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겨울잠쥐
보이기
|
| |
|---|---|
큰겨울잠쥐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다람쥐아목 |
| 과: | 겨울잠쥐과 |
| 아과: | 겨울잠쥐아과 |
| 속: | 큰겨울잠쥐속 (Glis) Brisson, 1762 |
| 종: | 큰겨울잠쥐 (G. glis) |
| 학명 | |
| Glis glis | |
| (Linnaeus, 1766) | |
학명이명 | |
|
Sciurus glis Linnaeus, 1766 | |
| 큰겨울잠쥐의 분포 | |
큰겨울잠쥐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큰겨울잠쥐(Glis glis)는 대형 겨울잠쥐류의 일종이다. 큰겨울잠쥐속의 유일종으로 서유럽에서 대부분 발견된다.[3] "식용겨울잠쥐"(edible dormouse)라는 영어권 명칭은 이 동물을 진미(珍味)로 먹었던 로마인들에게서 유래했다.
특징
[편집]큰겨울잠쥐는 몸길이 14~19cm와 꼬리 길이 11~13cm로 겨울잠쥐류 중에서 가장 크다. 몸무게는 보통 120~150g이지만, 겨울잠 직전에는 이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몸은 다람쥐를 닮았고, 작은 귀와 짧은 다리, 그리고 큰 발을 갖고 있다. 털 색깔은 전체적으로 회색부터 회색빛 갈색이지만, 배 아랫쪽과 다리 안쪽은 흰색부터 엷은 담황색을 띤다. 경계선은 상당히 뚜렷하다.[4]
각주
[편집]- ↑ Carlo Violani & Bruno Zava (1995). “Carolus Linnaeus and the edible dormouse” (PDF). 《Hystrix》 6 (1–2): 109–115. doi:10.4404/hystrix-6.1-2-4020.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Glis gli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0. 2010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Holden, M.E. (2005). 〈Family Gliridae〉 [겨울잠쥐과]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4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Kryštufek, B. (2010). “Glis glis (Rodentia: Gliridae)”. 《Mammalian Species》 42 (1): 195–206. doi:10.1644/865.1. 2013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