg, Arthur M.; Yi, Ae-Kyung; Matson, Sara; Waldschmidt, Thomas J.; Bishop, Gail A.; Teasdale, Rebecca; Koretzky, Gary A.; Klinman, Dennis M. (April 1995). 《CpG motifs in bacterial DNA trigger direct B-cell activation》. 《네이처 (저널)374. 546–549쪽. Bibcode:1995Natur.374..546K. doi:10.1038/374546a0. PMID 7700380. S2CID 4261304. 
  131. “The CGG CGG genetic sequence and furin cleavage sites also exist in naturally-occurring viruses; these features aren't evidence of genetic manipulation”. 《Health Feedback》. 2022년 5월 6일. 2023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6일에 확인함. 
  132. Grehan, Keith; Kingston, Natalie (2021년 6월 22일). “COVID lab-leak theory: 'rare' genetic sequence doesn't mean the virus was engineered”. 《The Conversation》 (영어). 2023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6일에 확인함. 
  133. Hou, Wei (December 2020). 《Characterization of codon usage pattern in SARS-CoV-2》. 《바이러스학 저널17. doi:10.1186/s12985-020-01395-x. PMC 7487440. PMID 32928234. 
  134. Holmes, Edward C.; Goldstein, Stephen A.; Rasmussen, Angela L.; Robertson, David L.; Crits-Christoph, Alexander; Wertheim, Joel O.; Anthony, Simon J.; Barclay, Wendy S.; Boni, Maciej F.; Doherty, Peter C.; Farrar, Jeremy; Geoghegan, Jemma L.; Jiang, Xiaowei; Leibowitz, Julian L.; Neil, Stuart J.D.; Skern, Tim; Weiss, Susan R.; Worobey, Michael; Andersen, Kristian G.; Garry, Robert F.; Rambaut, Andrew (September 2021). 《The origins of SARS-CoV-2: A critical review》. 《Cell》 184. 4848–4856쪽. doi:10.1016/j.cell.2021.08.017. PMC 8373617. PMID 34480864. S2CID 237204970. The presence of two adjacent CGG codons for arginine in the SARS-CoV-2 furin cleavage site is similarly not indicative of genetic engineering. Although the CGG codon is rare in coronaviruses, it is observed in SARS-CoV, SARS-CoV-2, and other human coronaviruses at comparable frequencies (Maxmen and Mallapaty, 2021). Further, if low-fitness codons had been artificially inserted into the virus genome they would have been quickly selected against during SARS-CoV-2 evolution, yet both CGG codons are more than 99.8% conserved among the >2,300,000 near-complete SARS-CoV-2 genomes sequenced to date, indicative of strong functional constraints. 
  135. Fan, Yi; Zhao, Kai; Shi, Zheng-Li; Zhou, Peng (2019년 3월 2일). 《Bat Coronaviruses in China》. 《Viruses》 11. 210쪽. doi:10.3390/v11030210. PMC 6466186. PMID 30832341. 
  136. Whittaker, Gary R (October 2021). 《SARS-CoV-2 spike and its adaptable furin cleavage site》. 《The Lancet Microbe》 2. e488–e489쪽. doi:10.1016/S2666-5247(21)00174-9. PMC 8346238. PMID 34396356. 
  137. Ruiz-Aravena, Manuel; McKee, Clifton; Gamble, Amandine; Lunn, Tamika; Morris, Aaron; Snedden, Celine E.; Yinda, Claude Kwe; Port, Julia R.; Buchholz, David W.; Yeo, Yao Yu; Faust, Christina; Jax, Elinor; Dee, Lauren; Jones, Devin N.; Kessler, Maureen K.; Falvo, Caylee; Crowley, Daniel; Bharti, Nita; Brook, Cara E.; Aguilar, Hector C.; Peel, Alison J.; Restif, Olivier; Schountz, Tony; Parrish, Colin R.; Gurley, Emily S.; Lloyd-Smith, James O.; Hudson, Peter J.; Munster, Vincent J.; Plowright, Raina K. (May 2022). 《Ecology, evolution and spillover of coronaviruses from bat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영어) 20. 299–314쪽. doi:10.1038/s41579-021-00652-2. ISSN 1740-1534. PMC 8603903. PMID 34799704. 
  138. Wang, Wen; Tian, Jun-Hua; Chen, Xiao; Hu, Rui-Xue; Lin, Xian-Dan; Pei, Yuan-Yuan; Lv, Jia-Xin; Zheng, Jiao-Jiao; Dai, Fa-Hui; Song, Zhi-Gang; Chen, Yan-Mei; Zhang, Yong-Zhen (2022년 6월 29일). 《Coronaviruses in wild animals sampled in and around Wuhan at the beginning of COVID-19 emergence》. 《Virus Evolution》 8. veac046쪽. doi:10.1093/ve/veac046. PMC 9214087. PMID 35769892. 
  139. Holmes, Edward C.; Goldstein, Stephen A.; Rasmussen, Angela L.; Robertson, David L.; Crits-Christoph, Alexander; Wertheim, Joel O.; Anthony, Simon J.; Barclay, Wendy S.; Boni, Maciej F.; Doherty, Peter C.; Farrar, Jeremy; Geoghegan, Jemma L.; Jiang, Xiaowei; Leibowitz, Julian L.; Neil, Stuart J.D.; Skern, Tim; Weiss, Susan R.; Worobey, Michael; Andersen, Kristian G.; Garry, Robert F.; Rambaut, Andrew (September 2021). 《The origins of SARS-CoV-2: A critical review》. 《Cell》 184. 4848–4856쪽. doi:10.1016/j.cell.2021.08.017. PMC 8373617. PMID 34480864. S2CID 237204970. The SARS-CoV-2 furin cleavage site (containing the amino acid motif RRAR) does not match its canonical form (R-X-R/KR), is suboptimal compared to those of HCoV-HKU1 and HCoV-OC43, lacks either a P1 or P2 arginine (depending on the alignment), and was caused by an out-of-frame insertion...There is no logical reason why an engineered virus would utilize such a suboptimal furin cleavage site, which would entail such an unusual and needlessly complex feat of genetic engineering...Further, there is no evidence of prior research at the WIV involving the artificial insertion of complete furin cleavage sites into coronaviruses. 
  140. “Scientists Square Off Over Covid, Wuhan, and Peter Daszak”. 《언다크 매거진》. 2021년 11월 24일. 2021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41. Daniel Engber; Adam Federman (2021년 9월 25일). “The Lab-Leak Debate Just Got Even Messier”. 《아틀랜틱》 (영어). 202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42. Zimmer, Carl; Mueller, Benjamin (2021년 10월 21일). “Bat Research Group Failed to Submit Virus Studies Promptly, N.I.H. Says”. 《뉴욕 타임스》. 2021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43. Holmes, Edward C.; Goldstein, Stephen A.; Rasmussen, Angela L.; Robertson, David L.; Crits-Christoph, Alexander; Wertheim, Joel O.; Anthony, Simon J.; Barclay, Wendy S.; Boni, Maciej F.; Doherty, Peter C.; Farrar, Jeremy; Geoghegan, Jemma L.; Jiang, Xiaowei; Leibowitz, Julian L.; Neil, Stuart J.D.; Skern, Tim; Weiss, Susan R.; Worobey, Michael; Andersen, Kristian G.; Garry, Robert F.; Rambaut, Andrew (September 2021). 《The origins of SARS-CoV-2: A critical review》. 《Cell》 184. 4848–4856쪽. doi:10.1016/j.cell.2021.08.017. PMC 8373617. PMID 34480864. Further, there is no evidence of prior research at the WIV involving the artificial insertion of complete furin cleavage sites into coronaviruses...No published work indicates that other methods, including the generation of novel reverse genetics systems, were used at the WIV to propagate infectious SARSr-CoVs based on sequence data from bats. Gain-of-function research would be expected to utilize an established SARSr-CoV genomic backbone, or at a minimum a virus previously identified via sequencing. 
  144. Zimmer, Carl; Gorman, James (2021년 6월 20일). “Fight Over Covid's Origins Renews Debate on Risks of Lab Work”. 《뉴욕 타임스》. 2021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Sorting out the balance of risks and benefits of the research has proved over the years to be immensely challenging. And now, the intensity of the politics and rhetoric over the lab leak theory threatens to push detailed science policy discussions to the sidelines. "It's just going to make it harder to get back to a serious debate," said Marc Lipsitch, an epidemiologist at the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who has urged the government to be more transparent about its support of gain-of-function research. 
  145. Smith, Michael (2021년 6월 18일). “Conspiracy, cover-up or distraction: the lab leak theory is back”. 《오스트레일리아 파이낸셜 리뷰》 (영어) (시드니). 2021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One of the problems we have as scientists is our words are co-opted by people who have a political agenda,' says Rodrigo. 'What we say can become fodder for conspiracy theories. This is not an issue of a particular country's problem. If the lab leak hypothesis is plausible and is shown to be true then this is an issue into how we manage labs and research facilities. It is not about China. It is about research facilities and how we manage that everywhere.' 
  146. Evans, Nicholas G. (2020년 8월 26일). 《Human Infection Challenge Studies: a Test for the Social Value Criterion of Research Ethics》. 《mSphere》 5. doi:10.1128/mSphere.00669-20. PMC 7364225. PMID 32669462. 
  147. Dapcevich M (2021년 5월 20일). “Did Fauci Fund 'Gain of Function' Research, Thereby Causing COVID-19 Pandemic?”. 《스놉스》. 2021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148. “In Major Shift, NIH Admits Funding Risky Virus Research in Wuhan”. 《배너티 페어》 (미국 영어). 2021년 10월 22일. 2021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49. “Was NIH-funded work on MERS virus in China too risky? Science examines the controversy”. 《science.org》 (영어). 2021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50. “NIH says grantee failed to report experiment in Wuhan that created a bat virus that made mice sicker”. 《science.org》 (영어). 2021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51. Mueller, Benjamin; Zimmer, Carl (2022년 10월 27일). “G.O.P. Senator's Report on Covid Origins Suggests Lab Leak, but Offers Little New Evidence”. 《뉴욕 타임스》. 2022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52. “Senate GOP report argues lab-leak theory is most likely origin of covid”. 《워싱턴 포스트》 (미국 영어). ISSN 0190-8286. 202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53. 《The Origins of COVID-19: an investigation of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PDF). 워싱턴 D.C.: 마이클 맥컬/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2021. 2021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154. “The world needs a proper investigation into how covid-19 started”. 《디 이코노미스트》. 2021년 8월 21일. 2021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155. Weixel, Nathaniel (2022년 10월 28일). “Senate GOP report on COVID origin suggests lab leak is 'most likely'. 《더 힐》 (미국 영어). 202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56. Eban, Katherine; Kao, Jeff (2022년 10월 28일). “COVID-19 Origins: Investigating a 'Complex and Grave Situation' Inside a Wuhan Lab”. 《프로퍼블리카》 (영어). 2023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28일에 확인함. 
  157. Kao, Jeff; Eban, Katherine (2022년 10월 28일). “COVID-19 Origins: Investigating a 'Complex and Grave Situation' Inside a Wuhan Lab”. 《배너티 페어》. 2023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28일에 확인함. 
  158. Tani, Max (2022년 10월 31일). “ProPublica scrambles to check translation in COVID origin story”. 《semafor.com》 (영어). 2023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28일에 확인함. 
  159. Paun, Carmen; Zeller, Shawn; Reader, Ruth; Leonard, Ben; Scullion, Grace (2022년 11월 4일). “Cross-examining the lab-leak theorists”. 《폴리티코》 (영어). 2023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28일에 확인함. 
  160. Cohen J (2022년 10월 28일). 《Republican Senate staff tout lab-leak theory of the pandemic's origin》. 《사이언스》. 202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61. Sasha Pezenik; Josh Margolin; Kaitlyn Morris; Terry Moran (2023년 4월 18일). “New report from Senate Republicans doubles down on COVID lab leak theory”. 《ABC 뉴스》. 2023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0일에 확인함. 
  162. “Scientists slam Indian study that fueled coronavirus rumors”. 《닛케이 아시아》. 202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163. “Quick retraction of a faulty coronavirus paper was a good moment for science”. 《STAT》. 2020년 2월 3일. 2022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164. France C (2020년 4월 18일). “French Nobel prize winner: 'Covid-19 was made in lab'. 《콘넥시옹》 (영어). 모나코. 2020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1일에 확인함. 
  165. “Le coronavirus, fabriqué à partir du virus du sida ? La thèse très contestée du professeur Montagnier”. 《르 몽드》 (프랑스어). 2020년 4월 17일. 2021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1일에 확인함. 
  166. Xiao, Chuan; Li, Xiaojun; Liu, Shuying; Sang, Yongming; Gao, Shou-Jiang; Gao, Feng (2020년 2월 14일). 《HIV-1 did not contribute to the 2019-nCoV genome》.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9 (상하이 / 런던). 378–381쪽. doi:10.1080/22221751.2020.1727299. PMC 7033698. PMID 32056509. 
  167. Liu, Shan-Lu; Saif, Linda J.; Weiss, Susan R.; Su, Lishan (2020년 2월 26일). 《No credible evidence supporting claims of the laboratory engineering of SARS-CoV-2》.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9 (상하이 / 런던). 505–507쪽. doi:10.1080/22221751.2020.1733440. PMC 7054935. PMID 32102621. 
  168. Hao, Pei; Zhong, Wu; Song, Shiyang; Fan, Shiyong; Li, Xuan (2020년 1월 1일). 《Is SARS-CoV-2 originated from laboratory? A rebuttal to the claim of formation via laboratory recombination》.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9. 545–547쪽. doi:10.1080/22221751.2020.1738279. PMC 7144200. PMID 32148173. 
  169. Enserink, Martin (2022년 5월 8일). “Fact-checking Judy Mikovits, the controversial virologist attacking Anthony Fauci in a viral conspiracy video”. 《science.org》 (영어). 2020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28일에 확인함. 
  170. Koyama, Takahiko; Lauring, Adam; Gallo, Robert Charles; Reitz, Marvin (2020년 9월 24일). 《Reviews of 'Unusual Features of the SARS-CoV-2 Genome Suggesting Sophisticated Laboratory Modification Rather Than Natural Evolution and Delineation of Its Probable Synthetic Route'. Biological and Chemical Sciences. 《Rapid Reviews Infectious Diseases》. Rapid Reviews: Covid-19 (MIT 프레스). ISSN 2692-4072. 2020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1. Warmbrod, Kelsey Lane; West, Rachel M.; Connell, Nancy D.; Gronvall, Gigi Kwik (2020년 9월 21일). In Response: Yan et al Preprint – Examinations of the Origin of SARS-CoV-2 (PDF) (보고서). 존스 홉킨스 건강 안보 센터. 2020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6일에 확인함. 
  172. Qin, Amy; Wang, Vivian; Hakim, Danny (2020년 11월 20일). “How Steve Bannon and a Chinese Billionaire Created a Right-Wing Coronavirus Media Sensation”. 《뉴욕 타임스》. 2021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3일에 확인함. 
  173. Kilander, Gustaf (2022년 9월 16일). “Lancet report claiming Covid could have come from US lab prompts anger”. 《인디펜던트》. 202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31일에 확인함. 
  174. Oreskes, Naomi (2021년 9월 1일). “The Lab-Leak Theory of COVID's Origin Is Not Totally Irrational”.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2021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5. Barry S (2021). 《Big Thunder, Little Rain: The Yellow Peril Framing of the Pandemic Campaign Against China》.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 (Oxford University Press (OUP)). 395–424쪽. doi:10.1093/chinesejil/jmab023. ISSN 1540-1650. PMC 8500121. 
  176. Cohen, Jon (2020년 1월 31일). 《Mining coronavirus genomes for clues to the outbreak's origins》. 《사이언스》. doi:10.1126/science.abb1256. S2CID 214373002. 
  177. “Dújiā | shízhènglì huíyīng zhíyí zhuānjiā yì zhì rènwéi xīnguān bìngdú fēi rénzào” 独家|石正丽回应质疑 专家一致认为新冠病毒非人造 [독점 | 스정리가 의문에 답하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공적인 것이 아니라고 만장일치로 생각한다]. 《차이신》 (중국어 간체). 베이징. 2020년 2월 5일. 2020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178. “Xīnguān yìqíng: Wǔhàn yǐ zhī zuìzǎo quèzhěn bìnglì wèi 'yī míng 70 duō suì nǎo gěng huànzhě'模糊不清的'零号病人'与新冠病毒来源争议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우한의 최초 확진 사례는 '70대 뇌경색 환자'로 밝혀져]. 《BBC 뉴스 중문》 (중국어 간체). 2020년 2월 18일. 2020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179. Stolberg, Sheryl Gay (2023년 2월 8일). “N.I.H. Leader Rebuts Covid Lab Leak Theory at House Hearing”. 《뉴욕 타임스》. 2023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11일에 확인함. 
  180. Knight, Peter (2021년 6월 21일). “COVID-19: Why lab-leak theory is back despite little new evidence”. 《더 컨버세이션》. 멜버른. 202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8일에 확인함. 
  181. Michael R. Gordon; Warren P. Strobel; Drew Hinshaw (2021년 5월 23일). “Intelligence on Sick Staff at Wuhan Lab Fuels Debate on Covid-19 Origin”. 《월스트리트 저널》 (미국 영어). 2021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82. “First Covid-19 case happened in November, China government records show – report”. 《가디언》 (영어). 2020년 3월 13일. 2020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6일에 확인함. 
  183. Ma, Josephine (2020년 3월 13일). “Coronavirus: China's First Confirmed Covid-19 Case Traced Back to November 17”.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홍콩). 2020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The first case of someone in China suffering from Covid-19 ... can be traced back to November 17,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seen by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184. Beaumont, Peter (2021년 5월 27일). “Did Covid come from a Wuhan lab? What we know so far”. 《가디언》 (영어). 2021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6일에 확인함. 
  185. Katie Bo Lillis (2021년 10월 29일). “US Intelligence community releases full declassified report that does not determine origin of Covid-19”. CNN. 2021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The IC [intelligence community] assesses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several WIV researchers reported symptoms consistent with COVID-19 in autumn 2019 is not diagnostic of the pandemic's origins. Even if confirmed, hospital admission alone would not be diagnostic of COVID-19 infection. 
  186. Spence, Madeleine. “The rise and fall of British virus hunter Peter Daszak”. 《더 타임스》 (영어). 2021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6일에 확인함. 
  187. Εditors of The Lancet (June 2021). 《Addendum: competing interests and the origins of SARS-CoV-2》. 《란셋397. 2449–2450쪽. doi:10.1016/S0140-6736(21)01377-5. PMC 8215723. S2CID 235494625. 
  188. Ryan, Jackson (2021년 4월 15일). “How the coronavirus origin story is being rewritten by a guerrilla Twitter group”. CNET. 202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일에 확인함. 
  189. Ollstein, Alice Miranda (2021년 7월 9일). “POLITICO-Harvard poll: Most Americans believe Covid leaked from lab”. 《폴리티코》 (영어). 2022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3일에 확인함. 
  190. “How the covid lab leak became the American public's predominant theory”. 《워싱턴 포스트》. 2023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6일에 확인함. 
  191. Silva HM (June 2021). 《The xenophobia virus and the COVID-19 pandemic》. 《Éthique & Santé》 18. 102–106쪽. doi:10.1016/j.etiqe.2021.03.002. PMC 9760352. PMID 36568643. 
  192. Stanage, Niall (2021년 5월 25일). “The Memo: Media face hard questions on Trump, Wuhan lab”. 《더 힐》. 2021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2일에 확인함. 
  193. Chow, Denise (2021년 6월 16일). “The science around the lab leak theory hasn't changed. But here's why some scientists have.” (영어). NBC 뉴스. 2021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7일에 확인함. 
  194. Stein, Jeff; Leonnig, Carol D.; Dawsey, Josh; Shih, Gerry (2020년 4월 30일). “U.S. officials crafting retaliatory actions against China over coronavirus as President Trump fumes”. 《워싱턴 포스트》. 2021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9일에 확인함. 
  195. Singh, Maanvi; Davidson, Helen; Borger, Julian (2020년 5월 1일). “Trump claims to have evidence coronavirus started in Chinese lab but offers no details”. 《가디언》. 202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8일에 확인함. 
  196. Lima, Christiano (2021년 5월 26일). “Facebook no longer treating 'man-made' Covid as a crackpot idea”. 《폴리티코》 (영어). 2021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7일에 확인함. 
  197. Hern, Alex (2021년 5월 27일). “Facebook lifts ban on posts claiming Covid-19 was man-made”. 《가디언》 (영어). 2021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7일에 확인함. 
  198. Kirchgaessner, Stephanie; Graham-Harrison, Emma; Lily, Kuo (2020년 4월 11일). “China clamping down on coronavirus research, deleted pages suggest”. 《가디언》 (영어). 2020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9일에 확인함. 
  199. Areddy, James T. (2020년 5월 26일). “China Rules Out Animal Market and Lab as Coronavirus Origin”. 《월스트리트 저널》. 2021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200. Alba, Davey (2021년 3월 19일). “How Anti-Asian Activity Online Set the Stage for Real-world Violence”. 《뉴욕 타임스》. 202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201. Beauvais C (December 2022). 《Pourquoi croyons-nous aux fake news?》. 《Rev Rhum ed Fr》 (Review) (프랑스어) 89. 555–561쪽. doi:10.1016/j.rhum.2022.09.013. PMC 9558089. PMID 36267475. 
  202. Bloom JD, Chan YA, Baric RS, Bjorkman PJ, Cobey S, Deverman BE, Fisman DN, Gupta R, Iwasaki A, Lipsitch M, Medzhitov R, Neher RA, Nielsen R, Patterson N, Stearns T, van Nimwegen E, Worobey M, Relman DA (May 2021). 《Investigate the origins of COVID-19》. 《사이언스》 (Letter) 372. 694쪽. Bibcode:2021Sci...372..694B. doi:10.1126/science.abj0016. PMC 9520851. PMID 33986172. 
  203. Gan, Nectar; Yeung, Jessie (2021년 5월 28일). “China counters Biden's Covid probe with a US military base conspiracy theory”. CNN. 2022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28일에 확인함. 
  204. Schafer, Bret (2021년 7월 9일). “China Fires Back at Biden with Conspiracy Theories About Maryland Lab”. 《포린 폴리시》. 2021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6일에 확인함. 
  205. Alwine J, Goodrum F, Banfield B, Bloom D, Britt WJ, 외. (August 2024). 《The harms of promoting the lab leak hypothesis for SARS-CoV-2 origins without evidence》. 《J Virol》 98. e0124024쪽. doi:10.1128/jvi.01240-24. PMC 11406950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9087765. 
  206. Kaiser J (2024년 3월 15일). 'Lab-leak' proponents at Rutgers accused of defaming and intimidating COVID-19 origin researchers》. 《사이언스》 (News) (미국 과학 진흥 협회). 
  207. Thacker, Paul D (2021년 10월 1일). 《Covid-19: Lancet investigation into origin of pandemic shuts down over bias risk》. 《BMJ》 375. n2414쪽. doi:10.1136/bmj.n2414. PMID 34598923. S2CID 238241044. 
  208. Lonas, Lexi (2021년 6월 9일). “WHO adviser accuses COVID-19 lab-leak theory critics of 'thuggery'. 《더 힐》 (영어). 2021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9. “Did COVID-19 Leak From A Lab? A Reporter Investigates – And Finds Roadblocks” (영어). NPR. 2021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210. Hibbett, Maia; Grim, Ryan (2022년 1월 12일). “House Republicans Release Text of Redacted Fauci Emails on Covid Origins”. 《더 인터셉트》. 2022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11. Dilanian, Ken; Perrette, Amy; Chow, Denise (2021년 6월 4일). “Fauci's emails don't prove a Wuhan conspiracy, but raise further questions” (영어). NBC 뉴스. 2022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12. Sarah Knapton (2022년 1월 11일). “Scientists believed Covid leaked from Wuhan lab – but feared debate could hurt 'international harmony'. 《더 텔레그래프》. 2022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213. Gorman, James; Zimmer, Carl (2021년 6월 14일). “Scientist Opens Up About His Early Email to Fauci on Virus Origins”. 《뉴욕 타임스》. 2021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5일에 확인함. 
  214. “New Data Leads To Rethinking (Once More) Where The Pandemic Actually Began”. 《wbur.org》 (영어). 2022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5일에 확인함. 
  215. “Spike: The Virus v the People review – Sage scientist's revelatory Covid memoir”. 《가디언》 (영어). 2021년 7월 25일. 2022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5일에 확인함. 
  216. Elliott, Philip. “How Distrust of Donald Trump Muddled the COVID-19 'Lab Leak' Debate”. 《타임》. 202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7일에 확인함. 
  217. Folmer, Kaitlyn; Salzman, Sony; Pezenik, Sasha; Abdelmalek, Mark; Bruggeman, Lucien (2021년 6월 14일). “Nature-based or lab leak? Unraveling the debate over the origins of COVID-19”. 《ABC 뉴스》. 2021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 Political voices in favor of the lab-leak theory, particularly from President Donald Trump, served to polarize the issue further and largely pushed the scientific community away from a willingness to consider the lab-leak theory. 
  218. Casadevall, Arturo; Weiss, Susan R.; Imperiale, Michael J. (2021년 8월 31일). 《Can Science Help Resolve the Controversy on the Origins of the SARS-CoV-2 Pandemic?》. 《mBio》 12. e0194821쪽. doi:10.1128/mBio.01948-21. PMC 8406229. PMID 34334001. 
  219. Borsetti, Alessandra; Scarpa, Fabio; Maruotti, Antonello; Divino, Fabio; Ceccarelli, Giancarlo; Giovanetti, Marta; Ciccozzi, Massimo (April 2022). 《The unresolved question on COVID-19 virus origin: The three cards game?》. 《Journal of Medical Virology》 94. 1257–1260쪽. doi:10.1002/jmv.27519. PMID 34897750. 
  220. Yuan, Shu; Jiang, Si-Cong; Li, Zi-Lin (2020년 6월 9일). 《Analysis of Possible Intermediate Hosts of the New Coronavirus SARS-CoV-2》.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 7. 379쪽. doi:10.3389/fvets.2020.00379. eISSN 2297-1769. PMC 7297130. PMID 32582786. 
  221. Zhou, Peng; Shi, Zheng-Li (2021년 1월 8일). 《SARS-CoV-2 spillover events》. 《사이언스371. 120–122쪽. Bibcode:2021Sci...371..120Z. doi:10.1126/science.abf6097. eISSN 1095-9203. ISSN 0036-8075. PMID 33414206. S2CID 231138544. 
  222. Oude Munnink, Bas B.; Sikkema, Reina S.; Nieuwenhuijse, David F.; Molenaar, Robert Jan; Munger, Emmanuelle; Molenkamp, Richard; van der Spek, Arco; Tolsma, Paulien; Rietveld, Ariene; Brouwer, Miranda; Bouwmeester-Vincken, Noortje; Harders, Frank; Hakze-van der Honing, Renate; Wegdam-Blans, Marjolein C. A.; Bouwstra, Ruth J.; GeurtsvanKessel, Corine; van der Eijk, Annemiek A.; Velkers, Francisca C.; Smit, Lidwien A. M.; Stegeman, Arjan; van der Poel, Wim H. M.; Koopmans, Marion P. G. (2021년 1월 8일). 《Transmission of SARS-CoV-2 on mink farms between humans and mink and back to humans》. 《사이언스371. 172–177쪽. Bibcode:2021Sci...371..172O. doi:10.1126/science.abe5901. eISSN 1095-9203. ISSN 0036-8075. PMC 7857398. PMID 33172935. 
  223. Wrobel, Antoni G.; Benton, Donald J.; Xu, Pengqi; Calder, Lesley J.; Borg, Annabel; Roustan, Chloë; Martin, Stephen R.; Rosenthal, Peter B.; Skehel, John J.; Gamblin, Steven J. (2021년 2월 5일). 《Structure and binding properties of Pangolin-CoV spike glycoprotein inform the evolution of SARS-CoV-2》. 《Nature Communications》 12. 837쪽. doi:10.1038/ |doi= 값 확인 필요 (도움말). eISSN 2041-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