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크라틸로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라틸로스(Cratylus, 고대 그리스어: Κρατύλος)는 기원전 5세기 중후반의 고대 아테네철학자로, 주로 플라톤대화편 크라틸로스에 등장하는 모습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헤라클레이토스 철학의 급진적인 지지자였으며 젊은 플라톤에게 영향을 주었다.

생애

[편집]

크라틸로스에 대해서는 소아시아에페소스 출신인 헤라클레이토스의 제자였다는 것 외에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현대 전기 작가들은 그의 대략적인 출생 연대에 대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플라톤이나 소크라테스와 비슷한 나이였을 것이라고 번갈아 주장한다.[1] 크라틸로스는 아리스토텔레스형이상학에서 기원전 5세기 중후반에 아테네에서 확고하고 활동적인 철학자였음을 암시하는 듯한 구절에 언급되며,[1]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와 동맹을 맺기 전에 그의 가르침에 잠시 관심을 가졌었다는 내용이 있다.

철학

[편집]

크라틸로스의 이름을 딴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는 헤라클레이토스가 한 번 발을 담근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는 주장을 인용한다.[2]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크라틸로스는 스승의 가르침을 한 단계 더 나아가 한 번도 발을 담글 수 없다고 선언했다.[3]

영향

[편집]

현대 철학 크라틸로스주의는 플라톤의 대화편에 나타난 크라틸로스의 유동성과 언어 이론의 재구성된 버전에 기반을 둔다. 이는 불교기호학자를 포함한 동양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4] 호주 시인이자 학자, 문학 평론가인 A. D. 호프는 1979년에 시에 관한 에세이집인 『새로운 크라틸로스 (The New Cratylus)』를 출판했다.[5]

크라틸로스는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1961년 저서 『전체와 무한』에서 두 번 언급된다.[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ebra Nails. The People of Plato: A prosopography of Plato and other Socratics.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2002, p. 105
  2. Plato, Cratylus, 402a
  3. Aristotle, Metaphysics, 4.5 1010a10-15
  4. Fabio Rambelli, A Buddhist Theory of Semiotics.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2013, p. 179
  5. The New Cratylus: Notes on the Craft of Poetry, Melbourne,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6. Levinas, Emmanuel (1969). 《Totality and Infinity》. 번역 Lingis. Pittsburgh, Pennsylvania: Duquesne University Press. 60, 92쪽. ISBN 978-0-8207-02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