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뿔도마뱀
![]() | |
---|---|
![]() 텍사스뿔도마뱀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이구아나하목 |
과: | 뿔도마뱀과 |
속: | 뿔도마뱀속 |
종: | 텍사스뿔도마뱀 (P. cornutum) |
학명 | |
Phrynosoma cornutum | |
(Harlan, 1825) | |
보전상태 | |
|
텍사스뿔도마뱀(Texas horned lizard)은 뿔도마뱀이라고 불리는 북아메리카의 약 21종의 온몸에 뿔 달린 파충류 중 하나로, 모두 뿔도마뱀속에 속한다.[2] 미국 중남부와 멕시코 북동부의 일부 지역과 미국 남부에서 고립된 여러 기록 및 개체군에서 발생한다. 일부 개체군은 안정적이지만 텍사스주와 오클라호마주의 많은 지역에서 심각한 개체 수 감소가 발생했다.[1][3] 텍사스가시도마뱀은 출현과 서식지 중복으로 인해 텍사스뿔도마뱀과 혼동될 수 있다.[4] 텍사스뿔도마뱀은 텍사스주에서 위협받는 종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텍사스주에서 이를 집어 들고 만지거나 소지하는 것은 불법이다.
묘사
[편집]텍사스뿔도마뱀은 미국 서부와 멕시코에 서식하는 약 21종의 뿔도마뱀 중 몸이 가장 크고 가장 널리 분포하는 도마뱀이다. 텍사스뿔도마뱀은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암컷이 주둥이-통풍 길이가 약 13cm로 더 큰 반면 수컷은 약 9.4cm에 달한다. 텍사스뿔도마뱀은 몸 전체에 걸쳐 특징적인 뿔이 있으며, 머리에 각각 두 개씩, 눈썹과 턱선에 두 개씩 더 있고 몸통의 측면과 등쪽 능선에 걸쳐 있는 스파이크 선이 있다. 사막의 경우 노란색 또는 적갈색부터 대초원의 경우 붉은 빛 갈색에 이르기까지 땅의 색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환경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또한 눈부터 뿔 끝까지 이어지는 어두운 선과 양쪽에 검은색 원형 반점이 몇 개 있는 특징적인 단단한 흰색 선이 있다.[5]
행동
[편집]
사나운 외모에도 불구하고 텍사스뿔도마뱀은 매우 유순한 생물이다. 텍사스뿔도마뱀은 일광욕을 하는 동물로 비타민 D를 생산하기 위해 밝은 햇빛이 필요하다. 햇빛이 부족한 이 동물은 비타민 D를 생산할 수 없으며 비타민 결핍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뿔도마뱀은 휴식을 취하고 햇빛을 받을 수 있는 도로변이나 기타 개방된 바위 지역에서 가장 자주 발견된다. 밤에는 도마뱀이 모래에 파묻힌다.[6] 뿔도마뱀은 아주 조금만 움직이는 것을 선호하지만 포식자가 그 지역에 있다고 생각되면 꽤 빨리 움직이고 두꺼운 풀과 잎사귀로 돌진하여 탈출할 수 있다. 뿔도마뱀은 또한 뛰어난 발굴자이며 위협을 피하기 위해 지하에 빠르게 굴을 뚫을 수 있다. 뿔도마뱀은 종종 먹이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수확기 개미 군집 근처에서 발견된다. 하루 평균 움직임은 50m이다. 평균 수심 140mm의 굴에서 동면하며 최대 햇빛 노출을 위해 남/남서쪽을 향하는 경우가 많다.[7]
일반적으로 포식에 대한 위장 역할을 하지만, 포식자의 위협을 받으면 뿔도마뱀이 부풀어 올라 매우 뚱뚱해 보이기 때문에 몸의 비늘이 튀어나와 삼키기가 어렵다. 텍사스뿔도마뱀은 다른 세 종의 뿔도마뱀속과 함께 눈 가장자리에서, 때로는 입에서 최대 1.5m 거리에서 목표 혈류를 뿜어내는 능력도 있다. 이들은 머리를 빠져나가는 혈류를 제한하여 혈압을 높이고 눈꺼풀 주위의 작은 혈관을 파열시킴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이는 포식자가 될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할 뿐만 아니라 늑대, 코요테, 개와 같은 포식자에게 악취를 풍기는 화학 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있다.[8][9][10][11][12] 이 새로운 행동은 일반적으로 방어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지만 포식성 조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수행할 때 체중의 최대 6%까지 감량할 수 있다.[13]
먹이 및 감소
[편집]텍사스뿔도마뱀의 식단의 약 70%는 붉은수확개미로 구성되어 있지만 흰개미, 딱정벌레, 메뚜기로 보충한다. 텍사스뿔도마뱀은 붉은수확개미의 독을 중화시키는 혈장 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식도와 인두에 삼킨 개미를 내장하고 무력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다량의 점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최근 몇 년 동안 이 종은 범위의 약 30% 감소했지만 다시 회복되고 있다. 이러한 감소는 일반적으로 살충제의 남용과 비토종적이고 매우 공격적이며 맹렬한 영토적인 붉은불개미의 확산으로 인해 발생한다. 둘 다 붉은수확개미 군집을 근절하여 도마뱀의 주요 먹이원을 파괴한다. 텍사스뿔도마뱀은 이제 보호종이 되었으며, 텍사스주에서는 특별한 허가 없이 채취, 소지, 운반 또는 판매하는 것이 불법이다.
각주
[편집]- ↑ 가 나 Hammerson, G.A. (2007). “Phrynosoma cornutum”. 《IUCN 적색 목록》 (IUCN) 2007: e.T64072A12741535. doi:10.2305/IUCN.UK.2007.RLTS.T64072A12741535.en. 202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Uetz, P.; Freed, P.; Aguilar, R.; Reyes, F.; Hošek, J. “The Reptile Database”. 《Reptile Database》. 2023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Cuthbert, Lori (2018년 10월 10일). “Texas Horned Lizard, Once Common, Now Must Be Captive Bred”. 《National Geographic》. 2018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Texas spiny lizard not as famous as the Texas horned lizard or horny toad, but is a master of disguise with real spunk”. 《San Antonio Express-News》. 2021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Walker, Allison. “Phrynosoma cornutum (Texas Horned Lizard)”. 《Animal Diversity Web》 (영어). 2022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Breen, John F.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T.F.H.
- ↑ Fair, Wm. Scott; Henke, Scott E. (December 1999). “Movements, Home Ranges, and Survival of Texas Horned Lizards (Phrynosoma cornutum)”. 《Journal of Herpetology》 33 (4): 517. doi:10.2307/1565567. ISSN 0022-1511. JSTOR 1565567.
- ↑ Middendorf III, G.A.; Sherbrooke, W.C.; Braun, E.J. (2001). “Comparison of Blood Squirted from the Circumorbital Sinus and Systemic Blood in a Horned Lizard, Phrynosoma cornutum”. 《The Southwestern Naturalist》 46 (3): 384–387. doi:10.2307/3672440. JSTOR 3672440.
- ↑ Sherbrooke, W.C.; Middendorf III, G.A. (2001). “Blood-Squirting Variability in Horned Lizards (Phrynosoma)” (PDF). 《Copeia》 2001 (4): 1114–1122. doi:10.1643/0045-8511(2001)001[1114:BSVIHL]2.0.CO;2. JSTOR 1448403. S2CID 86061329.
- ↑ Sherbrooke, W.C.; Middendorf III, G.A. (2004). “Responses of Kit Foxes (Vulpes macrotis) to Antipredator Blood-Squirting and Blood of Texas Horned Lizards (Phrynosoma cornutum)”. 《Copeia》 2004 (3): 652–658. doi:10.1643/CH-03-157R1. JSTOR 1448486. S2CID 55365586.
- ↑ Hodges, W.L. (2004). “Defensive blood squirting in Phrynosoma ditmarsi and a high rate of human-induced blood squirting in Phrynosoma asio”. 《The Southwestern Naturalist》 49 (2): 267–270. doi:10.1894/0038-4909(2004)049<0267:DBSIPD>2.0.CO;2. JSTOR 3672697. S2CID 85923959.
- ↑ Sherbrooke, W. C. (2000). “Sceloporus jarrovii (Yarrow's spiny lizard) Ocular Sinus Bleeding”. 《Herpetological Review》 31: 243.
- ↑ Sherbrooke, W. C. & Middendorf III, G. A. (2001). Blood-squirting variability in horned lizards (Phrynosoma). Copeia, 2001(4), 1114–1122. https://doi.org/10.1643/0045-8511(2001)001[1114:bsvihl]2.0.co;2
- ↑ Fertschai, Ismene; Sherbrooke, Wade C.; Ott, Matthias; Chagnaud, Boris P. (2021년 3월 15일). “Avoiding being stung or bitten – prey capture behaviors of the ant-eating Texas horned lizard (Phrynosoma cornutum)”. 《Biology Open》 (영어) 10 (3): bio058453. doi:10.1242/bio.058453. ISSN 2046-6390. PMC 8015224. PMID 33597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