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헬륨 동위 원소 정보
| |||||||||||||||||||||
| 표준 원자량 Ar°(He) | |||||||||||||||||||||
|---|---|---|---|---|---|---|---|---|---|---|---|---|---|---|---|---|---|---|---|---|---|
참고 문헌
- ↑ Kondev, F. G.; Wang, M.; Huang, W. J.; Naimi, S.; Audi, G. (2021). “The NUBASE2020 evaluation of nuclear properties” (PDF). 《Chinese Physics C》 45 (3): 030001. doi:10.1088/1674-1137/abddae.
- ↑ “Standard Atomic Weights: 헬륨”. CIAAW. 1983.
- ↑ Prohaska, Thomas; Irrgeher, Johanna; Benefield, Jacqueline; Böhlke, John K.; Chesson, Lesley A.; Coplen, Tyler B.; Ding, Tiping; Dunn, Philip J. H.; Gröning, Manfred; Holden, Norman E.; Meijer, Harro A. J. (2022년 5월 4일). 《Standard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21 (IUPAC Technical Report)》 (영어). 《Pure and Applied Chemistry》. doi:10.1515/pac-2019-0603. ISSN 1365-3075.
이 문서는 원소 동위 원소 정보상자를 위한 메타 정보상자인 {{동위 원소 목록 정보}}를 사용합니다.
이 정보상자는 § 주요 동위 원소 표와 § 표준 원자량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우라늄 동위 원소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우라늄 동위 원소 정보}}가 있습니다.
주요 동위 원소 표는 일반 정보상자인 {{우라늄}}에서 재사용됩니다.
기본 예시
[편집]{{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 =Ni
|ref-table =
|ref-nubase2020 =yes
|isotopes =
|footnote =
}}
Footnote here | |||||||||||||||||||||
| 표준 원자량 Ar°(Ni) | |||||||||||||||||||||
|---|---|---|---|---|---|---|---|---|---|---|---|---|---|---|---|---|---|---|---|---|---|
{{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 =Ni
|ref-table =<ref><nowiki>{{서적 인용|...}}</nowiki></ref>
|ref-nubase2020 =yes
|isotopes =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mn=58 |sym=Ni
|na=68.077% |hl=stable _link
}}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mn=59 |sym=Ni
|na=trace_link |hl={{val|7.6|e=4|u=y}}
|dm1=e _link |link1=cobalt-59 |pn1=59 |ps1=Co
}}
|footnote =Footnote here
|child ={{{child|no}}}
}}
매개변수
[편집]
{{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 =
|ref-table =
|ref-nubase2020 =yes
|isotopes =
{{Isotopes/main/isotope|..}}
|footnote =Footnote here
|child ={{{child|no}}}
}}
|
|
주요 동위 원소 표
[편집]- {{동위원소/본문/표/설명문서}}
주요 동위 원소 표는 각 동위 원소 행에 하나의 틀을 입력하여 구성된다.
{{동위 원소 목록 정보
...
|isotopes =
{{Isotopes/main/isotope |link= |mn= |sym=
|na= |hl=
|ref=
|dm1= |perc1= |ref1= |link1= |pn1= |ps1=
|dm2= |perc2= |ref2= |link2= |pn2= |ps2=
}}
...
}}
한 행 매개변수, 주석 처리됨
"!"=필수일 수 있음;
..1–4는 붕괴 방식 dm#=을 참조함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
|mn =! 질량수
|sym =! 기호
|link = 동위 원소 페이지: uranium-232
|ref = 동위 원소 행에 대한 참조
|na =! 자연 존재비 (synth, trace 가능)
|hl =! 반감기 (stable 가능)
|dm1 =! 붕괴 방식 #1
|perc1 = 붕괴 %
|ref1 = 붕괴 방식 #1에 대한 참조
|link1 = 생성물 동위 원소 페이지
|pn1 =! 생성물 질량수
|ps1 =! 생성물 기호
|dm2 = 붕괴 방식 #2 등
|dm3 = 붕괴 방식 #3 등
|dm4 = 붕괴 방식 #4 등
}}
- 모든 코드 및 형식화된 입력: 인식되지 않으면 입력은 그대로(편집되지 않고) 표시된다.
키보드 코드로 자연 존재비, 반감기 trace, synthetic, stable
[편집]- 매개변수
|na=,|hl=는 간단한 키보드 코드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타이핑을 단순화한다:
|na=trace, synth,|hl=stable, obs stable.
|na=synthLightYellow는 → synth로 연결된다- 또한: 아래의 백분율 존재비 참조.
- 인식되지 않으면 입력은 그대로(편집되지 않고) 표시된다.
키보드 코드로 붕괴 방식 (β−β−)
[편집]- 붕괴 방식
|dm1–4=는 키보드 코드로 입력할 수 있다:
|dm1=b+b+(|dm1=β<sup>+</sup>β<sup>+</sup> 대신)은 β+β+를 표시한다.
- 또한 위키 링크를 위해:
|dm1=b+b+LightYellow→ β+β+.
- 인식되지 않으면 입력은 그대로(편집되지 않고) 표시된다.
- 기본 dm1–4 코드 규칙
- α ←
a, β ←b, γ ←g, ε ←e
- 참고: "e+"에서만 사용되는 평범한 라틴 문자
e. (εε/ee에 대한 "ee"와 혼동 없음).
- x+, x− ←
+ −(위첨자 = 인라인) - - − –
-(키보드 하이픈 = 마이너스) - A≠a: 대문자 유지: SF ←
SF(sf)
백분율 존재비, 붕괴 방식 형식 지정
[편집]- 반감기: 일반적으로
{{val}}을 사용하여 형식 지정|hl={{val|12.3|e=4|u=Ey}}}→12.3×104 Ey. 단위는 연결하지 않는다. - 백분율 입력
|na=,|perc1, perc2, perc3, perc4=
{{val}}이 필요 없다, 그냥 "12.34%"로 충분하다.- 숫자는 3자리 유효 숫자로 반올림된다.
- dm-%
|perc1=0.003%인 경우 "<0.01%"로 형식 지정된다. - dm-%
|perc1=2.7e-12인 경우 "≪0.01%"로 형식 지정된다.
- 이 규칙을 피하려면 {{val}}을 사용한다:
|na={{val|0.9995|u=%}}(예: 수소)
- 불확도 "(5)" 또는 "±0.3"을 추가하지 않는다
참조 추가
[편집]- 전용 참조 매개변수 사용:
- 열 머리글에
|ref-table=<ref>... - 열 머리글에
|ref-nubase2020=yes/no는 {{NUBASE2020}}를 추가한다 - 동위 원소당
|ref= - 붕괴 방식당
|ref=
입력 값으로 참조를 추가하지 않는다: dm1=α<ref>..</ref>
붕괴 방식
[편집]| 유형 행ID |
기호 (id) |
표준화된 코드 입력 |
이름 기호 wl enwiki NUBASE code-id |
A, Z | NUBASE, 예시, 참고 |
|---|---|---|---|---|---|
dm-symbol
|
normal-codedm1−4
|
en-nameen-linknubase-name
|
AZ-changesaction-textqid
|
||
| 100 | 알파 | ||||
dm 110
|
α |
|
|
• (A − 4, Z − 2) QID: (Q179856 )
|
|
| 200 | 베타 | ||||
dm 210
|
β |
|
|
• ACTION: QID: (Q306786 )
|
|
dm 220
|
β− |
|
|
• (A, Z + 1) QID: (Q14646001 )
|
|
dm 230
|
β−β− 2β−
|
|
|
• (A, Z + 2) ACTION: 원자핵이 두 개의 전자와 두 개의 반중성미자를 방출한다 QID: (Q18907407 )
|
|
dm 240
|
β+ ε + e+
|
|
|
• (A, Z − 1) ACTION: NUBASE2020에서 ß+는 전자 포획 (ε)과 양전자 방출 (e+)의 결합률을 나타낸다: ß+ = ε + e+ QID: (Q1357356 )
|
|
dm 250
|
β+β+ 2β+
|
|
|
• (A, Z − 2) ACTION: 원자핵이 두 개의 양전자와 두 개의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QID: (Q18907416 )
|
|
| 300 | e, epsilon, 감마 (내부적으로 "epsi"는 문자 "ε"의 코드이고, "e"는 "e+"에만 나타나는 라틴 문자 "e"의 코드이다.) | ||||
dm 310
|
ε |
|
|
• (A, Z − 1) ACTION: 원자핵이 궤도 전자를 포획하고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이로 인해 딸핵은 불안정한 들뜬 상태에 놓인다. QID: (Q109910 )
|
|
dm 320
|
εε |
|
|
• (A, Z − 2) ACTION: QID: (Q520827 )
|
|
dm 330
|
ε + β+ |
|
|
• ACTION: 전자 포획 및 β+ 붕괴 QID:
|
|
dm 340
|
e+ |
|
|
• (A, Z − 1) ACTION: 핵 양성자가 양전자와 전자 중성미자를 방출하며 중성자로 변환된다 QID: (Q1357356 )
|
|
dm 350
|
γ |
|
|
• ACTION: QID: (Q10885797 )
|
|
| 400 | n, p | ||||
dm 410
|
n |
|
|
• (A − 1, Z) ACTION: 원자핵에서 중성자가 방출된다 QID: (Q898923 )
|
|
dm 420
|
2n |
|
|
• (A − 2, Z) ACTION: 두 개의 중성자가 원자핵에서 동시에 방출된다 QID: (Q21456752 )
|
|
dm 430
|
p |
|
|
• (A − 1, Z − 1) ACTION: 원자핵에서 양성자가 방출된다 QID: (Q902157 )
|
|
dm 440
|
2p |
|
|
• (A − 2, Z − 2) ACTION: 두 개의 양성자가 원자핵에서 동시에 방출된다 QID: (Q9253686 )
|
|
| 500 | EC, IT, IS, SF, CD | ||||
dm 510
|
EC |
|
|
• (A, Z − 1) ACTION: QID: (Q109910 )
|
|
dm 520
|
IT |
|
|
• (A, Z) ACTION: 이성질핵 상태의 원자핵이 광자를 방출하거나 전자를 방출하여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진다 QID: (Q1191931 )
|
|
dm 530
|
SF |
|
|
• 가변 ACTION: 원자핵이 두 개 이상의 작은 핵과 다른 입자로 붕괴하며, 이들은 각 붕괴마다 달라질 수 있다 QID: (Q146682 )
|
|
dm 540
|
CD |
|
|
• (A − A1, Z − Z1) & (A1, Z1) ACTION: 원자핵이 알파 입자보다 큰 특정 유형의 작은 핵(A1, Z1)을 방출한다 (예: 14C, 24Ne) QID: (Q901540 )
|
|
dm 550
|
IS |
|
|
• ACTION: QID: (Q659662 )
|
|
| 600 | 지연 | ||||
dm 611
|
β−n |
|
|
• (A − 1, Z + 1)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2
|
β−2n |
|
|
• (A − 2, Z + 1)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두 개의 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3
|
β−3n |
|
|
• (A − 3, Z + 1)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세 개의 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4
|
β−α |
|
|
• (A − 4, Z − 1)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α 입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5
|
β−d |
|
|
• (A − 2, Z)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중수소 핵을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6
|
β−t |
|
|
• (A − 3, Z)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삼중수소 핵을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7
|
β−SF |
|
|
• β− & 가변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자발 핵분열을 겪는다 QID: (Q116564446 )
|
|
dm 618
|
β+p |
|
|
• (A − 1, Z − 2)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19
|
β+2p |
|
|
• (A − 2, Z − 3)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두 개의 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21
|
β+3p |
|
|
• (A − 3, Z − 4)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세 개의 양성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22
|
β+α |
|
|
• (A − 4, Z − 3)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α 입자를 방출한다 QID: (Q116564446 )
|
|
dm 623
|
β+SF |
|
|
• β+ & 가변 ACTION: 원자핵이 β+ 방출을 통해 들뜬 상태로 붕괴하고, 그 후 자발 핵분열을 겪는다 QID: (Q116564446 )
|
|
| 700 | 24Ne | ||||
dm 710
|
14C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20
|
20Ne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30
|
24Ne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40
|
25Ne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50
|
25Ne + 28Mg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60
|
26Ne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70
|
24Ne + 26Ne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80
|
28Mg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90
|
28Mg + 30Mg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92
|
30Mg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94
|
32Si |
|
|
• ACTION: QID: (Q901540 )
|
|
dm 796
|
34Si |
|
|
• ACTION: QID: (Q901540 )
|
|
| 800 | 자연 존재비, 반감기 (na, hl) | ||||
na 810
|
합성 |
|
|
• ACTION: QID: (Q1194370 )
|
|
na 820
|
경로 |
|
|
• ACTION: QID: (Q2410022 )
|
|
hl 850
|
안정 |
|
|
• ACTION: QID: (Q878130 )
|
|
hl 860
|
관측상 안정 |
|
|
• ACTION: QID: (Q116484654 )
|
|
| 900 | 지원되지 않음 | ||||
dm 920
|
incorrect normal-code input: ≠ e- |
|
|
• ACTION: QID:
|
|
| 930 | IT ?
|
<dm> ? (이론적) 구현되지 않음 붕괴 방식은 에너지적으로 허용되지만, 실험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
• NUBASE2020에 있음
| ||
| 940 | IT=?
|
<dm>=? (이론적) 구현되지 않음 붕괴가 관찰되었지만, 그 강도는 실험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
• NUBASE2020에 있음
| ||
/isotope 전체 매개변수 목록
[편집]{{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link= |mn= |sym=
|na= |hl=
|ref=
|dm1= |perc1= |link1= |ref1= |pn1= |ps1=
|dm2= |perc2= |link2= |ref2= |pn2= |ps2=
|dm3= |perc3= |link3= |ref3= |pn3= |ps3=
|dm4= |perc4= |link4= |ref4= |pn4= |ps4=
}}
표준 원자량
[편집]정보상자는 주요 동위 원소 표(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와 표준 원자량(CIAAW에서 발행, {{Infobox element/symbol-to-saw/CIAAW-saw-element-page}} 참조)을 포함한다.
새로운 소식
[편집]- 2023년 3월
- Main은 일반적으로 주요 동위 원소를 의미한다 (메인스페이스, 주요 기사가 아님)
|isobox ref=폐지됨,|ref-table=로 교체, 위치=상단 표 TODO 자식일 때 확인|ref-nubase2020=yes/no(일명|ref-NUBASE2020=) {{NUBASE2020}} 이름 지정! ref 태그! 기본값
사용법
[편집]이것은 원소의 주요 동위 원소에 대한 정보상자이다. 메타 틀은 {{동위 원소 목록 정보}}이다.
이것은 주요 동위 원소 표와 최종적으로 표준 원자량을 포함한다.
이 틀은 {{Infobox <element>}}에서 자식 정보상자(|child=yes)로 재사용된다.
2023년 1월년 기준[update], '주요 동위 원소'는 를 준수한다 (공사 중, WP:ELEMENTS "주요 동위 원소"란 무엇인가? 참조)
각 동위 원소는 붕괴 방식을 포함하는 자체 행을 갖는다:
모든 매개변수
{{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 =
|ref-table =
|ref-nubase2020=<!-- yes/no -->
|ref-NUBASE2020=<!-- aka -->
|isotopes =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
|link= |mn= |sym=
|na= |hl=
|ref=
|dm1= |perc1= |link1= |ref1= |pn1= |ps1=
|dm2= |perc2= |link2= |ref2= |pn2= |ps2=
|dm3= |perc3= |link3= |ref3= |pn3= |ps3=
|dm4= |perc4= |link4= |ref4= |pn4= |ps4= }}
|footnote =
|child ={{{child|no}}}<!-- [IB element] -->
}}
- {{Infobox element}}에 사용되는 표
동위 원소 붕괴 예시
[편집]
| ||||||||||||||||||
{{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
|isotopes=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 |sym=U |mn=234
|na=95% |hl=2 y
|ref=<ref>Reference A</ref>
|dm1=α |ps1=Cn |pn1=247
|dm2=β |perc2=0.001% |ref2=<ref>Reference decay-2 </ref>|ps2=Pu |pn2=242 }}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sym=U |mn=234
|na=95% |hl=2 y
|ref=<ref>Reference A</ref>
|dm1=α |ps1=Cn |pn1=247
|dm2=β |perc2=0.001% |ref2=<ref>Reference decay-2 </ref>|ps2=Pu |pn2=242 }}
}}
- 더 많은 매개변수 사용
Some Footnote | ||||||||||||||||||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sym=U |mn=234
|na=trace_link |hl=2 y
|ref=<ref>Reference A</ref>
|dm1=α |perc1=95% |link1=Cn-247 |ps1=Cn |pn1=247
|dm2=β |perc2=0.005% |link2=플루토늄 동위 원소|ps2=Pu |pn2=242 }}
{{동위 원소 목록 정보
|isotopes=
{{동위원소/본문/동위원소
|link= |sym= |mn=
|na= |hl=
|ref=
|dm1= |perc1= |link1= |ps1= |pn1=
|dm2= |perc2= |link2= |ps2= |pn2=
|dm3= |perc3= |link3= |ps3= |pn3= }}
}}
표준 원자량
[편집]안정된 원소의 경우, 공식적인 표준 원자량(s.a.w.)이 CIAAW에서 발행된 대로 추가된다. s.a.w.가 구간 표기법인 경우, 그 관용적인 값도 추가된다. 데이터는 중앙 s.a.w. 값 목록에서 가져오며, 형식은 {{Infobox element/standard atomic weight format}} ({{infobox element}}와 동일)에 의해 지정된다. 예시:
| |||||||||||
| 표준 원자량 Ar°(Li) | |||||||||||
|---|---|---|---|---|---|---|---|---|---|---|---|
{{동위 원소 목록 정보
|symbol=Li
}}
추적
[편집]참고 문헌
- ↑ {{서적 인용|...}}
- ↑ 가 나 다 Kondev, F. G.; Wang, M.; Huang, W. J.; Naimi, S.; Audi, G. (2021). “The NUBASE2020 evaluation of nuclear properties” (PDF). 《Chinese Physics C》 45 (3): 030001. doi:10.1088/1674-1137/abddae.
- ↑ “Standard Atomic Weights: 니켈”. CIAAW. 2007.
- ↑ 가 나 Prohaska, Thomas; Irrgeher, Johanna; Benefield, Jacqueline; Böhlke, John K.; Chesson, Lesley A.; Coplen, Tyler B.; Ding, Tiping; Dunn, Philip J. H.; Gröning, Manfred; Holden, Norman E.; Meijer, Harro A. J. (2022년 5월 4일). 《Standard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21 (IUPAC Technical Report)》 (영어). 《Pure and Applied Chemistry》. doi:10.1515/pac-2019-0603. ISSN 1365-3075.
- ↑ Reference A
- ↑ cite book: Hello World
- ↑ Reference A
- ↑ “Standard Atomic Weights: 리튬”. CIAAW. 2009.
같이 보기
[편집]- {{동위원소 요약}} -- 문서 내 표, 특히 초중원소. 코페르니슘 참조.
- {{원소 정보}} -- 원소별 이 틀을 보여준다.
- 분류:Infobox element isotopes templates (0)
- {{Infobox element/element navigation}} -- 추가 문서 (왼쪽 상단 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