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코로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양 코로나가 보이는 일식.

코로늄(Coronium)은 19세기에 제안된 화학 원소의 이름이다. 태양 코로나에서 영감을 받은 이 이름은 1887년 그륀발트가 붙였다.[1] 태양 코로나에서 새로 발견된 얇은 녹색 선은 당시 실험실 환경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원소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나중에 이 선이 (Fe13+)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온화가 너무 심해서 당시에는 실험실에서 생산할 수 없었다.

태양 분광학

[편집]

1869년 8월 7일 개기일식 동안 찰스 오거스터스 영 (1834~1908년)과 윌리엄 하크니스 (1837~1903년)는 각각 코로나 스펙트럼에서 파장 530.3 nm의 녹색 방출선을 독자적으로 관측했다. 이 선이 알려진 어떤 물질의 것과도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지의 원소가 방출한 것으로 제안되었고, 잠정적으로 코로늄이라고 명명되었다.

이 추정되는 원소는 1898년 라파엘로 나시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화학자 팀에 의해 베수비오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2] 나시니는 스펙트럼의 사진 기록이 없었으며,[3] 이 관측은 미확인으로 간주되었다.[4]

1902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자신의 주기율표에 기반한 새로운 원소에 대한 유명한 예측을 한 지 30여 년이 지나고 다양한 비활성 기체의 발견 직후, 수소보다 원자량이 작은 두 가지 비활성 기체가 존재한다고 가설을 세웠다.[5][6][7][8] 그가 "원소 x" 또는 "뉴토늄"이라고 불렀던 첫 번째는 광전 에테르에 대한 화학적 설명을 시도한 것이었다. 그는 이것이 원자량 0.14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가 "원소 y" 또는 코로늄이라고 불렀던 두 번째는 태양에서 나오는 녹색 방출선을 설명하려는 시도였다. 그는 이것이 원자량 0.4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발터 그로트리안벵트 에들렌이 530.3 nm의 스펙트럼 선이 고도로 이온화된 (Fe13+)에 의한 것임을 발견한 것은 1930년대가 되어서였다. 코로나 스펙트럼의 다른 특이한 선들도 니켈과 같은 고전하 이온에 의해 발생했으며, 높은 이온화는 태양 코로나의 극심한 온도 때문이었다.[9] 530.3 nm의 선은 이전에 철선 번호 1474로 잘못 분류되었다.[1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ruenwald, A. (1887년 12월 2일). 《On remarkable relations between the spectrum of watery vapour and the line spectra of Hydrogen and Oxygen》. 《Chemical News》 LVI. 232쪽 – Google Books 경유. 
  2. “New Chemical Element”. 《The Daily Gleaner》. 1898년 11월 17일. 6면. 
  3. Clerke, A. M. (1898). 《The problem of coronium》. 《The Observatory》 21. 325쪽. Bibcode:1898Obs....21..325C. 
  4. Claridge, George C. (1937). 《Coronium》.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31. 337쪽. Bibcode:1937JRASC..31..337C. 
  5. * Менделеев Д. И. Попытка химического понимания мирового эфира (1902)
  6. Mendeleyev, Dmitry Ivanovich (1904). 《An Attempt Towards a Chemical Conception of the Ether》. Longmans, Green, and Company. 
  7. Ede, Andrew (2006). 《The Chemical Element: A Historical Perspective》. Greenwood Press. 83–84쪽. ISBN 0-313-33304-1. 
  8. Lente, Gábor (2019). 《Where Mendeleev was wrong: predicted elements that have never been found》. 《ChemTexts》 5. 17쪽. Bibcode:2019ChTxt...5...17L. doi:10.1007/s40828-019-0092-5. 
  9. Morison, Ian (2008). 《Introduction to Astronomy and Cosmology》. Wiley-Blackwell. 61쪽. ISBN 978-0-470-03333-3. 
  10. “Solar spectroscopy: Coronium”. 《Cosmos Portal》. 201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3일에 확인함. 

추가 자료

[편집]
  • Claridge, George C. (1937). 《Coronium》.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31. 337–346쪽. Bibcode:1937JRASC..31..337C.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