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베 백작 요한
클레베 백작 요한
Johann von Kleve | |
---|---|
재위 | 1347년~1368년 |
전임 | 디트리히 9세 폰 클레베 |
후임 | 아돌프 폰 데어 마르크 |
신상정보 | |
출생일 | 1292년? |
사망일 | 1368년 11월 19일 |
부친 | 디트리히 7세 폰 클레베 |
모친 | 마르가레타 폰 노이키부르크 |
형제자매 | 디트리히 9세 폰 클레베 (형) |
요한 폰 클레베 (Johann von Kleve, 1292년/1293년?~1368년 11월 19일)은 14세기 신성로마제국의 귀족으로, 1347년부터 1368년까지 클레베 백작을 지냈다.
생애
[편집]요한은 클레베 백국의 디트리히 백작과 마르가레타 폰 노이키부르크의 재혼으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처음에는 성직자 생활을 하다가 1348년 헬러 공작 라이날트 3세 폰 겔데른의 딸 메히틸트 폰 겔데른과 결혼했다. 메히틸트와는 자녀를 두지 않고 여러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
요한은 막내아들이었던 탓에 처음에는 클레베 백작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최소 1310년경까지는 성직자로 나선 것으로 보이며 쾰른, 마인츠, 트리어, 위트레흐트, 크산텐의 의전사제로 있었다. 1320년부터 1347년까지는 쾰른 대성당의 최고사제로 있었다. 1318년에는 형 디트리히 9세 폰 클레베와 상속계약을 맺고 린 (Linn)의 영지를 상속받았다. 1333년경 두 형제 사이에 백작위 계승을 놓고 분쟁이 벌어졌는데, 디트리히 백작에게 딸은 셋이 있어도 아들은 없었기 때문이었다. 1338년부터 디트리히는 동생의 작위계승을 받아들였고, 요한은 디트리히의 통치 말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1347년 7월 7일, 형 디트리히가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면서 요한은 성직에서 물러나고 클레베 공국의 통치권을 이어받았다. 메히틸트 폰 겔데른과 혼인하면서 헬러 공국의 계승전쟁에 휘말리게 된 요한은 헬러 공작 라이날트 3세와 그 동생 에두아르트 폰 겔데른의 사이에서 라이날트의 편을 들며 지원하였다. 이러한 개입으로 클레베 공국은 에메리히 시를 획득했지만, 동시에 재정적 어려움에 빠졌다. 그럼에도 요한 백작은 클레베의 영지를 개선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되는데, 특히 백작의 궁정을 실질적인 행정기관으로 확대하여 1360년경부터 기록장부를 남기도록 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1368년 요한 1세가 사망하자 클레베 백작가는 대가 끊겼고, 여러 계승후보가 클레베 공작위를 놓고 경쟁했다. 그 결과 요한 1세의 종손이자 마르크 백작 엥겔베르트 3세의 동생인 아돌프 폰 데어 마르크가 물려받고 디트리히 폰 호른 (Dietrich von Horn)과 오토 폰 아르켈 (Otto von Arkel)은 물러나게 되었다. 이로써 마르크가는 1609년까지 클레베 공국의 통치가문이 되었다.
참고 문헌
[편집]- Manuel Hagemann: Johann von Kleve († 1368). Der Erwerb der Grafschaft Kleve 1347, Köln 2007 (Libelli Rhenani 21), ISBN 978-3-939160-10-6
- Manuel Hagemann: Der Klever Erbfall 1368 – Vorbereitung und Stabilisierung der Herrschaftsübernahme durch das Haus Mark, in: RhVjbll. 83, 2019. S. 80–109, ISBN 978-3-7749-4222-6
- Woldemar Harleß (1881), 〈Johann (Graf von Kleve)〉 (독일어),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14, Leipzig: Duncker & Humblot, 206–208쪽
- Wilhelm Janssen (1974), 〈Johann〉 (독일어), 《Neue Deutsche Biographie (NDB)》 10, Berlin: Duncker & Humblot, 491–492쪽; (full text online)
- Dieter Kastner: Die Territorialpolitik der Grafen von Kleve, Düsseldorf 1972 (= Veröffentlichungen des historischen Vereins für den Niederrhein, insbesondere das alte Erzbistum Köln 11).
- Wolf-Rüdiger Schleidgen: Regesten des Bestandes Kleve-Mark. Urkunden im Nordrhein-Westfälischen Hauptstaatsarchiv in Düsseldorf (Veröffentlichungen der staatlichen Archive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Reihe C: Quellen und Forschungen 13), Siegburg 1983
- Brigitte Sternberg: Die ältesten klevischen Register als sprachgeschichtliche Quelle, in: Skripta, Schreiblandschaften und Standardisierungstendenzen. Beiträge zum Zweiten internationalen Urkundensprachen-Kolloquium vom 16.–18. September 1998 in Trier (Trierer Historische Forschungen 47), Trier 2001, S. 632f.
- Brigitte Sternberg: Mechtild von Geldern, Gräfin von Kleve. In: Van der Masen tot op den Rijn: Ein Handbuch zur Geschichte der mittelalterlichen volkssprachlichen Literatur im Raum von Rhein und Maas. S. 262f., ISBN 3-503-07958-0
외부 링크
[편집]- 논문 <클레베스의 존(1347-1368) 치하의 클레베스 궁정의 법무부 및 등록부에 관한 연구> (독일어)
- 라인란트 역사 포털의 전기 (독일어)
이전 디트리히 8세 |
클레베 백작 1347년~1368년 |
이후 아돌프 3세 폰 데어 마르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