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계승 (수학)
새 주제보이기
마지막 의견: 8개월 전 (慈居님) - 주제: 계승 (수학)?
![]() |
이 문서는 수학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수학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 |
이 문서는 프로젝트의 고유한 선정 기준에 따라 C등급 문서에 선정되었습니다. | |
보통 | 이 문서는 프로젝트 내에서 약간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계승에서 팩토리얼로의 이동
[편집]토론:쪽매맞춤을 참고하시면 팩토리얼로의 이동에 찬성하시는 분들이 몇 보였습니다. 필요한 토론이라고 생각되어 의견 요청답니다. 저는 대한수학회가 지정한 명칭에 따라 이동에 반대의 입장입니다. -- ginaan(˵⚈ε⚈˵)★ 2022년 5월 1일 (일) 01:20 (KST)
- 저도 이동에 반대합니다. '계승'이 유일하게 학회 용어집에 수록된 명칭이며, '팩토리얼'보다 순화된 용어입니다. 또 팩토리얼 못지 않게 널리 사용됩니다. 그리고 'factorial'이 (계승의 의미로 사용되어) 들어가는, 한국어 용례가 없는 용어들은 어차피 학회 용어집에서의 번역을 참고해야 합니다. 慈居 (토론) 2022년 5월 1일 (일) 01:30 (KST)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에 따라
반대합니다. --cwlo2F (토론) 2022년 5월 1일 (일) 02:16 (KST)
반대합니다. 다른 분들 의견 보면 이해가 가네요. Trusovafan(토론, 기여, 기록)🖤❤핑 2022년 5월 1일 (일) 10:34 (KST)
- +)[1] 참고하시면 2020.09에 최종 수정된 교육과정에 따르면 '계승'을 사용합니다. -- ginaan(˵⚈ε⚈˵)★ 2022년 5월 1일 (일) 11:36 (KST)
- @Uconhe: 이동에 찬성하시는 분의 입장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Trusovafan(토론, 기여, 기록)🖤❤핑 2022년 5월 1일 (일) 11:39 (KST)
- 이동 요청에서 찬성 의견이었지만, 대한수학회가 계승이라 표기하면 계승이 맞겠죠 뭐.. 양념파닭 (토론) 2022년 5월 1일 (일) 15:18 (KST)
반대 공신력 있는 학회에서 '계승'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앞선 분이 언급하신 교육과정에서도 학회의 입장을 준용하고 있거니와 일반 언중들의 언어에서도 크게 동떨어진 표현이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동에 반대합니다. --Dingyday (토론) 2022년 5월 1일 (일) 17:38 (KST)
토른을 연 지 얼마 지나지 않았으나, 아직까지 찬성 의견이 없고, 반대의견이 여럿 있는 것을 보아 토론을 빠르게 종료해도 되겠다고 판단합니다. 의견 요청 틀 떼고 토론 종료하겠습니다. 조금이나마 의견 남겨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ginaan(˵⚈ε⚈˵)★ 2022년 5월 2일 (월) 20:11 (KST)
계승 (수학)?
[편집]@RhapsoDJ 수학 용어로서의 사용이 '지위를 물려받음'의 의미로의 사용에 비해 압도적이라고 할 수 없지만, 이는 사전적인 의미입니다. 백과사전적 개념들은 다른 이름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왕위 계승, 상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제목 복원을 제안합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7일 (일) 11:15 (KST)
반대 이전에 발제하려다가 지우긴 했습니다만, 한국어권 포털 사이트나 구글 검색에서 ‘계승’을 검색할 경우 수학의 계승(階乘)보다는 지위를 물려받는 계승(繼承)이 더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계승 하면 지위를 물려받는 것을 쉽게 떠올릴 여지가 크죠. 다시 말해서 ‘계승’이라는 단어 자체가 수학에서의 의미로 월등히 많이 쓰이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7일 (일) 11:21 (KST)
- 제가 구글 해 본 결과는 두 사용이 비슷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지위를 물려받는" 계승은 사전적인 뜻풀이이며, 백과사전적 개념으로 국한하면 수학 용어로서의 계승이 월등합니다 [2].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3].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7일 (일) 15:39 (KST)
- 발제하신 제안을 그대로 두셨으면 어땠을까요. 저는 반대 의견 드렸을 겁니다. 논의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 아니므로 제목 복원을 요청합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7일 (일) 15:40 (KST)
- 혹시 뉴스 검색 같은 곳도 보셨나요? 그쪽은 더 심해서 계승 하면 십중팔구 물려받기를 의미할테구요. 따라서 해당 제안은 한국어권의 현실과 맞지 않습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02:56 (KST)
- 물려받기에 대한 위키백과 항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말슴드렸지만 이는 물려받기가 단순히 사전적 의미이기 때문이며, 이는 논외의 대상입니다. 따라서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03:42 (KST)
- 혹시 뉴스 검색 같은 곳도 보셨나요? 그쪽은 더 심해서 계승 하면 십중팔구 물려받기를 의미할테구요. 따라서 해당 제안은 한국어권의 현실과 맞지 않습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02:56 (KST)
일단은 의견 요청을 올렸습니다. ‘계승’의 대표 표제어로서 지위를 물려받는 ‘繼承’이 우선인지, 아니면 수학 용어 ‘階乘’인지는 다른 분들의 의견을 더 들어봐야겠습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11:00 (KST)
- 의견 요청과 별개로, 우선 제목을 복원을 요청하겠습니다. 논의를 거치지 않은 이동이었고 제 의견에 추가로 답변하지 않으셨습니다. 계승에 대한 링크도 수정되지 않았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12:19 (KST)
- 애초에 거기에 토론이 꼭 필요한 것이었나요? 링크야 수정하면 될테구요. 일단 동음이의 문서는 계승 (동음이의)로 옮겼습니다. 문서 역사 때문에 이동이 안 되니 이동은 백:이요에 해주세요.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12:41 (KST)
- 토론을 하셨어야 했다는 뜻은 아니었습니다. 과감하게 결정하실 수 있는 만큼 다른 편집자들이 이를 복원할 수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위키백과에서의 토론은 오래 걸리고, 동음이의를 향한 링크는 아직 수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저로서는 우선 복원을 요청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13:38 (KST)
- 애초에 거기에 토론이 꼭 필요한 것이었나요? 링크야 수정하면 될테구요. 일단 동음이의 문서는 계승 (동음이의)로 옮겼습니다. 문서 역사 때문에 이동이 안 되니 이동은 백:이요에 해주세요. --RhapsoDJ (토론) 2024년 10월 28일 (월) 12:41 (KST)
- 우선 원래대로 되돌렸습니다.
ginaan (˵⚈ε⚈˵)★ 2024년 10월 29일 (화) 15:17 (KST) - 적어도 저에겐 물려받는다는 뜻의 계승이 더 익숙하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4년 10월 29일 (화) 21:00 (KST)
- 그 물려받는다는 뜻이 단순히 사전적 의미라는 점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에서 다뤄야 할 주제가 아니며, 실제로 특수:가리키는문서/계승에 잘못 향하는 링크도 없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30일 (수) 05:21 (KST)
- 적어도 이 문서가 대표 표제어가 되기엔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대표 표제어 문서는 동음이의 문서가 되어야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4년 10월 30일 (수) 20:56 (KST)
- 그 물려받는다는 뜻이 단순히 사전적 의미라는 점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에서 다뤄야 할 주제가 아니며, 실제로 특수:가리키는문서/계승에 잘못 향하는 링크도 없습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30일 (수) 05:21 (KST)
- 이런 경우 '계승' 문서를 동음이의로 만들고 그 아래 계승 (수학), 계승 (백제), 상속, 왕위계승 등등을 링크하는게 일반적인 것 같네요.en:succession 문서처럼.. 백과사전적 문서가 아니라는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는 알겠으나 사실 팩토리얼로 교육을 받아 그런지 '계승 (수학)'이 무슨 의미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물려받는다는 뜻의 계승이 더 익숙해요. '계승 (수학)'의 표제는 팩토리얼이 되는게 더 적절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 사도바울 (💬✍ℹ️) 2024년 10월 30일 (수) 09:01 (KST)
- 계승 (백제) 문서가 존재하는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제 의견은 어디까지나 다른 문서가 '계승'을 제목으로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드린 의견입니다. 이 경우에는 이를 제목으로 하는 유일한 문서를 주 문서로 삼는 것도 널리 확립된 관행입니다 (예: 공역-공역 (동음이의)). 다만 계승 (백제)는 계백으로 넘겨주기되고 계백 문서에는 계승에 대한 내용이 없는데, 저는 백제 역사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의미 있는 넘겨주기인지 모르겠습니다. 문제가 없는 넘겨주기라면 동음이의어 문서를 주 문서로 하는 데 이의가 없습니다.
- 계승을 팩토리얼로 할지에 대해서는 전에 논의된 적 있습니다 (#계승에서 팩토리얼로의 이동). 예전 논의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慈居 (토론) 2024년 10월 30일 (수) 09:54 (KST)
찬성 사도바울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이런 경우 '계승' 문서를 동음이의로 만들고 그 아래 계승 (수학), 계승 (백제), 상속, 왕위계승 등등을 링크하는게 일반적인 것 같네요) Podofollapo (토론) 2024년 11월 5일 (화) 20:46 (KST)
- 토론 결과대로 이동을 요청했습니다 [4]. 慈居 (토론) 2024년 11월 5일 (화) 21:0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