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태즈먼
보이기

트랜스태즈먼(영어: Trans-Tasman)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관계를 지칭할 때 쓰이는 "형용사"로, 이 용어의 어원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사이의 바다인 태즈먼해에서 비롯되었다. 이 용어가 쓰이는 대표적인 예시로, 트랜스태즈먼 여행 합의, 트랜스태즈먼 트로피 그리고 트랜스태즈먼 관계[1][2][3][4] 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특별한 관계는 이들의 식민지 역사부터[5] 양국의 전쟁 공동 참전, ANZUS과 긴밀경제관계 체결, 그리고 같은 영연방 왕국의 일원이라는 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제1차 세계 대전의 갈리폴리 전역에서 수많은 군인들이 전사한 이후 영국의 식민지가 아닌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로서의 정체성을 찾아나섰고,[6][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영국이 더 이상 자국을 보호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영국 대신 미국을 주요 동맹국으로 선택했다는 점도 비슷하다.[8]
트랜스태즈먼은 이 외에도 항공 노선[9], 경제 용어[10] 등에서도 자주 쓰인다. 트랜스태즈먼과 비슷한 용어로는 ANZAC이 있다.
각주
[편집]- ↑ Findlay, Christopher (1996). “The Trans-Tasman Single Aviation Market”.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30 (3): 329–334. JSTOR 20053710.
- ↑ Köllner, Patrick (2020), 《Australia and New Zealand Face Up to China in the South Pacific》, JSTOR resrep27057
- ↑ Lynch, Brian (2009). “THE TRANS-TASMAN WORLD: towards a closer understanding”. 《New Zealand International Review》 34 (2): 25–27. JSTOR 45235895.
- ↑ Markey, Ray; Taylor, Kerry (2008). “Trans-Tasman Labour History: Introduction”. 《Labour History》 (95): 1–2. doi:10.2307/27516306. JSTOR 27516306.
- ↑ Moon 2010, 66쪽.
- ↑ Mercer, Phil (2002년 4월 25일). “Australians march in honour of Gallipoli”. 《BBC News》.
- ↑ Clarke, Dr Stephen. “History of ANZAC Day”. Royal New Zealand Returned and Services' Association. 2007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owen, George (2001) [1997, 1999, 2000]. 〈4〉. 《Defending New Zealand》. Auckland, New Zealand: Addison Wesley Longman. 12쪽. ISBN 0-582-73940-3.
- ↑ New Zealand Companies Office, 《Certificate of Incorporation: Air New Zealand Limited》 (PDF)
- ↑ “Marine industry wants trans-Tasman sea bubble for superyachts before more businesses fail”. 《Newshub》 (영어). 2024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