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도 문자
보이기
토도 문자 | |
![]() | |
유형 | 음소문자 |
---|---|
표기 언어 | 오이라트어 |
사용 시기 | 1648년 ~ 현재 |
계통 | 원시 가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토도 문자
|
토도 문자(오이라트어: ᡐᡆᡑᡆ
ᡋᡅᡒᡅᡎ / Тодо бичиг, 몽골어: Тод бичиг / ᠲᠣᠳᠣ
ᠪᠢᠴᠢᠭ)는 1648년 오이라트의 라마승 자야 판디타가 오이라트 몽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창제한 음소문자이다.[1][2][3] 몽골 문자를 본떴으며, 구어의 소리는 물론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어를 전사(轉寫)하기 쉽게 하는 데도 목적이 있었다. '토도 비칙'(todo bičig)이라는 문자의 이름은 오이라트 몽골어로 '명료한 문자'를 의미한다.
사용
[편집]1648년경 발명된 이후 18세기까지 오이라트족과 주변의 몽골계 민족들이 사용하였다. 이 문자의 사용은 주로 불교 경전의 번역 등 종교적 목적이었으나, 발견된 당대 서한에서 알 수 있듯이 비공식적인 목적으로도 쓰였다.[2]
토도 문자는 오이라트족에서 유래한 러시아의 칼미크족도 사용하다가 1924년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여전히 오이라트어 표기에 사용되지만, 오늘날 몽골어 교육은 중국 전역에서 차하르 몽골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Yakhantova, N. (2006). “The Mongolian and Oirat Translations of the Sutra of Golden Light” (PDF).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Kara, György (2005). 《Books of the Mongolian Nomads: More Than Eight Centuries of Writing Mongolian》 (영어). Indian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ISBN 978-0-933070-52-3.
- ↑ Daniels, Peter T.; Bright, William (1996). 《The World's Writing System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79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