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키릴 페트렌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릴 페트렌코
2019년 8월, 베를린 필하모니의 페트렌코
출생명Kirill Garrievich Petrenko
출생1972년 2월 11일(1972-02-11)(53세)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옴스크
성별남성
직업지휘자

키릴 가리예비치 페트렌코 (러시아어: 러시아어: Кирилл Гарриевич Петренко, 라틴 문자: Kirill Garrievič Petrenko; 1972년 2월 11일 ~ )는 러시아-오스트리아 국적의 지휘자이다. 현재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이다.

어린 시절

[편집]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옴스크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아버지와 음악학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 유대인 혈통이지만,[2] 유대교와 큰 연관이나 지식 없이 자랐다.[3] 아버지는 르비우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다.[4] 어릴 때 피아노를 공부했고 11세에 피아니스트로 대중 앞에 데뷔했다. 18세에 가족과 함께 소련 국경 개방 직후 오스트리아로 이주했다. 아버지는 오스트리아에서 펠트키르히에 위치한 포어아를베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본인도 포어아를베르크에 있는 포어아를베르거 주립 음악원에서 음악을 공부해 피아노 부문에서 우등으로 졸업했다. 빈 음악 공연 예술 대학교에서 음악 공부를 계속했으며, 그곳에서 우로시 라이오비치를 사사했으며,[5] 그 외에도 정명훈, 에드워드 다운스, 외트뵈시 페테르, 페르디난트 라이트너, 로베르토 카르네발레, 세묜 비치코프 등의 스승 밑에서 수학했다.

경력

[편집]

1995년 포어아를베르크에서 브리튼의 오페라 《Let's Make an Opera》 프로덕션으로 오페라 지휘 데뷔를 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빈 폭스오퍼카펠마이스터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마이닝겐에 있는 쥐트튀링기셰스 슈타츠테아터(Das Meininger Theater)의 음악 총감독(GMD)이었으며, 그곳에서 2001년에 4일 연속으로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4개 무대를 지휘했다.[6] 이는 바그너 오페라와의 첫 번째 전문 지휘 활동이었다.[7] 2013년, 2014년, 2015년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니벨룽의 반지 전 악장을 지휘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코미셰 오퍼 베를린의 음악 총감독이었다. 이 기간 동안 2003년 바이에른 주립 오페라에 데뷔했고, 2009년에 《예누파》 프로덕션으로 뮌헨 극단으로 돌아왔다. 2010년 10월, 바이에른 주립 오페라는 2013년부터 페트렌코를 차기 음악 총감독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8] 2015년 10월, 바이에른 주립 오페라의 음악 총감독 계약은 이전에 2018년까지 예정되어 있었으나[9] 2020-2021 시즌까지 연장되었으며, 계약의 마지막 해에는 객원 지휘자로 출연할 예정이다.[10]

2006년에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객원 지휘자를 맡았으며, 2009년과 2012년에 객원 지휘자로 다시 출연했다. 2014년 12월에 오케스트라와의 객원 출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1] 2015년 6월, 베를린 필하모니는 페트렌코를 차기 상임 지휘자로 선출했다고 발표했다.[1] 선출 당시 베를린 필하모니 재임 기간의 공식 시작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당시 베를린 필하모니 단장 마틴 호프만은 "2018년 직후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가정한다"고 언급했다.[9] 2015년 10월, 베를린 필하모니는 페트렌코가 2019-2020 시즌부터 베를린 필하모니의 상임 지휘자 계약이 공식적으로 시작할 것이며, 2019-2020 시즌 이전에는 객원 출연이 예정되어 있다고 발표했다.[10][12] 2016년 10월, 베를린 필하모니는 페트렌코가 2019년 8월 19일부터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공식적으로 임기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13]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당시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존중하는 해결책을 촉구했다.[4] 2020년 3월, 독일 연방 정부 문화미디어위원장인 모니카 그뤼터스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피해를 입은 프리랜서 음악가들을 위한 후원 기금인 '음악가 비상 지원금'(Musiker-Nothilfe)의 공동위원장을 맡았다.[14]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체 평화로운 세계의 등에 꽂힌 칼"이라고 비난했다.[15]

각주

[편집]
  1. Volker Blech (2015년 6월 22일). “Kirill Petrenko wird Chef der Berliner Philharmoniker”. 《Berliner Morgenpost》. 2021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0일에 확인함. 
  2. Kirill Petrenko the surprise successor to Simon Rattle at Berlin Philharmonic, 타임스 (22 June 2015)
  3. https://www.berliner-philharmoniker.de/en/stories/conversation-with-kirill-petrenko/
  4. “Dirigent Petrenko besorgt über Lage in Ukraine”. 《Focus》. 2014년 3월 3일. 2015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0일에 확인함. 
  5. 문학수 (2017년 9월 11일). “지휘자 키릴 페트렌코, 그는 누구인가”. 《경향신문》. 2025년 9월 12일에 확인함. 
  6. Reihnard J. Brembeck (2010년 10월 6일). “Wunder aus Sibirien”. 《쥐트도이체 차이퉁》. 2010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7. Reihnard J. Brembeck (2010년 10월 5일). “Kommt der Opernwundermann?”. 《Süddeutsche Zeitung》. 2010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8. “Petrenko kommt”. 《Süddeutsche Zeitung》. 2010년 10월 6일. 2012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9. Ben Knight (2015년 6월 22일). “Kirill Petrenko to succeed Simon Rattle at the Berlin Philharmonic”. 《The Guardian》. 2015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0일에 확인함. 
  10. Matthias Wulff (2015년 10월 13일). “Kirill Petrenko kommt später als erwartet nach Berlin”. 《Berliner Morgenpost》. 2022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1. Michael Cooper (2015년 6월 22일). “Berlin Philharmonic Selects Kirill Petrenko to Succeed Simon Rattle”. 《The New York Times》. 2024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9일에 확인함. 
  12. “Kirill Petrenko will take up office as chief conductor and artistic director of the Berliner Philharmoniker in the 2019/2020 season” (보도 자료).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2015년 10월 13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3. “Kirill Petrenko unterzeichnet Vertrag” (보도 자료).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2016년 10월 6일. 2018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7일에 확인함. 
  14. Fredrrik Hanssen (2020년 4월 7일). “Monika Grütters und Kirill Petrenko helfen Musikern in Not”. 《Der Tagesspiegel》. 2024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6일에 확인함. 
  15. “Statement by the Berliner Philharmoniker and their chief conductor Kirill Petrenko on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Berliner Philharmoniker》. 2022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문화 사무소
이전
마리-잔 뒤푸르
쥐트튀링기셰스 슈타츠테아터 음악 총감독
1999–2002
이후
파브리치오 벤투라
이전
야코프 크라이츠베르크
코미셰 오퍼 베를린 음악 총감독
2002–2007
이후
칼 세인트 클레어
이전
켄트 나가노
바이에른 주립 오페라 음악 총감독
2013–2021
이후
블라디미르 유롭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