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파시


텔레파시(영어: telepathy, 그리스어 낱말 τηλε이 기원, 텔레/tele는 "먼 거리"를 뜻하며 파시/πάθη/pathe는 "경험""을 뜻한다.[3]) 또는 정신 감응은 알려진 인간의 감각 채널이나 물리적 상호작용 없이 한 사람의 마음에서 다른 사람의 마음으로 정보가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진 현상이다. 이 용어는 1882년 고전학자 프레데릭 윌리엄 헨리 마이어스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으며,[4] 그는 심령 연구 학회(SPR)의 설립자이다.[5] 이 용어는 이전의 "사고 전송(thought-transference)"이라는 표현보다 더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다.[5][6]
텔레파시 실험은 역사적으로 적절한 통제와 재현성 부족으로 비판받아왔다. 텔레파시가 존재한다는 좋은 증거는 없으며, 이 주제는 일반적으로 과학 공동체에서 유사과학으로 간주된다.[7][8][9][10] 텔레파시는 SF에서 흔한 주제이다.
개념의 기원
[편집]로저 럭허스트와 재닛 오펜하임과 같은 역사가들에 따르면, 서양 문화에서 텔레파시 개념의 기원은 19세기 후반과 심령 연구 학회의 설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12] 물리학이 상당한 발전을 이루면서 과학적 개념이 정신 현상(예: 메스머주의)에 적용되었고, 이는 초상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 했다. 텔레파시의 현대적 개념은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했다.[12]
초심리학 연구자 에릭 딩월은 SPR 창립 멤버인 프레데릭 윌리엄 헨리 마이어스와 윌리엄 F. 배럿이 텔레파시의 존재 여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증명"하려 했다고 비판했다.[13]
사고 읽기
[편집]19세기 후반, 마술사이자 멘탈리스트인 워싱턴 어빙 비숍은 "사고 읽기" 시연을 펼쳤다. 비숍은 초자연적인 힘을 주장하지 않았고, 자신의 능력을 근육 읽기 (무의식적인 신체 신호에서 생각을 읽는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14] 비숍은 영국 의학 저널 편집자와 심리학자 프랜시스 골턴을 포함한 과학자 그룹의 조사를 받았다. 비숍은 탁자에서 선택된 지점을 정확히 식별하고 숨겨진 물건을 찾는 등 여러 가지 묘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실험 도중 비숍은 정답을 아는 피험자와 신체 접촉이 필요했다. 그는 도우미의 손이나 손목을 잡았다. 과학자들은 비숍이 진정한 텔레파시 능력자가 아니라 관념운동 현상을 감지하는 고도로 훈련된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15]
또 다른 유명한 사고 읽기 능력자는 마술사 스튜어트 컴버랜드였다. 그는 눈가리개를 하고 방에 숨겨진 물건을 식별하거나, 누군가에게 살인 현장을 상상하게 한 다음 피험자의 생각을 읽고 희생자를 식별하여 범죄를 재연하는 등의 묘기로 유명했다. 컴버랜드는 진정한 초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의 사고 읽기 공연은 피험자의 손을 잡고 근육의 움직임을 읽어야만 시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정한 텔레파시 사례를 찾고 있던 심령 연구 학회와 관련된 심령 연구자들과 논쟁을 벌였다. 컴버랜드는 텔레파시와 죽은 자와의 소통은 불가능하며, 사람들의 마음은 텔레파시가 아니라 근육 읽기를 통해서만 읽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16]
사례 연구
[편집]
19세기 후반 크리어리 자매들(메리, 앨리스, 모드, 캐슬린, 에밀리)은 심령 연구 학회에 의해 실험을 받았고 진정한 초능력을 가졌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나중에 한 실험에서 그들은 신호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발각되었고 사기를 인정했다.[17][18] 조지 앨버트 스미스와 더글러스 블랙번은 심령 연구 학회에 의해 진정한 초능력자라고 주장되었지만 블랙번은 사기를 인정했다.
거의 30년 동안 G. A. 스미스와 제가 수행한 텔레파시 실험은 사고 전이의 진실에 대한 기본적인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인용되어 왔다... ...이러한 모든 주장된 실험은 가짜였으며, 과학적 사고와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확립하고자 하는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를 찾을 때 얼마나 쉽게 속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두 젊은이의 정직한 바람에서 비롯되었다.[19]
1916년부터 1924년까지 길버트 머리는 텔레파시에 대한 236개의 실험을 수행했으며 36%가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그의 결과는 그가 송신자가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과민증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다.[20][21][22][23][24] 심리학자 레너드 T. 트롤랜드는 1917년에 보고된 하버드 대학교에서 텔레파시 실험을 수행했다.[25][26][27][28] 피험자들은 우연의 기대치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29]
아서 코난 도일과 윌리엄 토마스 스테드는 줄리우스와 아그네스 잔치히가 진짜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도록 속았다. 도일과 스테드는 모두 잔치히 부부가 텔레파시를 수행했다고 썼다. 1924년에 줄리우스와 아그네스 잔치히는 자신들의 멘탈리즘 행위가 속임수였음을 고백하고 런던 신문에 "우리의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자신들이 사용했던 비밀 코드와 속임수 방법의 모든 세부 사항을 공개했다.[30]
1924년,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로버트 H. 골트와 가드너 머피는 텔레파시를 위한 최초의 미국 라디오 테스트를 실시했다. 결과는 전적으로 부정적이었다. 그들의 실험 중 하나는 1부터 1000까지의 숫자 중에서 선택된 숫자를 정신적으로 전송하려는 시도였다. 2,010개의 응답 중 정확한 응답은 없었다. 이는 그러한 상황에서 두 개의 정확한 응답이라는 이론적 우연치보다 낮은 수치이다.[31]
1927년 2월, 영국방송공사 (BBC)의 협조로 당시 SPR의 연구원이었던 V. J. 울리가 라디오 청취자들이 참여하는 텔레파시 실험을 기획했다. 이 실험은 '에이전트'들이 태비스톡 광장 사무실에서 다섯 개의 선택된 물건에 대해 생각하는 동안, 라디오 청취자들은 사보이 힐에 있는 BBC 스튜디오에서 그 물건들을 식별하도록 요청받았다. 24,659개의 답변이 접수되었다. 결과는 텔레파시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밝히지 못했다.[32][33]
텔레파시의 유명한 실험은 미국 작가 업턴 싱클레어가 자신의 두 번째 아내인 메리 크레이그 싱클레어의 심령 능력을 테스트한 내용을 기록한 그의 책 멘탈 라디오에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남편이 그린 290장의 그림을 복사하려고 시도했다. 싱클레어는 메리가 그 중 65장을 성공적으로 복사했고, 155장이 "부분적 성공", 70장이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실험들은 통제된 과학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되지 않았다.[34] 과학 작가 마틴 가드너는 실험 도중 감각 누출의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첫째, 남편을 잘 아는 직감적인 아내는 남편이 무엇을 그릴지 꽤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다. 특히 그림이 둘이 공통으로 경험한 최근 사건과 관련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처음에는 의자나 탁자와 같은 간단한 그림들이 주를 이룰 수 있지만, 이런 것들이 소진되면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최근 경험에 의해 그림이 더 많이 제안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싱클레어가 일부 테스트에서 대화적인 힌트를 주었을 수도 있는데, 그는 강한 믿음으로 인해 즉시 잊어버렸을 것이다. 또한 많은 테스트에서 방 건너편에서 진행되었을 때 싱클레어 부인이 연필 끝이 흔들리거나 팔 움직임을 보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그녀의 무의식에 그림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을 전달했을 것이다.[34]

터너-온비 장거리 텔레파시 실험에는 결함이 발견되었다. 메이 프랜시스 터너는 듀크 초심리학 연구실에 위치했고, 사라 온비는 250마일 떨어진 곳에서 전송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이 실험에서 터너는 상징을 생각하고 그것을 적었고, 온비는 자신의 추측을 적었다.[35] 점수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두 기록 모두 조지프 뱅크스 라인에게 보내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온비는 그것들을 터너에게 보냈다. 비평가들은 이것이 그녀가 다른 기록과 일치하도록 자신의 기록을 단순히 작성했을 수 있다는 점에서 결과의 유효성을 무효화한다고 지적했다. 실험이 반복되고 기록이 라인에게 보내지자 점수는 평균으로 떨어졌다.[35][36][37]
또 다른 예시는 작가 해럴드 셔먼이 탐험가 휴버트 윌킨스와 함께 1937년 10월부터 5개월 반 동안 텔레파시 실험을 진행한 사례이다. 이 실험은 셔먼은 뉴욕에, 윌킨스는 북극에 있을 때 진행되었다. 실험 내용은 셔먼과 윌킨스가 매일 저녁 휴식을 취하고 그날 경험한 사건이나 생각의 정신적 이미지 또는 "사고 인상"을 시각화한 다음, 그 이미지와 생각을 일기장에 기록하는 것이었다. 실험이 끝난 후 셔먼과 윌킨스의 일기장을 비교한 결과, 60% 이상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주장되었다.[38]
실험의 전체 결과는 1942년 셔먼과 윌킨스의 책 "Thoughts Through Space"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셔먼과 윌킨스는 모두 한 사람의 마음에서 다른 사람에게 사고 인상을 보내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믿었다고 썼다.[39] 마술사 존 부스는 이 실험이 높은 실패율을 보였으므로 텔레파시의 예시가 아니라고 썼다. 부스는 "성공"은 "우연, 평균의 법칙, 잠재의식적 기대, 논리적 추론 또는 단순히 운 좋은 추측"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썼다.[40] 그들의 책에 대한 미국 정형정신과 저널의 서평은 그들의 실험에 의문을 제기하며, "연구가 수행된 지 5년 후에 출판되었다는 점은 결론의 타당성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언급했다.[41]
1948년 BBC 라디오에서 모리스 포겔은 텔레파시를 시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저널리스트 아서 헬리웰의 흥미를 끌었고, 그는 그의 방법을 알아내고 싶어 했다. 그는 포겔의 마음 읽기 행위가 모두 속임수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발견했는데, 쇼가 시작되기 전에 청중 구성원에 대한 정보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헬리웰은 신문 기사에 포겔의 방법을 폭로했다. 포겔이 일부 사람들을 속여 진짜 텔레파시를 수행할 수 있다고 믿게 했지만, 그의 청중 대부분은 그가 쇼맨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42]
일련의 실험에서 새뮤얼 소울과 그의 조수 K. M. 골드니는 128,000회 이상의 실험에 걸쳐 160명의 피험자를 조사했지만, 텔레파시의 존재에 대한 증거를 얻지 못했다.[43] 소울은 1941년부터 1943년까지 500회 이상의 세션과 2만 번 이상의 추측을 통해 바질 섀클턴과 글로리아 스튜어트를 테스트했다. 섀클턴은 우연 기대치 2308점과 비교하여 2890점을 기록했고, 글로리아는 우연 수준 7420점과 비교하여 9410점을 기록했다. 나중에 결과가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많은 실험에 참여했던 그레틀 앨버트는 세션 중에 소울이 기록을 변경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43] 베티 마윅은 소울이 주장했던 대로 숫자의 무작위 선택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마윅은 점수표가 조작되었으며 소울이 보고한 모든 실험이 신뢰를 잃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44][45]
1979년 물리학자 존 G. 테일러와 에두아르도 발라노프스키는 텔레파시의 유일한 과학적으로 가능한 설명은 EM 장을 포함하는 전자기학(EM)일 수 있다고 썼다. 일련의 실험에서 EM 수준은 계산된 것보다 훨씬 낮았고, 초자연적인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테일러와 발라노프스키는 그들의 결과가 텔레파시의 타당성에 대한 강력한 반론이라고 썼다.[46]
변칙 심리학 연구는 어떤 경우 텔레파시가 공분산 편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 실험(Schienle et al. 1996)에서 22명의 신봉자와 20명의 회의론자에게 전송된 기호와 수신자가 제공한 해당 피드백 간의 공분산을 판단하도록 요청했다. 결과에 따르면 신봉자들은 성공적인 전송 횟수를 과대평가한 반면 회의론자들은 정확한 성공 판단을 내렸다.[47] 48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텔레파시 실험(Rudski, 2002)의 결과는 사후 확증편향과 확증 편향으로 설명되었다.[48]
1995년 루퍼트 셸드레이크는 텔레파시 현상에 대한 자신의 책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일곱 가지 실험"을 출판하며, 특히 개들이 주인이 집에 오는 것을 텔레파시로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49] 1998년 리처드 와이즈먼, 매튜 스미스, 줄리 밀턴은 셸드레이크가 동물에게서 관찰한 행동에 대한 다른 설명을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자신들의 실험 결과는 셸드레이크의 주장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50]
초심리학에서의 사용
[편집]초심리학 내에서 텔레파시는 종종 예지 및 투시와 함께 초감각적 지각 (ESP) 또는 "변칙적 인지"의 한 측면으로 설명되며, 초심리학자들은 이것이 "사이"라고 부르는 가상의 정신적 메커니즘을 통해 전달된다고 믿는다.[51] 초심리학자들은 텔레파시 능력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하는 실험들을 보고했다. 가장 잘 알려진 것 중에는 제너 카드 사용과 간츠펠트 실험이 있다.
유형
[편집]몇 가지 형태의 텔레파시가 제안되었다.[6]
- 잠재 텔레파시는 이전에는 "지연 텔레파시"로 알려졌으며,[52] 송신과 수신 사이에 관찰 가능한 시간 지연이 있는 정보 전송을 설명한다.[6]
- 회고적, 예지적, 직관적 텔레파시는 한 개인의 과거, 미래 또는 현재 정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개인에게 전송하는 것을 설명한다.[6]
- 감정 텔레파시는 원격 영향[53] 또는 감정 전이로도 알려져 있으며, 변형된 상태를 통해 운동감각적 감각을 전송하는 것을 설명한다.
- 초의식 텔레파시는 지식을 얻기 위해 인간 종의 집단적 지혜에 접근하기 위한 초의식의 사용을 설명한다.[54]
제너 카드
[편집]
제너 카드에는 다섯 가지 독특한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사용할 때, 한 사람은 "송신자"로 지정되고 다른 한 사람은 "수신자"로 지정된다. 송신자는 무작위 카드를 선택하고 카드에 있는 기호를 시각화하며, 수신자는 그 기호를 텔레파시로 판단하려고 시도한다. 통계적으로 수신자는 올바른 기호를 무작위로 추측할 확률이 20%이므로, 텔레파시를 입증하려면 20%보다 현저히 높은 성공률을 반복적으로 기록해야 한다.[55]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이 방법은 감각 누출 및 카드 카운팅에 취약하다.[55]
조지프 뱅크스 라인의 제너 카드 실험은 감각 누출이나 속임수가 그의 모든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는 발견으로 인해 신뢰를 잃었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카드 뒷면의 기호를 읽을 수 있었고, 실험자의 미묘한 얼굴 표정이나 호흡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자를 보고 들을 수 있었다.[56] 라인이 그의 방법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여 예방 조치를 취하자, 그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는 피험자를 찾을 수 없었다.[57] 방법론적 문제로 인해 초심리학자들은 더 이상 카드 맞히기 연구를 사용하지 않는다.[58]
꿈 텔레파시
[편집]꿈 텔레파시에 대한 초심리학 연구는 브루클린 마이모니데스 의료 센터에서 스탠리 크리프너와 몬태규 울먼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그들은 일부 실험 결과가 꿈 텔레파시를 지지한다고 결론지었다.[59] 그러나 이 결과는 독립적으로 재현되지 않았다.[60][61][62][63] 심리학자 제임스 알콕은 마이모니데스에서 진행된 꿈 텔레파시 실험이 텔레파시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못했으며 "재현성 부족이 만연하다"고 썼다.[64]
크리프너와 울먼이 수행한 그림 대상 실험은 C. E. M. 한셀에 의해 비판받았다. 한셀에 따르면, 실험 설계에서 에이전트가 대상 그림을 알게 되는 방식에 약점이 있었다. 대상에 대한 판단이 완료될 때까지 에이전트 외에는 아무도 대상을 알아서는 안 되었지만, 대상 봉투가 열릴 때 실험자가 에이전트와 함께 있었다. 한셀은 또한 주 실험자가 피험자와 소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험 통제가 미흡했다고 썼다.[65]
그림 대상을 사용한 실험을 재현하려는 시도는 에드워드 벨베데레와 데이비드 파울크스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피험자나 심사위원 모두 꿈과 대상을 우연 수준 이상으로 일치시키지 못했다.[66] 벨베데레와 파울크스의 다른 실험 결과도 부정적이었다.[67]
간츠펠트 실험
[편집]간츠펠트 실험을 사용하여 텔레파시를 테스트할 때, 한 개인은 수신자로 지정되어 감각 입력이 차단된 통제된 환경에 배치되고, 다른 한 사람은 송신자로 지정되어 별도의 장소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수신자는 송신자로부터 정보를 받아야 한다. 정보의 성격은 실험마다 다를 수 있다.[68]
레이 하이먼과 찰스 호노턴이 조사한 간츠펠트 실험 연구에는 잘 문서화된 방법론적 문제가 있었다. 호노턴은 연구의 36%만이 조작 신호를 피하기 위해 그림의 복제 대상 세트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69] 하이먼은 42개의 간츠펠트 실험 모두에서 결함을 발견했으며, 각 실험을 평가하기 위해 12가지 유형의 결함 세트를 고안했다. 이 중 6가지는 통계적 결함에 관한 것이었고, 나머지 6가지는 부적절한 문서화, 무작위화 및 보안, 그리고 감각 누출 가능성과 같은 절차적 결함을 다루었다.[70] 연구의 절반 이상이 감각 누출에 대한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모든 연구에는 12가지 결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함 때문에 호노턴은 하이먼에게 42개의 간츠펠트 연구가 사이(psi)의 존재 주장을 뒷받침할 수 없다는 점에 동의했다.[70]
간츠펠트 실험에서 감각 누출의 가능성에는 방음 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 수신자가 옆방의 송신자 방에서 일어나는 일을 들을 수 있었고, 송신자의 지문이 수신자가 볼 수 있도록 대상 물체에 보일 수 있었던 경우가 포함되었다.[71][72]
하이먼은 또한 자동 간츠펠트 실험을 검토하고 시각적 단서가 발생했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데이터 패턴을 발견했다.
가장 의심스러운 패턴은 특정 대상의 명중률이 실험에서 그 대상의 출현 빈도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이었다. 단 한 번만 나타난 대상의 명중률은 우연 기대치인 25%에 정확히 일치했다. 두 번 나타난 대상의 경우 명중률은 28%로 상승했다. 세 번 나타난 대상의 경우 38%였고, 여섯 번 이상 나타난 대상의 경우 명중률은 52%였다. 비디오테이프가 재생될 때마다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주 사용되는 클립이 특정 세션의 대상일 때, 피험자에게 판단을 위해 제시되는 다른 세 개의 미끼 클립과 물리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놀랍게도 초심리학 공동체는 이 발견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여전히 자동 간츠펠트 시리즈를 메타분석에 포함시키고 이를 사이(psi)의 현실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로 취급한다.[70]
하이먼은 감각 누출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동 간츠펠트 실험에 결함이 있다고 썼다.[70] 2010년 랜스 스톰, 파트리치오 트레솔디, 로렌초 디 리지오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 29개의 간츠펠트 연구를 분석했다. 1,498건의 실험 중 483건이 성공하여 32.2%의 명중률을 보였다. 이 명중률은 p <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성격 특성 및 사이(psi) 유도에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개인적 특성으로 선정된 참가자는 간츠펠트 조건에서 선정되지 않은 참가자보다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73] 하이먼(2010)은 스톰 등의 주장에 반박하는 글을 발표했다. 하이먼에 따르면 "이상이 존재하고 그 증거가 일관되고 재현 가능하다는 주장을 정당화하는 유일한 근거로 메타분석에 의존하는 것은 오류이다. 이는 과학자들이 확증적 증거라고 의미하는 바를 왜곡한다." 하이먼은 간츠펠트 연구가 독립적으로 재현되지 않았고 텔레파시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썼다.[74] 스톰 등은 하이먼에게 반박하며 간츠펠트 실험 설계가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지만 초심리학은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한 고전적인 분야이므로 이 주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75] Rouder et al. 2013은 Storm et al.의 메타분석에 대한 비판적 평가 결과 텔레파시에 대한 증거, 그럴듯한 메커니즘, 그리고 생략된 재현 실패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6] 2016년 논문에서는 간츠펠트 실험의 의심스러운 연구 관행을 조사했다.[77]
쌍둥이 텔레파시
[편집]쌍둥이 텔레파시는 심리학 문헌에서 신화로 묘사되어 온 믿음이다. 심리학자 스티븐 헙과 제레미 주얼은 이 주제에 대한 모든 실험이 쌍둥이 간의 텔레파시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공하는 데 실패했다고 언급했다.[78] 헙과 주얼에 따르면, 쌍둥이 텔레파시 신화에 기여하는 다양한 행동적 및 유전적 요인들이 있다. "일란성 쌍둥이는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매우 유사한 환경에 노출된다. 따라서 그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하고 서로의 사건에 대한 반응을 예상하고 예측하는 데 능숙하다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78]
1993년 수전 블랙모어의 연구는 쌍둥이 텔레파시에 대한 주장을 조사했다. 6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한 피험자는 송신자 역할을 하고 다른 피험자는 수신자 역할을 했다. 송신자에게는 선택된 물건, 사진 또는 숫자가 주어졌고, 그는 수신자에게 정보를 정신적으로 보내려고 시도했다. 실험 결과는 부정적이었고, 텔레파시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79]
회의론자 조사관 벤저민 래드퍼드는 "수십 년간 텔레파시를 증명하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이나 특히 쌍둥이 사이에서 초능력이 존재한다는 믿을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 어머니의 자궁을 공유했던 두 사람, 심지어 같은 DNA를 공유하는 두 사람이 신비로운 정신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흥미로운 것이지만 과학적으로는 입증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80]
자폐증 텔레파시
[편집]"The Telepathy Tapes" 팟캐스트에는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사람들이 텔레파시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여러 일화가 있다.[81]
과학적 수용
[편집]텔레파시를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가 수행되었지만, 그 능력이 존재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8][82][83][84]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가 초상현상 주장을 연구하기 위해 의뢰한 패널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130년의 과학적 연구 기록에도 불구하고, 우리 위원회는 초감각적 지각, 정신 텔레파시 또는 '정신이 물질을 지배하는' 것과 같은 현상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정당성을 찾을 수 없었다... 가장 잘 사용 가능한 많은 증거를 평가한 결과 이러한 현상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85] 과학 공동체는 초심리학을 유사과학으로 간주한다.[86][87][88][89] 텔레파시에 대한 알려진 메커니즘은 없다.[90] 철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마리오 분게는 텔레파시가 과학 법칙에 모순될 것이며, "신호가 거리에 따라 희미해지지 않고 공간을 가로질러 전송될 수 있다는 주장"은 물리학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썼다.[91]
물리학자 존 G. 테일러는 초심리학자들이 텔레파시의 존재를 지지한다고 주장하는 실험들이 불안정한 통계 분석과 부실한 설계에 기반하고 있으며, 과학 공동체의 그러한 실험을 재현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고 썼다. 테일러는 또한 초심리학자들이 그러한 현상의 가능성에 대해 사용하는 주장이 이론물리학의 왜곡과 관련 물리학 분야에 대한 "완전한 무지"에 기반하고 있다고 썼다.[92]
심리학자 스튜어트 서덜랜드는 텔레파시 사례가 사람들이 우연의 확률을 과소평가하여 설명될 수 있다고 썼다. 서덜랜드에 따르면, "이 현상에 대한 대부분의 이야기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 즉 부부나 형제자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때때로 동시에 같은 생각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93] 변칙 심리학 전문가인 그레이엄 리드는 텔레파시 실험이 종종 피험자가 이완하고 '메시지'가 색깔 있는 기하학적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리드는 이러한 것들이 흔한 유형의 입면시 환각이지 텔레파시 통신에 대한 증거가 아니라고 썼다.[94]
초심리학의 영역을 벗어나면, 텔레파시는 일반적으로 사기, 자기망상 및 자기도취의 결과로 설명되며,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7][95] 심리학 연구는 또한 확증 편향, 기대 편향, 감각 누출, 주관적 검증, 그리고 희망적 관측과 같은 다른 설명을 밝혀냈다.[96] 영매술과 같은 대중적인 초능력 현상의 거의 모든 사례는 콜드 리딩과 같은 비초자연적 기술로 설명될 수 있다.[97][98] 이안 롤랜드와 데렌 브라운과 같은 마술사들은 초자연적인 능력을 주장하지 않으면서도 인기 있는 초능력자들과 유사한 기술과 결과를 시연했다. 그들은 콜드 리딩과 핫 리딩의 심리학적 기술을 식별하고, 설명하며, 개발했다.
정신의학
[편집]텔레파시의 개념은 사고 주입/사고 이탈 및 사고 방송에 대한 망상이라는 세 가지 임상 개념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유사성은 개인이 자신이 텔레파시를 경험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사고 주입/제거는 정신증, 특히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또는 물질 유도 정신증의 증상이다.[99] 이 증상을 경험하는 정신과 환자들은 자신의 생각 중 일부가 자신의 것이 아니며 다른 사람들(예: 다른 사람, 외계인, 악마 또는 타락한 천사, 또는 음모를 꾸미는 정보 기관, 또는 인공 지능)이 자신의 마음에 생각을 주입하고 있다고(사고 주입) 거짓으로 믿는다. 일부 환자들은 생각이 자신의 마음에서 제거되거나 삭제되는 것처럼 느낀다(사고 제거). 사고 방송으로 알려진 텔레파시 주장 형태를 겪는 조현병 환자들은 자신의 사적인 생각이 자신의 동의 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방송되고 있다고 믿는다. 다른 정신증 증상과 함께 사고 주입 망상은 항정신병제제 약물로 줄일 수 있다. 정신과 의사와 임상 심리학자들은 스키조타이피와 분열형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텔레파시를 특히 믿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으며 경험적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100][101][102]
픽션에서의 사용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Marks, David; Kammann, Richard. (2000). The Psychology of the Psychic. Prometheus Books. pp. 97–106. ISBN 1573927988
- ↑ Hyman, Ray. Evaluating Parapsychological Claims. In Robert J. Sternberg, Henry L. Roediger, Diane F. Halpern. (2007). Critical Thinking in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6–231. ISBN 978-0521608343
- ↑ Following the model of sympathy and empathy
- ↑ Hamilton, Trevor (2009). 《Immortal Longings: F.W.H. Myers and the Victorian search for life after death》. Imprint Academic. 121쪽. ISBN 978-1845402488.
- ↑ 가 나 Carroll, Robert Todd (2005). “The Skeptic's Dictionary; Telepathy”. Skepdic.com. 2006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초심리학 용어집 – 텔레파시 보관됨 2006-09-27 - 웨이백 머신 – 초심리학 협회. 2006년 12월 19일 검색.
- ↑ 가 나 Felix Planer. (1980). Superstition. Cassell. p. 218. ISBN 0304306916 "많은 실험이 이 주제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려 시도했다. 문자 그대로 수백만 번의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그 결과는 텔레파시와 같은 현상은 존재하지 않으며, 겉으로 보기에 성공적인 점수는 환상이나 속임수에 의존했음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 ↑ 가 나 Jan Dalkvist (1994). 《Telepathic Group Communication of Emotions as a Function of Belief in Telepathy》. Dept. of Psychology, Stockholm University. 2011년 10월 5일에 확인함.
그러나 과학 공동체 내에서는 사이(psi) 이상 현상이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일반적으로 회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과학자와 비과학자 간의 이러한 차이의 한 가지 이유는 전자가 자신의 경험과 사이 현상에 대한 일화적 보고에 의존하는 반면, 후자는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그러한 현상을 믿기 위해 잘 통제된 실험에서 재현 가능한 결과를 요구하며, 이러한 결과는 과학자들 사이의 지배적인 견해에 따르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 Willem B. Drees (1998년 11월 28일). 《Religion, Science and Natu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2–쪽. ISBN 978-0521645621. 2011년 10월 5일에 확인함.
공간적 또는 시간적 거리에 걸쳐 텔레파시에 대한 초심리학적 주장, 즉 매개하는 물리적 과정 없이 발생하는 주장이라는 예를 들어보자. 이러한 주장은 과학적 합의와 어긋난다.
- ↑ Spencer Rathus. (2011). Psychology: Concepts and Connections. Cengage Learning. p. 143. ISBN 978-1111344856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는 적절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 연구는 단 하나의 논란의 여지가 없는 텔레파시 능력자나 투시 능력자도 밝혀내지 못했다."
- ↑ Oppenheim, Janet. (1985). The Other World: Spiritualism and Psychical Research in England, 185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35–249. ISBN 978-0521265058
- ↑ 가 나 Luckhurst, Roger. (2002). The Invention of Telepathy, 1870–1901. Oxford University Press. pp. 9–51. ISBN 978-0199249626
- ↑ Dingwall, Eric. (1985). The Need for Responsibility in Parapsychology: My Sixty Years in Psychical Research. In A Skeptic's Handbook of Parapsychology. Prometheus Books. pp. 161–174. ISBN 0879753005 "사고 전이(thought-transference)와 같은 예를 들어보자. 영국 SPR이 설립되었을 때, 대중은 적어도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었으며, 초기 활동에 밀접하게 관련된 일부 사람들조차 그렇게 생각했을 것이라고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이어스는 다른 사람들처럼 그러한 의도가 없었고 그러한 환상을 품지 않았다. 그는 학회의 주요 목표가 객관적인 실험이 아니라 텔레파시를 확립하는 것이었음을 알았다. (...) 필요한 것은 마음이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나 마음과 소통할 수 있다는 증거였다. 왜냐하면 만약 관련 인물들이 육체를 가지고 있을 때 정신 공유가 사실이라면, 사망 후에도 동일한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다고 그럴듯하게 제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자연적인 것이 과학으로 증명될 수 있었고, 윌리엄 배럿 경의 말처럼 심령 연구가 종교의 하녀가 될 수 있었다."
- ↑ Roger Luckhurst. (2002). The Invention of Telepathy: 18701901. Oxford University Press. p. 63. ISBN 978-0199249626
- ↑ Richard Wiseman. (2011). Paranormality: Why We See What Isn't There. Macmillan. pp. 140–142. ISBN 978-0230752986
- ↑ Thurschwell, Pamela (2004). 〈Chapter 4: George Eliot's Prophecies: Coercive Second Sight and Everyday Though Reading〉. Nicola Bown; Carolyn Burdett; Pamela Thurschwell; Gillian Beer (편집). 《The Victorian Supernatur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108쪽. ISBN 978-0521810159.
- ↑ Ray Hyman. (1989). The Elusive Quarry: A Scientific Appraisal of Psychical Research. Prometheus Books. pp. 99–106
- ↑ Gordon Stein. (1996). The Encyclopedia of the Paranormal. Prometheus Books. p. 688
- ↑ Neher, Andrew. (2011). Paranormal and Transcendental Experience: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over Publications. p. 220. ISBN 0486261670
- ↑ Payne, Kenneth Wilcox. (1928). Is Telepathy all Bunk? 파퓰러 사이언스. p. 119
- ↑ Couttie, Bob. (1988). Forbidden Knowledge: The Paranormal Paradox. Lutterworth Press. p. 129. ISBN 978-0718826864 "1900년대 초, 1957년에 사망한 길버트 머레이는 ESP 실험을 수행했는데, 그는 한 방에 있었고 송신자는 복도에 있었으며 종종 그들 사이에 열린 문이 있었다. 이 실험들은 성공적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목표는 소리 내어 말해졌다. 그렇지 않았을 때는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이는 과민한 청각을 시사하는데, 특히 적어도 한 번은 머레이가 실험이 진행되던 거리 옆 거리에서 우유차 소음에 대해 불평했기 때문이다."
- ↑ Mauskopf, Seymour H; McVaugh, Michael Rogers. (1980). The Elusive Science: Origins of Experimental Psychical Researc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 331. ISBN 978-0801823312
- ↑ Zusne, Leonard; Jones, Warren H. (1989). Anomalistic Psychology: A Study of Magical Think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 155. ISBN 978-0805805079
- ↑ Anderson, Rodger. (2006). Psychics, Sensitives and Somnambules: A Biographical Dictionary with Bibliographies. McFarland. p. 126. ISBN 0786427701
- ↑ Christopher, Milbourne. (1971). ESP, Seers & Psychics. Crowell. p. 19. ISBN 978-0690268157
- ↑ Berger, Arthur S. (1988). Lives and Letters in American Parapsychology: A Biographical History, 1850–1897. McFarland. p. 66. ISBN 0899503454
- ↑ Luckhurst, Roger. (2002). The Invention of Telepathy: 1870–1901. Oxford University Press. p. 269. ISBN 978-0199249626
- ↑ Hannan, Caryn. (2008 edition). Connecticut Biographical Dictionary. State History Publications. p. 526. ISBN 1878592726 "1916년 하버드에 복귀한 후 그의 첫 번째 사업 중 하나는 심리학 연구실에서 텔레파시 조사를 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 ↑ Asprem, Egil. (2014). The Problem of Disenchantment: Scientific Naturalism and Esoteric Discourse, 1900–1939. Brill Academic Publishers. pp. 362–364. ISBN 978-9004251922
- ↑ John Booth. (1986). Psychic Paradoxes. Prometheus Books. p. 8
- ↑ Gault, Robert H. (August, 1924). Telepathy Put to the Test. 파퓰러 사이언스. pp. 114–115
- ↑ Mauskopf, Seymour H; McVaugh, Michael Rogers. (1980). The Elusive Science: Origins of Experimental Psychical Researc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36–38. ISBN 978-0801823312
- ↑ Edmunds, Simeon. (1965). Miracles of the Mind: An Introduction to Parapsychology. C. C. Thomas. pp. 26–28
- ↑ 가 나 Martin Gardner, Fads & Fallacies in the Name of Scienc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57) Chapter 25: ESP and PK, 온라인 이용 가능; 2010년 7월 25일 접속.
- ↑ 가 나 John Sladek. (1974). The New Apocrypha: A Guide to Strange Sciences and Occult Beliefs. Panther. pp. 172–174
- ↑ Bergen Evans. (1954). The Spoor of Spooks: And Other Nonsense. Knopf. p. 24
- ↑ C. E. M. Hansel. (1989). The Search for Psychic Power: ESP and Parapsychology Revisited. Prometheus Books. pp. 56–58. ISBN 0879755164
- ↑ Simon Nasht. (2006). The Last Explorer: Hubert Wilkins, Hero of the Great Age of Polar Exploration. Arcade Publishing. pp. 267–268
- ↑ Hubert Wilkins, Harold Sherman. (2004). Thoughts through Space: A Remarkable Adventure in the Realm of Mind. Hampton Roads Publishing. ISBN 1571743146
- ↑ John Booth. (1986). Psychic Paradoxes. Prometheus Books. p. 69
- ↑ Steiner, Lee R. (1942). Review of Thoughts Through Space. 미국 정형정신과 저널 12 (4): 745.
- ↑ Lamont, Peter. (2013). Extraordinary Beliefs: A Historical Approach to a Psychological Probl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20. ISBN 978-1107019331
- ↑ 가 나 Lawrie Reznek. (2010).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the Mass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pp. 54–55
- ↑ C. E. M. Hansel. (1980). ESP and Parapsychology: A Critical Reevaluation. Prometheus Books. p. 165
- ↑ Betty Markwick. (1985). The establishment of data manipulation in the Soal-Shackleton experiments. In Paul Kurtz. A Skeptic's Handbook of Parapsychology. Prometheus Books. pp. 287–312
- ↑ Taylor, J. G; Balanovski, E. (1979). 《Is There Any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Paranormal?》. 《Nature》 279. 631–633쪽. Bibcode:1979Natur.279..631T. doi:10.1038/279631a0. PMID 450111. S2CID 2885230.
- ↑ Schienle, A.; Vaitl, D.; Stark, R. (1996). 《Covariation bias and paranormal belief》. 《Psychological Reports》 78. 291–305쪽. doi:10.2466/pr0.1996.78.1.291. PMID 8839320. S2CID 34062201.
- ↑ Rudski, J. M. (2002). 《Hindsight and confirmation biases in an exercise in telepathy》. 《Psychological Reports》 91. 899–906쪽. doi:10.2466/pr0.2002.91.3.899. PMID 12530740. S2CID 24242574.
- ↑ Sheldrake, Rupert (1995). 《Seven experiments that could change the world: a do-it-yourself guide to revolutionary science》 1 American판. New York: Riverhead Books. ISBN 1-57322-014-0.
- ↑ Wiseman, Richard; Smith, Matthew; Milton, Julie (August 1998). 《Can animals detect when their owners are returning home? An experimental test of the 'psychic pet' phenomeno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9. 453–462쪽. doi:10.1111/j.2044-8295.1998.tb02696.x. hdl:2299/2285. PMID 9734300.
- ↑ 초심리학 용어집 – ESP 보관됨 2011-01-11 - 웨이백 머신, 초심리학 협회. 2006년 12월 19일 검색.
- ↑ Rennie, John (1845), "Test for Telepathy",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V3#1 (1847-09-25)
- ↑ Plazo, Joseph R., (2002) "Psychic Seduction." pp. 112–114 ISBN 0978592239
- ↑ St. Claire, David., (1989) "Instant ESP." pp. 40–50
- ↑ 가 나 Carroll, Robert (2006년 2월 17일). “Zener ESP Cards”. 회의론자의 사전. 2006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Jonathan C. Smith. (2009). 유사과학과 초자연적 주장의 특별한 주장: 비판적 사고자의 도구 키트. Wiley-Blackwell. ISBN 978-1405181228. "오늘날 연구자들은 라인의 제너 카드 연구의 첫 10년을 무시한다. 자극 누출이나 속임수가 그의 모든 발견을 설명할 수 있었다. 카드 뒷면의 약간의 움푹 들어간 부분은 카드 앞면에 새겨진 기호를 드러냈다. 피험자는 실험자를 보고 들을 수 있었고, 미묘하지만 드러나는 얼굴 표정이나 호흡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었다."
- ↑ Milbourne Christopher. (1970). ESP, Seers & Psychics. Thomas Y. Crowell Company. p. 28
- ↑ James Alcock. (2011). 미래에서 돌아오다: 초심리학과 벰 사건. 스켑티컬 인콰이어러. "라인의 자신감에도 불구하고 그는 초감각적 지각의 현실을 확립하지 못했다. 그의 실험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들이 결국 드러났고, 그 결과 초심리학자들은 더 이상 카드 맞히기 연구를 수행하지 않으며 라인의 연구를 거의 언급하지도 않는다."
- ↑ Ullman, Montague (2003). 〈Dream telepathy: experimental and clinical findings〉. Totton, Nick (편집). 《Psychoanalysis and the paranormal: lands of darkness》. Reference, Information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s Series. Karnac Books. 14–46쪽. ISBN 978-1855759855.
- ↑ Parker, Adrian. (1975). States of Mind: ESP and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aplinger. p. 90. ISBN 0800873742
- ↑ Clemmer, E. J. (1986). 《Not so anomalous observations question ESP in dreams》. 《American Psychologist》 41. 1173–1174쪽. doi:10.1037/0003-066x.41.10.1173.b.
- ↑ Hyman, Ray. (1986). "Maimonides dream-telepathy experiments". Skeptical Inquirer 11: 91–92.
- ↑ Neher, Andrew. (2011). Paranormal and Transcendental Experience: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over Publications. p. 145. ISBN 0486261670
- ↑ James, Alcock (2003). 《Give the Null Hypothesis a Chance: Reasons to Remain Doubtful about the Existence of Psi》.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10. 29–50쪽.
- ↑ Hansel, C. E. M. The Search for a Demonstration of ESP. In Kurtz, Paul. (1985). A Skeptic's Handbook of Parapsychology. Prometheus Books. pp. 97–127. ISBN 0879753005
- ↑ Belvedere, E.; Foulkes, D. (1971). 《Telepathy and Dreams: A Failure to Replicat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33. 783–789쪽. doi:10.2466/pms.1971.33.3.783. PMID 4331356. S2CID 974894.
- ↑ Hansel, C. E. M. (1989). The Search for Psychic Power: ESP and Parapsychology Revisited. Prometheus Books. pp. 141–152. ISBN 0879755164
- ↑ The Conscious Universe: The Scientific Truth of Psychic Phenomena by Dean I. Radin Harper Edge, ISBN 0062515020
- ↑ Julie Milton, Richard Wiseman. (2002). A Response to Storm and Ertel (2002). The Journal of Parapsychology. Volume 66: 183–186.
- ↑ 가 나 다 라 Ray Hyman. Evaluating Parapsychological Claims in Robert J. Sternberg, Henry L. Roediger, Diane F. Halpern. (2007). Critical Thinking in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6–231. ISBN 978-0521608343
- ↑ Richard Wiseman, Matthew Smith, Diana Kornbrot. (1996). Assessing possible sender-to-experimenter acoustic leakage in the PRL autoganzfeld. Journal of Parapsychology. Volume 60: 97–128.
- ↑ Robert Todd Carroll. (2014). "간츠펠트" in 회의론자의 사전.
- ↑ Storm, Lance; Tressoldi, Patrizio E.; Di Risio, Lorenzo (July 2010). 《Meta-Analysis of Free-Response Studies, 1992–2008: Assessing the Noise Reduction Model in Parapsychology》 (PDF). 《Psychological Bulletin》 136. 471–85쪽. doi:10.1037/a0019457. PMID 20565164. 2011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Hyman, R. (2010). 드러내는 것보다 더 많이 숨기는 메타분석: Storm et al.에 대한 논평 보관됨 2013-11-03 - 웨이백 머신. (2010). Psychological Bulletin, 136. pp. 486–490.
- ↑ Storm, L.; Tressoldi, P. E.; Di Risio, L. (2010). 《숨길 것 없는 메타분석: Hyman (2010)에 대한 답변》. 《Psychological Bulletin》 136. 491–494쪽. doi:10.1037/a0019840. PMID 20565166. S2CID 21103309.
- ↑ Rouder, J. N.; Morey, R. D.; Province, J. M. (2013). 《최근 초감각적 지각 실험에 대한 베이즈 요인 메타분석: Storm, Tressoldi, and Di Risio (2010)에 대한 논평》. 《Psychological Bulletin》 139. 241–247쪽. doi:10.1037/a0029008. PMID 23294092.
- ↑ Bierman, DJ; Spottiswoode, JP; Bijl, A (2016), “Testing for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 in a Meta-Analysis: An Example from Experimental Parapsychology”, 《PLOS ONE》 11 (5): 1, Bibcode:2016PLoSO..1153049B, doi:10.1371/journal.pone.0153049, PMC 4856278, PMID 27144889,
우리는 실험 초심리학 분야의 간츠펠트-텔레파시 실험 메타분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의심스러운 연구 관행]을 고려한다. 간츠펠트 데이터베이스는 이 연구에 특히 적합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조사하는 초심리학적 현상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 ↑ 가 나 Hupp, Stephen; Jewell, Jeremy. (2015). Great Myths of Child Development. Wiley. pp. 10–16. ISBN 978-1118521229
- ↑ Wiseman, Richard. (2011). Paranormality: Why We See What Isn't There. Macmillan. p. 54. ISBN 978-0230752986
- ↑ "쌍둥이 텔레파시의 수수께끼". 2014-06-06 검색.
- ↑ Dickens, Ky. “The Telepathy Tapes”.
- ↑ Simon Hoggart, Mike Hutchinson. (1995). Bizarre Beliefs. Richard Cohen Books. p. 145. ISBN 978-1573921565 "문제는 프사이(psi) 연구의 역사가 실패한 실험, 모호한 실험, 그리고 큰 성공으로 주장되지만 기존 과학자들에게는 빠르게 거부되는 실험들로 가득하다는 것이다. 또한 몇몇 놀라운 사기도 있었다."
- ↑ Robert Cogan. (1998). Critical Thinking: Step by Step. University Press of America. p. 227. ISBN 978-0761810674 "실험이 반복되어도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이는 결과가 실제 인과 과정이 아니라 실험 절차상의 오류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ESP 실험은 반복 가능한 초자연적 현상을 전혀 밝혀내지 못했다."
- ↑ Terence Hines. (2003). Pseudoscience and the Paranormal. Prometheus Books. p. 144. ISBN 978-1573929790 "100년의 초심리학적 조사에서 어떤 사이(psi) 현상의 현실도 단 한 번도 적절하게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 Thomas Gilovich. (1993). How We Know What Isn't So: A Fallibility of Human Reason in Everyday Life. Free Press. p. 160
- ↑ Daisie Radner, Michael Radner. (1982). Science and Unreason. Wadsworth. pp. 38–66. ISBN 0534011535
- ↑ Bunge, Mario (1987). 《Why Parapsychology Cannot Become a Scienc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0. 576–577쪽. doi:10.1017/s0140525x00054595.
- ↑ Michael W. Friedlander. (1998). At the Fringes of Science. Westview Press. p. 119. ISBN 0813322006 "초심리학은 개선된 방법과 주장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과학적 수용을 얻지 못했으며, 과학 공동체 사이에서는 여전히 불균형한 양면성을 가지고 다루어진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것을 자신의 시간 가치가 없는 유사과학으로 치부한다."
- ↑ Massimo Pigliucci, Maarten Boudry. (2013). Philosophy of Pseudoscience: Reconsidering the Demarcation Proble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58. ISBN 978-0226051963 "많은 관찰자들은 이 분야를 '유사과학'이라고 부른다. 주류 과학자들이 초심리학 분야가 과학적이지 않다고 말할 때, 그들은 이러한 주장된 효과에 대한 만족스러운 자연주의적 인과 관계 설명이 아직 제안되지 않았으며, 이 분야의 실험은 일관되게 재현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 Charles M. Wynn, Arthur W. Wiggins. (2001). Quantum Leaps in the Wrong Direction: Where Real Science Ends...and Pseudoscience Begins. Joseph Henry Press. p. 165. ISBN 978-0309073097 "과학자들이 사이(psi) 효과가 실제라고 믿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발생할 수 있는 알려진 메커니즘이 없다는 것이다. PK 작용-거리-에서-작용은 아마도 과학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거리-에서-작용 힘을 사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 사람의 생각에서 다른 사람에게 생각이 전달되거나 현재, 미래 또는 과거에 마음이 다른 곳으로 투사될 수 있는 알려진 감각(자극 및 수용체)은 없다."
- ↑ Mario Bunge. (1983). Treatise on Basic Philosophy: Volume 6: Epistemology & Methodology II: Understanding the World. Springer. pp. 225–226. ISBN 978-9027716347
- "예지는 효과가 원인보다 먼저 발생하지 않는다는 선행 원리("인과성")를 위반한다. 염력은 에너지 보존 원리와 마음이 물질에 직접 작용할 수 없다는 가정을 위반한다. (만약 작용한다면 어떤 실험자도 자신의 기기 판독값을 신뢰할 수 없을 것이다.) 텔레파시와 예지는 사실적 지식 습득이 어떤 시점에서 감각 지각을 필요로 한다는 인식론적 원리와 양립할 수 없다."
- "초심리학은 물리학 및 생리 심리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 얻은 지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그 가설은 사실 과학의 일부 기본 가정과 일치하지 않는다. 특히, 육체를 벗어난 정신적 실체라는 개념 자체는 생리 심리학과 양립할 수 없으며, 신호가 거리에 따라 희미해지지 않고 공간을 가로질러 전송될 수 있다는 주장은 물리학과 일치하지 않는다."
- ↑ John Taylor. (1980). Science and the Supernatural: An Investigation of Paranormal Phenomena Including Psychic Healing, Clairvoyance, Telepathy, and Precognition by a Distinguished Physicist and Mathematician. Temple Smith. p. 84. ISBN 0851171915.
- ↑ Sutherland, Stuart. (1994). Irrationality: The Enemy Within. p. 314. Penguin Books. ISBN 0140167269
- ↑ Graham Reed. (1988). The Psychology of Anomalous Experience. Prometheus Books. pp. 38–42. ISBN 0879754354
- ↑ ESP에 대한 Skepdic.com. 2007년 2월 22일 검색.
- ↑ Leonard Zusne, Warren H. Jones. (1989). Anomalistic Psychology: A Study of Magical Thinking. Psychology Press. ISBN 978-0805805086
- ↑ Ian Rowland. (1998). The Full Facts Book of Cold Reading. Ian Rowland Limited: 4th Revised edition. ISBN 978-0955847608
- ↑ 데렌 브라운. (2007). Tricks of the Mind. Channel 4: New edition. ISBN 978-1905026357
- ↑ Richard Noll. (2007). The Encyclopedia of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Facts on File. p. 359. ISBN 978-0816064052
- ↑ Graham Pickup. (2006). Cognitive Neuropsychiatry. Volume 11, Number 2, Number 2/March 2006. pp. 117–192
- ↑ Andrew Gumley, Matthias Schwannauer. (2006). Staying Well After Psychosis: A Cognitive Interpersonal Approach to Recovery and Relapse Prevention. Wiley. p. 187. ISBN 978-0470021859 "스키조타이피는 환각적 경험(예: 자신의 생각을 듣는 것)과 망상적 경험(예: 텔레파시에 대한 믿음)의 약화된 형태를 경험하는 지속적인 경향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상적인 성격 구성 개념을 의미한다."
- ↑ Mary Townsend. (2013). Essential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Concepts of Care in Evidence-Based Practice. F. A. Davis Company. p. 613. ISBN 978-0803638761 "분열형 인격장애를 가진 개인은 냉담하고 고립되어 있으며 무미건조하고 무관심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주술적 사고, 관계 망상, 환상, 이인증은 그들의 일상 세계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미신, 투시, 텔레파시 또는 "육감"에 대한 믿음,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내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믿음 등이 있다."
- ↑ Langford, David; Nicholls, Peter; Stableford, Brian (2021). 〈Telepathy〉 4판. Clute, John; Langford, David; Sleight, Graham (편집).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2024년 3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