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뮤지컬 정보
![]() | 이 틀은 루아를 사용합니다. |
![]() | This infobox should italicize the article title automatically. If this is not required, add |italic title=no to the list of parameters. If this is required but the title is not being italicized, try |italic title=force . |
사용법 및 예시
[편집]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 | |
---|---|
the musical | |
![]() 1995 Revival Logo | |
음악 | 프랭크 레서 |
가사 | Frank Loesser |
극본 | |
배경 | 뉴욕 |
원작 | How to Succeed Without Really Trying의 Shepherd Mead |
초연 | 1961년 10월 14일46th Street Theatre : |
프로덕션 | |
수상 |
{{뮤지컬 정보
| name =
| subtitle =
| image =
| image_size =
| caption =
| music =
| lyrics =
| book =
| basis =
| setting =
| premiere_date =
| premiere_location =
| productions =
| awards = <!-- Please do not include production-specific (acting, directing, etc.) awards -->
| module = <!-- Other modules can be embedded here, namely infoboxes -->
}}
변수
[편집]이 목록의 목적은 {{Infobox Musical}} 틀의 내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지침을 설정하는 것이다. 틀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목적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뮤지컬의 위키백과의 뮤지컬 문서 표준화 목표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토론 문서에 피드백을 남겨 달라.
- name
- 뮤지컬 제목
- subtitle
- 일반적으로 "더 뮤지컬" 또는 이와 유사한 문구.
- image
- 허용되는 이미지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홍보 포스터
- CD 표지
- 플레이빌 표지
- 로고
- 참고: 이미지가 없으면 페이지는 Category:Musical theatre articles missing an image in infobox에 추가된다.
- image_size
- 이미지를 왜곡되지 않게 150px에서 260px 사이의 크기로 줄이는 데 사용한다. 저장된 이미지의 실제 크기를 사용하려면 image_size=0 (기본값: 215px)으로 설정한다. "imagesize"라는 키워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참고 - 이 매개변수는 이미지가 올바르게 표시되려면 필수적이다.
- caption
- 이미지 설명. 짧게 ("오리지널 캐스트 녹음" 또는 "로고"...)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공정 사용 이미지의 경우 제작 날짜/이름을 포함하거나 저작자 표시를 위해 아티스트 이름을 명시한다.
- music
- 작곡가. 여러 작곡가는 {{Plainlist}}를 사용하여 구분해야 한다. 음악이 각색으로 인정되는 경우, 원작 작곡가가 먼저 나열되고, 줄 바꿈, " Adapted by: "라는 문구와 함께 굵게 (삼중 아포스트로피) 표시된 제목, 또 다른 줄 바꿈, 그리고 각색자가 나열되어야 한다.
- lyrics
- 작사가의 이름. 음악 필드와 동일한 주의사항이 적용된다.
- book
- 극작가(book-writer)의 이름. 위와 동일한 주의사항이 적용된다.
- basis
- 뮤지컬이 다른 원작을 직간접적으로 기반으로 한 경우 이 섹션에 포함되어야 한다.
- 포함 내용:
- 원작의 종류 (소설, 연극, 영화, 오페라 등)
- 원작의 이름
- 원작의 작가/작곡가
- 예시:
basis = {{원작|Opera [[La boheme]]|[[Giacomo Puccini]]}}
- setting
- 뮤지컬이 진행되는 장소와 시간.
- premiere_date
- 공식 초연 날짜. {{Start date}} 사용.
- premiere_location
- 초연 장소 또는 도시. 위치 세부 정보는 Notes[1] 참조.
- productions
- 시간순으로 나열된 공연 목록.
- 브로드웨이 (또는 오프브로드웨이) 및 웨스트엔드 공연
- 주목할 만한 전문 투어
- 주목할 만한 전문 리바이벌
- 주목할 만한 전문 국제 공연 및 투어
- 주목할 만한 전문 콘서트 및 특별 공연
- 아마추어 공연 (예: 고등학교, 지역 극단 공연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 미리보기(Previews)는 문서의 역사/배경 섹션에서 논의될 수 있다.
- 각 공연에 대해 다음을 포함:
- 시작 연도만
- 장소. 위치 세부 정보는 Notes[1] 참조.
- 비투어링 공연의 경우 "Broadway", "West End" 또는 공연 도시 및 국가를 작성한다.
- 투어의 경우 투어 국가를 작성한다.
- 완전한 무대화된 비투어링 공연 이외의 모든 공연에 대한 공연 유형 (투어, 콘서트 등).
- 예시:
productions = {{단순목록|
* 1996 [[브로드웨이 연극|브로드웨이]]
* 2000 [[Barcelona]], [[Spain]]
* 2001 [[United Kingdom|UK]] tour
* 2006 [[Manila]], [[Philippines]] concert}}
- awards
-
- 이 상은 제작 관련 상 (예: 조명, 연출, 무대, 연기상)을 제외해야 한다.
- 수상 연도를 포함한다. 연도는 각 줄에서 상 앞에 나열된다.
- 예시:
awards=1996 [[Tony Award for Best Book]]
- 포함될 상:
내장된 불릿 없는 목록의 줄 바꿈 제어
[편집]{{nbsp}}
는 {{wbr}}
및 {{nowrap}}
과 함께 인포박스에 내장된 불릿 없는 목록(예: |book=
매개변수의 {{plainlist}}
)에서 줄 바꿈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긴 항목이 줄 바꿈되어 여러 항목과 혼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세한 내용은 Template:Wbr/doc#Controlling line-breaking in infoboxes를 참조하라.
내용주
[편집]- ↑ 가 나 RfC "인포박스에 국가 이름 지정하기"에 따라: 미국 또는 영국에서 도시 또는 지역을 식별할 때, "Portsmouth, New Hampshire, U.S." 및 "Cardiff, Wales, UK"와 같이 에서 허용하는 국가 약어를 사용하는 것이 전체 국가 이름을 쓰는 것보다 선호된다. 모든 국가에서 주 또는 지방의 약어 사용은 피해야 한다. New Hampshire 대신 NH, New South Wales 대신 NSW, 또는 British Columbia 대신 BC ( 참조). 뉴욕 시 및 런던과 같은 도시는 "New York City, U.S." 및 "London, UK" 또는 단순히 "New York City" 및 "Lond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문맥상 명확한 경우 이러한 것들은 링크되지 않아야 한다 ( 참조). 국가 이름만 포함된 경우 전체를 작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포맷
[편집]- 사용하는 클래스 속성
이 마이크로포맷에 포함된 HTML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attendee
- contact
- description
- dtend
- dtstart
- location
- organiser
- summary
- url
- vevent
TemplateData
[편집]이 정보 상자는 뮤지컬에 대한 문서에 추가된다.
변수 | 설명 | 형식 | 상태 | |
---|---|---|---|---|
이름 | name | 뮤지컬의 제목. | 문자열 | 필수 |
부제 | subtitle | 제목 아래에 표시되는 부제. 일반적으로 "더 뮤지컬" 또는 이와 유사한 문구. | 문자열 | 선택 사항 |
이미지 | image | 허용되는 이미지에는 홍보 포스터, CD 표지, 플레이빌 표지 또는 로고가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가 없으면 페이지는 Category:Musical theatre articles missing an image in infobox에 추가된다. | 파일 | 필수 |
이미지 크기 | image_size imagesize | 픽셀 단위의 이미지 크기. 일반적으로 150px에서 260px 사이. 저장된 이미지의 실제 크기를 사용하려면 "0"으로 설정.
| 문자열 | 필수 |
캡션 | caption | 이미지 설명. 짧게 ("오리지널 캐스트 녹음" 또는 "로고"...)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공정 사용 이미지의 경우 제작 날짜/이름을 포함하거나 저작자 표시를 위해 아티스트 이름을 명시한다. | 내용 | 권장 |
작곡가 | music | 작곡가. 여러 작곡가는 {{단순목록}}을 사용하여 구분해야 한다. 음악이 각색으로 인정되는 경우, 원작 작곡가가 먼저 나열되고, 줄 바꿈, " '''Adapted by:''' "라는 문구와 함께 굵게 (삼중 아포스트로피) 표시된 제목, 또 다른 줄 바꿈, 그리고 각색자가 나열되어야 한다. | 내용 | 권장 |
작사가 | lyrics | 작사가의 이름. 음악 필드와 동일한 주의사항이 적용된다. | 내용 | 권장 |
극작가 | book | 극작가의 이름. 위와 동일한 주의사항이 적용된다. | 내용 | 선택 사항 |
원작? | basis | 뮤지컬이 다른 원작을 직간접적으로 기반으로 한 경우 이 섹션에 포함되어야 한다. 원작의 종류 (소설, 연극, 영화, 오페라 등), 원작의 이름, 원작의 작가/작곡가를 포함하라.
| 내용 | 선택 사항 |
배경 | setting | 뮤지컬이 진행되는 장소와 시간. | 문자열 | 선택 사항 |
초연 날짜 | premiere_date | 공식 초연 날짜. {{시작 날짜}} 사용. | 문자열 | 권장 |
초연 장소 | premiere_location | 초연 장소 또는 도시. | 문자열 | 권장 |
공연 | productions | 시간순으로 나열된 공연 목록.
| 내용 | 선택 사항 |
수상 | awards | 뮤지컬의 수상 내역. 이 상은 제작 관련 상 (예: 조명, 연출, 무대, 연기상)을 제외해야 한다. 포함될 상은 토니상, 드라마 데스크상, 아우터 크리틱스 서클상, 오비상, 퓰리처상, 로런스 올리비에상, 헬프만상, 도라 메이버 무어상, 이브닝 스탠더드상, 런던 평론가협회 연극상이다.
| 내용 | 선택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