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세누시온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2절 후반~제3절 초반 | |
![]() 화석 표본 | |
![]()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미분류): | 범절지동물 |
문: | †'엽족동물문' |
강: | †크세누시온강 |
목: | †원유조동물목 |
과: | †크세누시온과 |
속: | †크세누시온속 Pompeckj, 1927 |
종: | †크세누시온 |
학명 | |
†Xenusion auerswaldae | |
Pompeckj, 1927 |
크세누시온(학명: Xenusion auerswaldae 크세누시온 아우에르스왈다이[*])는 초기 엽족류로 독일 방면의 발트해 해안에 있는 빙하 퇴적암[1]에서 발견되었다. 세 점의 표본[2]이 알려져 있다. 완모식표본이 발견된 직후에 또 다른 표본이 잠시 목격되었지만 얼마 안 가 사라졌다. 없어진 표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화석들은 캄브리아기 하부층(제2절 후반~제3절 초반)에 퇴적한[3] 스웨덴 남부의 칼마르순드(Kalmarsund) 사암층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4] 현재 밝혀진 연체성 엽족류 중에서는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난 화석이다.[5]
특징
[편집]표본들이 특별히 잘 보존되어 있지 않다. 오래된 표본은 길이가 10cm 정도로 좁고 약하게 체절이 나눠진 몸을 가지고 있다. 해당 표본은 몸의 뒷부분으로 가정했을 때 몸길이 약 20cm인 동물의 일부로 추정되었다.[1] 함몰부는 가장 뒤의 마디들을 제외한 모든 마디의 바닥면에서 많아진다. 각각의 마디에는 끝이 약간 구불구불하며, 현생 유조동물을 닮았지만 분화된 발과 발톱이 없는 한 쌍의 가늘은 환절형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0개 이상의 체절이 존재한다.[6] 각각의 몸돌기에는 가시가 있고 화석에서는 희미하지만 다리고리마다 가로로 평행한 줄 모양의 구조물이 달려있던 것으로 추정된다.[1][6] 최전방부 마디에 다리가 없거나 남아있지 않다. 머리도 없어졌거나 잘 보존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방부가 보이는 새로운 표본에 따르면, 길고 좁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1] 이것도 보존적 인위 구조임을 시사한다.[7]
크세누시온은 탈로(Tarlo)가 그린 에디아카라기의 엽상동물로 재해석되었으며, 그 해석에 따른 그림은 마크 맥메나민이 제시했던 것이다.[8] 『무척추동물 고생물학에 대한 논문』 제O권에 제시된 사진에서, 이 생물의 외형은 원래의 해석을 더 잘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크세누시온류에 대한 추가 연구는 랑게오모르프류와의 관련성에 대한 가능성을 메운다.[1][6]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Dzik, J.; Krumbiegel, G. N. (1989). “The oldest 'onychophoran' Xenusion: A link connecting phyla?”. 《Lethaia》 22 (2): 169. Bibcode:1989Letha..22..169D. doi:10.1111/j.1502-3931.1989.tb01679.x.
- ↑ “Oudste fossiel van Nederland naar Hunebedcentrum: 600 miljoen jaar oud”. 《www.rtvdrenthe.nl》 (네덜란드어). 2022년 11월 22일. 2024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Han, J.; Zhang, Z. -F.; Liu, J. -N. (2008). “A preliminary note on the dispersal of the Cambrian Burgess Shale-type faunas”. 《Gondwana Research》 14 (1–2): 269–276. doi:10.1016/j.gr.2007.09.001.
- ↑ Jaeger, Hermann; Martinsson, Anders (1967년 1월 31일). “Remarks on the Problematic Fossil Xenusion Auerswaldae”. 《Geologiska Föreningen i Stockholm Förhandlingar》 88 (4): 435–452. doi:10.1080/11035896709455501. ISSN 0016-786X.
- ↑ Ou, Qiang; Mayer, Georg (2018년 9월 20일). “A Cambrian unarmoured lobopodian, †Lenisambulatrix humboldti gen. et sp. nov., compared with new material of †Diania cactiformis”. 《Scientific Reports》 (영어) 8 (1): 13667. Bibcode:2018NatSR...813667O. doi:10.1038/s41598-018-31499-y. ISSN 2045-2322. PMC 6147921. PMID 30237414.
- ↑ 가 나 다 Liu, Jianni; Dunlop, Jason A. (2014년 3월 15일). “Cambrian lobopodians: A review of recent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their morphology and evolutio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Cambrian Bioradiation (영어) 398: 4–15. Bibcode:2014PPP...398....4L. doi:10.1016/j.palaeo.2013.06.008. ISSN 0031-0182.
- ↑ RAMSKÖLD, L. and CHEN, J.-Y. 1998. Cambrian lobopodians: morphology and phylogeny. In EDGECOMBE, G. D. (ed.) Arthropod Fossils and Phylogeny,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07–150 pp.
- ↑ McMenamin, Mark A. S. (1986). “The Garden of Ediacara”. 《PALAIOS》 1 (2): 178–182. doi:10.2307/3514512. ISSN 0883-1351. JSTOR 3514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