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노래 정보
| 〈노래 정보〉 | |
|---|---|
| 의 노래 |
| 이 틀은 6,000개 이상의 문서에서 사용 중인 틀입니다. 이 틀을 수정하면 많은 문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여할 모든 내용은 /연습장이나 /시험장 또는 자신의 사용자 하위 문서에서 사전 점검을 거쳐야 합니다. 이 틀을 수정하기 전에, 먼저 토론 문서에 의견을 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싱글명〉 | ||||
|---|---|---|---|---|
싱글 사진 | ||||
| 음악가의 싱글 | ||||
| 음반 《음반명》의 수록곡 | ||||
| B면 | 〈다른 면〉 |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 장르 | 알앤비 | |||
| 길이 | 3:01 | |||
| 레이블 | 컬럼비아 | |||
| 송라이터 | 송라이터 |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 음악가 싱글 연표 | ||||
| ||||
| 〈노래명〉 | |
|---|---|
노래 사진 | |
| 음악가의 노래 | |
| 음반 《음반명》의 수록곡 |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녹음일 | 2024년 1월 1–10일 |
| 장소 | 장소 |
| 장르 | 알앤비 |
| 길이 | 3:01 |
| 레이블 | 컬럼비아 |
| 작사가 | 작사가 |
| 작곡가 | 작곡가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위키백과에서 노래에 대한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개요나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상자가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노래 정보는 상업적으로 발매된 녹음 음악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정보상자는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지나치게 자세하거나 문서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장르나 작곡가 등의 정보는 문서에서 논의되었거나 출처가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서 확인된 내용만 포함해야 합니다.
아래 제공된 코드를 복사한 후, 특정 노래 문서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 문단에서 각 필드의 사용법을 안내합니다.
코드
[편집]| 〈{{{곡명}}}〉 | |
|---|---|
| [[File:{{{사진}}}|{{{사진크기}}}|alt={{{대체}}}|upright={{{cover_upright}}}|{{{대체}}}]] {{{설명}}} | |
| {{{음악가}}}의 {{{종류}}} | |
| 음반 《{{{음반}}}》의 수록곡 | |
| 언어 | {{{언어}}} |
| A면 | 〈{{{A면}}}〉 |
| B면 | 〈{{{B면}}}〉 |
| 작성일 | {{{작성일}}} |
| 출판일 | {{{출판일}}} |
| 발매일 | {{{발매일}}} |
| 녹음일 | {{{녹음일}}} |
| 녹음실 | {{{녹음실}}} |
| 장소 | {{{장소}}} |
| 장르 | {{{장르}}} |
| 길이 | {{{길이}}} |
| 레이블 | {{{레이블}}} |
| 송라이터 | {{{송라이터}}} |
| 작사가 | {{{작사가}}} |
| 작곡가 | {{{작곡가}}}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연표}}} | |
| {{{트랙}}} | |
| {{{기타}}} | |
아래 첫 번째 템플릿 코드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포박스 매개변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필드를 지원할 정보가 문서에 없는 경우 빈칸으로 두세요. {{시작 날짜}} 및 {{duration}} 하위 템플릿을 사용하려면 <!-- 및 -->를 제거합니다.
두 번째는 전체 매개변수 세트를 포함합니다. 대부분의 문서에는 많은 변수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백으로 두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나열된 변수 이외의 변수(예: |편곡가= 또는 |레코딩 엔지니어=)를 추가하면 표시되지 않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래 정보
| 곡명 =
| 사진 =
| 대체 =
| 설명 =
| 종류 = <!-- 틀:음반 정보/색 참고. -->
| 음악가 =
| 음반 =
| EP =
| 언어 =
| A면 =
| B면 =
| 발매일 =
| 녹음일 =
| 녹음실 =
| 장소 =
| 장르 =
| 길이 =
| 레이블 =
| 송라이터 = <!-- 작사+작곡의 경우 -->
| 작곡가 = 작곡가
| 작사가 = 작사가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연표 =
| 전제목 =
| 전제목2 =
| 전년도 =
| 제목 =
| 제목2 =
| 연도 =
| 후제목 =
| 후제목2 =
| 후년도 =
| 트랙 =
| 기타 =
}}
변수
[편집]영어 위키백과에서 가져오는 경우, 반드시 영어로 된 변수를 모두 한국어 변수로 치환해주시길 바립니다.
곡명
[편집]노래의 제목을 나타냅니다. 제공되지 않은 경우, 템플릿은 해당 페이지의 {{PAGENAMEBASE}}를 사용합니다. 링크가 설정되지 않으므로, "(노래)", "(비욘세의 노래)" 등의 동음이의어 구분 용어는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버전
[편집]노래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이는 리믹스에 대한 정보상자에서 사용됩니다.
사진
[편집]악보 표지, 싱글 표지, 또는 해당 노래와 관련된 적절한 이미지를 추가합니다. 먼저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하며, 그 후 파일 이름에서 "파일:"을 제외한 형태로 입력하면 됩니다. 예: [사진명].jpg.
대체
[편집]이 필드는 보는데 문제가 있는 독자를 위해 표지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 또는 설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설명
[편집]사진이 포함된 경우, 적절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문장 일부일 경우 끝에 마침표를 붙이지 않는 등). 그러나 해당 사진이 명확하게 정보상자에서 설명하는 싱글 표지 또는 레코드 레이블인 경우,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종류
[편집]아래 코드 표에 나와 있는 대로 "싱글", "반주", "악곡", "프로모" 등의 유형을 지정합니다. 입력한 값은 자동으로 해당 문서로 링크되므로, 별도로 링크할 필요가 없습니다(기본값은 "노래"). 이 필드는 헤더 및 색상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장르 정보를 입력하는 용도는 아닙니다.
출처에서 특정 노래를 "싱글"로 분류한 경우, 해당 곡이 실제로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더라도 "싱글"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앨범 수록곡이 후에 싱글로 발매된 경우, 가장 유명한 또는 대표적인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tairway to Heaven〉은 여러 시장에서 프로모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2007년 디지털 싱글로도 출시되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버전은 레드 제플린의 네 번째 앨범에 수록된 곡입니다.
| 코드 | 색 | 링크 | 표시 |
|---|---|---|---|
| 싱글 | khaki | 싱글 | 음악가의 싱글
|
| 노래 | #E6E8FA | 노래 | 음악가의 노래
|
| 프로모 | #E6E8FA | 프로모셔널 싱글 | 음악가의 프로모셔널 싱글
|
| 데모 | #E6E8FA | 데모 | 음악가의 데모
|
| 리믹스 싱글 | #E6E8FA | 리믹스 | 음악가의 리믹스
|
| 반주 | #E6E8FA | 반주 | 음악가의 반주
|
| 악곡 | #E6E8FA | 악곡 | 음악가의 악곡
|
| 찬송가 | #E6E8FA | 찬가 | 음악가의 찬가
|
| 동요 | #E6E8FA | 동요 | 음악가의 동요
|
| 기타 | #E6E8FA | 기타 | 음악가의 기타
|
음악가
[편집]해당 곡의 원곡 또는 주된 버전이 특정 아티스트와 관련이 있는 경우, 해당 아티스트의 이름을 입력하고 위키 문서가 있을 경우 링크를 추가합니다. 전통 음악이나 역사적인 곡처럼 특정한 아티스트의 버전이 중심이 아닌 경우, 이 필드는 비워둘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틀:음악 정보 사용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음반
[편집]해당 곡이 처음 발표된 음반이 있다면 음반명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 템플릿은 자동으로 음반명을 겹화살괄호와 함께 표시하며, "《음반명》의 수록곡" 형태로 출력됩니다. 곡이 음반보다 훨씬 먼저 싱글로 발매되었을 경우, |음반= 필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해당 곡이 음반의 일부로 발표된 것이 아니라 후에 포함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Die with a Smile〉은 앨범 발매보다 약 7개월 전에 싱글로 출시되었으며, 앨범의 싱글보단 그저 독립 싱글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Sweet but Psycho〉, 〈Señorita〉 등이 있습니다.
EP
[편집]해당 곡이 처음 발표된 EP(익스텐디드 플레이)가 있다면 EP명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 음반명과 마찬가지로 겹화살괄호와 함께 표시됩니다. 음반과 EP 중 하나만 입력해야 하며, 최초로 발매된 형태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언어
[편집]해당 곡이 한국어가 아닐 경우, 사용된 언어를 입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위키링크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영어제목
[편집]해당 곡의 제목이 영어가 아닐 경우, 영어 번역 제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A면
[편집]해당 곡이 싱글의 B면(B-side)으로 발매되었을 경우, A면(A-side) 곡의 제목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B-side는 입력하지 않음). 홑화살괄호는 자동으로 추가됩니다.[1]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조하세요.
곡이 복수의 A면을 가진 더블 A면(싱글)로 발매된 경우, 이중 A사이드 싱글의 연대표 섹션을 참고하십시오.
B면
[편집]해당 곡이 싱글의 A면(A-side)으로 발매되었을 경우, B면(B-side) 곡의 제목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A-side는 입력하지 않음). 홑화살괄호는 자동으로 추가되며,[1]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조하세요.
후속 발매, 다른 시장에서의 재발매 등의 경우, 정보상자가 아닌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원칙입니다.
작성일
[편집]해당 곡이 작성되거나 작곡된 연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필드는 일반적으로 악보 출판 또는 음반 녹음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작곡된 역사적인 곡에 사용됩니다.
출판일
[편집]해당 곡이 출판된 연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는 음반 녹음이 보편화되기 전, 악보 출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매일
[편집]곡의 상업적 발매일을 입력합니다(싱글, 음반 또는 기타 형태). 일반적으로 소매 시장에서 대중에게 널리 제공된 날짜를 사용하며, 유출본이나 라디오국 프로모션용 배포본 등의 날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경우라면 본문에서 언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반 수록곡이 라디오에서 방송된 적이 있더라도, 정식 발매일이 아닌 음반 발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후에 싱글로 정식 발매되어 더 널리 알려진 경우 (동시에 |종류=싱글이 사용됨), 싱글 발매일을 입력해야 합니다.
날짜는 {{시작 날짜}}를 사용해 입력해야 합니다.
- 전체 날짜: {{시작 날짜|YYYY|MM|DD}}
- 연도와 월만 있을 경우: {{시작 날짜|YYYY|MM}}
- 연도만 있을 경우: {{시작 날짜|YYYY}}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조하세요. 후속 발매, 다른 시장에서의 재발매, 컴필레이션 수록 등은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원칙입니다.
녹음일
[편집]해당 곡이 녹음된 날짜를 입력합니다. 여러 날짜가 있을 경우, 월 또는 월 범위를 요약하여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예: 2023년 1월–3월).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조하세요. 녹음된 위치는 |녹음실= 혹은 |장소=에 넣어주세요.
녹음실
[편집]곡이 녹음된 녹음실의 이름과 위치를 입력합니다. 녹음실에 링크를 추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 주, 국가 등은 링크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녹음실 명칭에 "스튜디오"("Studios")가 포함된 경우, 이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사운드 시티 스튜디오|사운드 시티]] → "사운드 시티"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조하세요.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US"와 "UK"의 경우, "미국"과 "영국"으로 약칭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모두 한국어로 작성합니다.
장소
[편집]라이브 녹음된 곡의 경우, 공연장(콘서트 홀, 스타디움 등)의 이름과 위치를 입력합니다.
장르
[편집]해당 곡의 음악 장르를 입력합니다. 장르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백:신뢰)에서 제공된 정보여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도 명시하고 출처를 기재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나 독자 연구는 포함할 수 없습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3] 문단을 참조하세요.
길이
[편집]노래의 길이는 분과 초를 콜론(:) 으로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예: 3:09). "3분 9초", "3' 9"" 등의 형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초 단위 값은 반드시 포함해야 하므로, 3분 길이의 노래는 "3:00"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길이는 원본 음반이나 싱글 발매본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재발매판이나 다운로드 버전 등의 길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여러 길이를 입력해야 한다면, 두 번째 이후 길이부터는 틀:Duration을 사용합니다(예: {{Duration|3:09}} → "3:09"). 여러 항목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 자세한 내용은 참조[2] 문단을 참고해 주세요.
레이블
[편집]해당 곡을 발매한 레코드 회사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후 재발매본, 국가별 출시판 등의 정보는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레이블 이름에 "레코드"("Records")가 포함된 경우 이를 제외하고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에픽 레코드]] 대신 [[에픽 레코드|에픽]]을 사용해야 합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 문단[3]을 참조하세요.
송라이터
[편집]음악과 가사가 한 명의 작가에 의해 쓰였거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작곡가와 작사가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만약 작곡가(composer)와 작사가(lyricist)가 구별된 경우라면 송라이터 부분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부분을 사용해야 합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3] 문단을 참조하세요.
작곡가
[편집]노래의 음악을 작곡한 사람을 입력하는 필드입니다. 작곡가와 작사가가 구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라이터 필드를 대신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악기 연주만 있는 연주곡(인스트루멘탈)의 경우에는 작곡가 필드만 사용합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3] 문단을 참조하세요.
작사가
[편집]노래의 가사를 작성한 사람을 입력하는 필드입니다. 작곡가와 구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라이터 필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3] 문단을 참조하세요.
프로듀서
[편집]공식적으로 음악 프로듀서(record producer)로 크레딧된 인물을 입력해야 합니다. 단, 총괄 프로듀서(executive producer), 공동 프로듀서(co-producer), 보컬 프로듀서(vocal producer) 등은 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의 기여가 메인 프로듀서와 동등하다는 신뢰할 만한 출처가 있을 경우에만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본문이나 곡 목록 문단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합니다. 여러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조[3] 문단을 참조하세요.
연표
[편집]이 필드는 해당 음악가의 싱글 연표를 표시하며, 바로 뒤에 나오는 전제목과 후제목과 함께 사용됩니다. 만약 이 필드를 비워 두면, 자동으로 "음악가 싱글 연표"가 표시됩니다. 특정 국가나 버전의 연표를 나타내고 싶다면 "음악가 미국" 또는 "음악가 영국 싱글"과 같이 입력하면 "음악가 미국 연표", "음악가 영국 싱글 연표"처럼 표시됩니다.
전제목
[편집]이전 싱글의 제목을 입력합니다. 자동으로 홑화살괄호가 추가되므로[1] 별도로 표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해당 곡의 위키백과 문서가 있다면 링크를 걸어 주세요. 이전 싱글이 없다면 비워 둡니다.
전년도
[편집]이전 싱글이 발매된 연도를 입력합니다. 연도는 위키백과의 날짜 표기 스타일을 따르므로,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이전 싱글이 없다면 비워 둡니다.
전버전
[편집]이전 곡의 버전이 다를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후제목
[편집]다음 싱글의 제목을 입력합니다. 자동으로 홑화살괄호가 추가되며,[1] 문서가 있다면 링크를 걸어 주세요.
후년도
[편집]다음 싱글이 발매된 연도를 입력합니다. 연도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후버전
[편집]다음 곡의 버전이 다를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트랙
[편집]여러 가지 트랙 리스트 형식이 제공됩니다.
기타
[편집]이 필드는 기타 정보나 주석을 입력하는 용도가 아닙니다. {{추가 연표}}, {{추가 곡 목록}}, {{추가 음반 표지}}, {{오디오샘플}}, {{외부 뮤직비디오}} 등의 서브템플릿을 추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템플릿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곡 목록 예시
[편집]모든 정보상자에 음반의 곡 목록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통적이거나 역사적인 노래에 대한 기사는 특정 녹음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음반 발매를 포함한 후속 버전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정보상자에 부적절합니다. 또한, 기사 말미에 둘러보기 틀 등 다른 노래에 대한 링크가 포함된 음반 곡 목록이 이미 존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음반 둘러보기 틀, 음악가 노래 둘러보기 틀, 또는 노래가 포함된 음악가 둘러보기 틀이 포함됩니다.
음반의 곡 목록은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한 노래 정보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1) 해당 기사에는 노래가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박스가 없으며, 2) 음반 대부분의 노래가 위백 기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현재 노래 정보상자에는 음반의 곡 목록에 대한 세 가지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별도의 하위 틀을 사용한 곡 목록
[편집]| 〈노래명〉 | |
|---|---|
| 음악가의 노래 | |
| 음반 《음반》의 수록곡 |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녹음일 | 1월 1–10일, 2024 |
| 녹음실 | 레코드 플랜트, 뉴욕 시티 |
| 장르 | 알앤비 |
| 길이 | 3:01 |
| 레이블 | 컬럼비아 |
| 송라이터 | 음악가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음반》 곡 목록 | |
| {{아티스트 곡 목록}} | |
별도의 음반 곡 목록 하위 틀이 만들어져 있는 경우, 정보상자의 |트랙= 매개변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틀을 사용하면 여러 장으로 구성된 음반이나 수록곡이 많은 앨범에서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음반명이 포함된 머리말과 곡 수는 자동으로 생성되며, 노래 제목은 링크되지 않고 굵게 표시됩니다.
오른쪽의 예시는 아티스트 곡 목록 틀을 사용하여 시연한 것입니다. 실제 노래 정보상자에서의 사용을 확인하려면 노래 링크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정보상자에 싱글 연대표(|전제목= 등)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타= 매개변수에 {{추가 곡 목록}}을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숨김 틀을 사용한 곡 목록
[편집]| 〈노래명〉 | |
|---|---|
| 음악가의 노래 | |
| 음반 《음반》의 수록곡 |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녹음일 | 1월 1–10일, 2024 |
| 녹음실 | 레코드 플랜트, 뉴욕 시티 |
| 장르 | 알앤비 |
| 길이 | 3:01 |
| 레이블 | 컬럼비아 |
| 송라이터 | 음악가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음반》 곡 목록 | |
5 곡 사이드 1 사이드 2 | |
두 번째 방법은 별도의 음반 곡 목록 하위 틀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숨김}} 틀을 정보상자의 |트랙= 매개변수 안에 직접 넣고, 그 안에 수록곡을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같은 음반ㅇ 다른 노래 정보상자에도 그대로 복사해 쓸 수 있습니다.
오른쪽 예시는 이 방식을 사용한 것입니다. 실제 적용 사례를 보려면 곡 제목 링크를 눌러 보면 됩니다. 다만, 정보상자에 싱글 연대표(|전제목= 등)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타= 매개변수에 {{추가 곡 목록}}을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코드 예시
{{노래 정보
...
| 트랙 = {{숨김
| 제목 =
| 내용 =
#
#
# 기타
}}
- 제목
- 곡 수를 입력합니다. 예: "10 곡". 음반명이 포함된 머리말(예: 《음반》 곡 목록)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 내용
- 여기에 음반 수록곡을 나열합니다. 번호는
#을 사용해 자동으로 매겨집니다. 노래 제목은 따옴표 안에 쓰며, 해당 문서의 주제 곡은 굵게 표시합니다. 독립 문서가 있는 곡은 링크를 걸고, 현재 문서가 다루는 곡은 링크하지 않습니다.
- 다중 디스크 CD의 경우 "디스크 1", "디스크 2"와 같은 소제목을 넣을 수 있습니다. LP 레코드나 EP는 "사이드 1", "사이드 A" 등의 소제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트랙 번호가 소제목 뒤에서 다시 1부터 시작하지 않고 이어지게 하려면,
<li value="x">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x"는 이어지는 번호입니다.
코드 예시
{{노래 정보
...
| 트랙 = {{숨김
| 제목 =
| 내용 =
'''디스크 1'''
#
#
# 기타
'''디스크 2'''
#<li value=>
#
#
# 기타
}}
더블 A사이드 싱글의 연대표
[편집]| 〈싱글명〉 | ||||
|---|---|---|---|---|
| 음악가의 싱글 | ||||
| 음반 《음반》의 수록곡 | ||||
| A면 | 〈다른 면〉 (더블 A면) |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 녹음일 | 1월 1–10일, 2024년 | |||
| 녹음실 | 레코드 플랜트, 뉴욕 시티 | |||
| 장르 | 알앤비 | |||
| 길이 | 3:01 | |||
| 레이블 | 컬럼비아 | |||
| 송라이터 | 음악가 |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 음악가 더블 A면 싱글 연표 | ||||
| ||||
코드:
{{노래 정보
...
| A면 =
| 연표 =
| 전제목 =
| 전제목2 =
| 전년도 =
| 제목2 =
| 후제목 =
| 후제목2 =
| 후년도 =
}}
- A면
- 현재 곡 또는 문서 제목의 세컨드·플립 사이드 이름을 입력합니다.
- 연표
- 자동으로 생성되는 "음악가 싱글 연표" 대신, 대체 머리말을 넣는 데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음악가 더블 A면 싱글을 입력하면 "음악가 더블 A면 싱글 연표"로 표시됩니다. - 전제목
- 이전 싱글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위키백과 문서가 있으면 링크합니다.
- 전제목2
- 이전 곡이 더블 A면 싱글일 경우, 그 두 번째·플립 사이드 이름을 입력하고 필요시 링크합니다.
- 전년도
- 이전 싱글이 발매된 연도만 입력합니다.
- 제목2
- 현재 곡이 더블 A면 싱글이라면, 세컨드·플립 사이드 곡명을 입력합니다. 현재 문서의 제목은 따옴표와 굵은 글씨로 자동 생성되며, 두 곡 중 첫 번째로 표시되고, 발매 연도는
|발매일=의 연도 값에서 가져옵니다. - 후제목
- 다음 싱글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문서가 있으면 링크합니다.
- 후제목2
- 다음 곡이 더블 A면 싱글일 경우, 그 두 번째·플립 사이드 이름을 입력하고 필요시 링크합니다.
- 후년도
- 다음 싱글이 발매된 연도만 입력합니다.
추적 분류
[편집]- 분류:알 수 없는 변수가 있는 노래 정보를 사용하는 문서 (1,209)
- 분류:송라이터가 없는 노래 문서 (1,335)
- 분류:작곡가와 송라이터가 모두 있는 노래 문서 (14)
- 분류:작사가와 송라이터가 모두 있는 노래 문서 (15)
- 분류:작사가는 있으나 작곡가가 없는 노래 문서 (66)
- 분류:Music infoboxes with unknown value for type (0)
- 분류:잘못된 테이블 배치가 있는 음악 정보상자 (44)
- 분류:모듈:String 오류가 있는 음악 정보상자 (74)
- 분류:Duration without hAudio microformat (0)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
참조
[편집]- ↑ 가 나 다 라 실제 노래 제목 이외의 세부 사항(국가 등)이 추가되는 경우, 노래 제목에는 홑과살괄호를 수동으로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A면=및|B면=의 경우, 제목이 둘 이상일 때에는 각 제목에 홑과살괄호를 추가해야 합니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여러 항목이 있을 경우, 일반 글머리표 목록 형식으로 작성하고 다른 목록 틀이나 <br/> 태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 녹음실 = * 녹음실1 * 녹음실2 * 녹음실3
와 같이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세로로 나열된 글머리표 없는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녹음실 - 녹음실1
- 녹음실2
- 녹음실3
- ↑ 가 나 다 라 마 바 두세 개 정도의 짧은 가로 목록에는 쉼표 구분자를 사용해도 되지만, 더 긴 목록의 경우에는 일반 글머리표 목록 형식으로 작성하며, 다른 목록 틀이나 <br/> 태그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예를 들어,
| 장르 = * 장르1 * 장르2 * 장르3
와 같이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가운데점으로 구분된 가로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장르 - 장르1
- 장르2
- 장르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