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다이지야마 고분

토다이지야마 고분
소재지나라현덴리시 이치모토정
위치북위 34° 37′ 17.0″ 동경 135° 50′ 15.0″ / 북위 34.621389° 동경 135.837500°  / 34.621389; 135.837500
형태전방후원분
규모추정 140미터
매장 시설점토곽
출토품중평년 명문이 새겨진 철도 20점, 철검 9점, 구슬류, 팔찌 모양의 석제품, 활석제 항아리
축조 시기4세기 후반
사적지정 없음
유형 문화재국보 · 2017년(헤이세이 29년) 9월 15일 출토품 일괄
지도
토다이지야마 고분은(는) 나라현 안에 위치해 있다
토다이지야마 고분
토다이지야마
고분
나라현 내의 위치
Map

토다이지야마 고분(일본어: 東大寺山古墳)은 나라현 덴리시 이치모토정에 있는 고분이다. 형태는 전방후원분이다. 출토품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고분 시대 전기 중엽에 해당하는 4세기 후반 무렵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부장품 가운데에는 24자를 금상감으로 새기고 서기 184년에서 188년에 해당하는 「중평」 연간의 기년명을 가진 철검이 있다.

개요

[편집]

덴리시의 와니(和邇)에서 이치모토(櫟本)에 걸친 지역은 와니 씨족의 거점이었으며, 관련 일족이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분이 평야부와 약 70미터의 고저차를 가진 구릉 위에 분포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본 고분이다.

이 구릉에는 나라현에서 최대 규모의 야요이 후기 고지성 취락 유적이 있다. 동서 약 400미터, 남북 300미터의 범위 안에 수혈 건물이 존재하며, 이중의 해자가 둘러싸고 있고 그 구조는 오사카부 이즈미시의 관음사산 유적(観音寺山遺跡)과 공통점을 가진다. 본 고분은 이 고지성 취락(高地性集落)과 중첩되듯이 존재하며, 해당 유적의 역할이 끝난 뒤 약 150~200년가량 지난 시점에 축조되었다.

규모·형태·매장 시설

[편집]

규모와 형태는 추정 약 140미터의 전방후원분으로, 분구에는 원통형 하니와가 둘러져 있다. 축조 시기는 4세기 후반 무렵이다. 후원부의 매장 시설의 주체부에는 분구 주축과 평행한 목관을 덮은 점토곽이 있으며, 길이 추정 9.4미터에 이르는 대규모 구조로, 주요 부분은 도굴을 당한 상태이다.

부장품

[편집]

점토곽의 동서로 묘광이 파여 있었으며, 무기와 무구가 풍부히 부장되어 있었다. 그 동쪽 묘광(점토곽)에서는 후한의 연호인 「중평」를 가진 칼이 출토되었다. 철도 20자루, 철검 9자루 등의 무기류 외에도 구슬류, 팔찌형 석제품, 활석으로 만든 항아리 등이 출토되었다.

「중평」 명문 철도를 포함한 5자루의 장식 환두가 달린 철도의 환두에는 다양한 문양이 표현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낙랑의 석암리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같이 환 안에 삼엽형을 넣은 삼엽환이다. 삼엽환 철도는 후쿠오카시의 와카하치만구 고분(若八幡宮古墳)에서도 출토된 바 있다.

철도중에는 집모양 환두를 붙인 칼도 있는데, 나라현 가와이정사미타 다카라즈카 고분에서 출토된 가옥문경의 거울 뒷면에 표현된 가옥과 형태가 유사하다.

중평 명문 기년도

[편집]
금상감 명문 화형 장식 환두 대도
끝부분(이미지 하단)에 「중평」 명문(역방향). 도쿄국립박물관 전시.

칼날의 등 부분에 24자를 금상감으로 새긴 길이 110센티미터의 철도 1구가 출토되었다. 철도의 칼날에 새겨진 명문은 「길상구」를 사용하고 있다.

「中平□□(年)五月丙午造作文(支)刀百練清剛上応星宿□□□□(下避不祥)」
「중평□□ (연도) 오월병오조작문 (간지) 도백련청강상응성숙□□□□ (하피불상)」
「중평□□(년) 5월 병오에 이 칼을 제작하고 명문을 새겼다. 백 번 단련한 맑고 강한 칼은 하늘에서는 별자리와 호응하고, 땅에서는 불길함을 피한다」

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중평은 후한 영제의 연호로 184년부터 189년까지를 가리킨다. 이는 「왜국 난」(『위지』 왜인전)·「왜국 대란」(『송서』)이 종결된 시기, 곧 2세기 말에 해당한다. 중평 명문 기년도는 「왜국 난」 종결 이후 후한 왕조로부터 하사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 철도가 언제 어디서 입수되어 본 고분에 부장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지역 사람들이 중국 후한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철도에 붙어 있던 환두는 새 문양 장식이었으며, 칼날은 안쪽으로 휘어 있어 일본 전기 고분 특유의 직도와는 달랐다. 「중평」 연호가 가리키듯 중국(후한)제 칼날이며, 중국에서 제작된 칼날에 일본에서 개조를 가해 일본식 환두를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1].

화형 장식 환두 대도

[편집]

관 외부 동쪽 측의 피복 점토 속에서 출토된 칼·창 무리 가운데 하나로, 환두 장식 부분과 철도 본체 부분은 따로 제작된 것이다. 환두 부분은 청동 주조품으로, 환두의 바깥쪽에 다양한 장식을 더했으며, 그 디자인은 직호문을 새긴 고리 안에 삼엽문을 배치하고 상단에 꽃 모양 장식을 붙인 것이다. 그 옆에는 각형 돌출부 한 쌍과 새 모양 장식 한 쌍을 덧붙였다. 이러한 장식 환두 대도가 세 점 출토되었으며, 그 가운데 한 점이 「중평」 명문 철도이다.[2]

각주

[편집]
  1. e-국보 「동대지산 고분 출토품」
  2. 독립행정법인 문화재연구소·나라문화재연구소 (2005) 152쪽

참고문헌

[편집]
  • 独立行政法人文化財研究所・奈良文化財研究所監修『日本の考古学 -ドイツで開催された「曙光の時代」展』小学館 2005年 ISBN 4-09-681821-6

외부 링크

[편집]

特別展チラシ(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