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파란색선 (몬트리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란색 선
Ligne bleue
파란색 선 아카디 역
기본 정보
운행 국가캐나다의 기 캐나다
퀘벡주의 기 퀘벡주
종류도시 철도
체계몬트리올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스노든 (Snowdon)
종점생미셸 (Saint-Michel)
역 수12
개통일1986년 6월 16일
소유자몬트리올 교통공사
운영자몬트리올 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9.7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 수제3궤조 직류 750V
노선도
파란색 선
exlENDE@F
uextBHF
앙주
uextBHF
랑젤리에
uextBHF
라코르데르
uextBHF
비오
uextBHF
피뇌프
uextLSTR
연장 예정 구간
utENDEa
utÜSTr
utBHF
생미셸
utÜSTl
utBHF
디베르빌
utBHF
파브르
utCONTgq utTINTt utCONTfq
장 탈롱
utBHF
드카스텔노
utCONTgq utABZgr+r
유빌 정비소 방면
utINT
파크
utÜSTr
utBHF
아카디
utBHF
우트르몽
utBHF
에두아르 몽프티
utBHF
위니베르시테 드 몽레알
utBHF
코트데네이주
utCONTgq utKRZtu utSTR+r
오렌지 선
코트베르튀 방면
utÜSTr utSTR
utXBHF-L utXBHF-R
스노든
utÜSTr utSTR
utKRWg+l utKRWgr
오렌지 선과 연결
utENDEe
오렌지 선
몽모랑시 방면

v  d  e  h

5호선 파란색 선(프랑스어: Ligne bleue 또는 Ligne 5) 은 몬트리올 교통공사 (STM) 가 운행하는 몬트리올 지하철 노선 중 하나로 몬트리올의 코트데네이주-노트르담드그라스, 우트르몽, 빌르레이-생미셸-파크엑스탕시옹 지역구를 잇는 남서-북동간 지선 노선이다. 파란색 선은 코트데네이주 (Côte-des-Neiges) 지역의 스노든 역에서 생미셸 (Saint-Michel) 지역의 생미셸역까지 이으며 스노든과 장 탈롱 역에서 2호선 오렌지 선과 연결된다. 1986년과 88년에 걸쳐 완공된 이 노선은 몬트리올 시내를 지나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파란색 선은 현재 동쪽으로 생레오나르와 앙주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에 연방 정부가 공사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지하철 연장 공사에 들어간 상태이다.[1]

연혁

[편집]
  • 1975년: 파란색 선 착공
  • 1986년 6월 16일: 생미셸 - 드카스텔노역 구간 개통
  • 1987년 6월 15일: 파크역 개통
  • 1988년 1월 4일: 스노든 - 우트르몽역 구간 개통
  • 1988년 3월 28일: 아카디역 개통
  • 1989년: 퀘벡 주정부 파란색 선 앙주 연장 발표, 경기 침체로 계획 무산
  • 1998년: 라발로 지하철이 연장되면서 파란색 선 피뇌프 연장이 승인되지만 공사 비용 문제로 계획 무산[2][3]
  • 2013년 9월 20일: 퀘벡 주정부 파란색 선 앙주 연장 발표
  • 2016년 2월 5일: 지하철 연장에 드는 예상 비용이 기존 15억 달러에서 30억 달러로 불어남.[4]
  • 2018년 4월 9일: 연방 및 주정부가 지하철 연장에 필요한 전담 사무실을 설치하기 위해 1600만 달러를 투자할 방침을 발표하였다.[5] 또한 퀘벡 정부는 지하철 연장 부지 매입을 위해 3억 3천만 달러를 투자할 방침을 발표하였다.
  • 2019년 초: 지하철 연장 전담 사무실 개장[6]
  • 2019년 7월 4일: 연방 정부, 2026년 개통을 목표로 파란색 선 연장에 13억 달러 지원[7]

운행 체계

[편집]

파란색 선은 스노든역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몬트리올 대학교가 있는 위니베르시테 드 몽레알에두아르 몽프티역까지 가로지른 다음에 우트르몽 지역에 다다라서 파크역까지 동북쪽으로 올라간다. 이후 장 탈롱을 따라 동쪽으로 종점인 생미셸역까지 이어진다.

운행 시간 및 배차 간격

[편집]

파란색 선은 기존에 다른 지하철 노선에 비해 막차 시간이 이른 편이였으나, 2017년 3월 27일부터 STM에서 노란색 선을 제외한 몬트리올 지하철 세 개 노선의 배차를 증편하고 파란색 선의 막차 시간을 30분 연장하여 두 종착역 기준으로 평일과 일요일 아침 5시 30분부터 밤 12시 45분까지, 토요일에는 아침 5시 30분부터 새벽 1시 15분까지 운행하게 된다.[8] 막차 시각 이후에는 스노든역에서 우트르몽역까지 운행하는 368번 아브뉘 뒤 몽루아얄 또는 아카디역부터 장 탈롱을 따라 동쪽으로 운행하는 372번 장 탈롱 심야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배차 간격은 평일 러시 아워 (오전 7-9시, 오후 4-6시)에는 4-5분, 평상시에는 5-10분 간격이고 주말에는 8-11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17년 3월 27일부터 파란색 선의 배차 증편으로 평일 오후 6시 30분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 최대 5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된다.[8]

역 목록

[편집]
역 이름 원어 명칭 개통일 역명 관련 도로명 이름의 유래
스노든 Snowdon 1981년 9월 7일 (오렌지 선)
1988년 1월 4일 (파란색 선)
뤼 스노든 (Rue Snowdon) J. 스노든의 땅을 가로질러 지어진 도로. 스노든가와 옛 스노든 농장 부지 인근에 위치한 퀸 메리 / 데카리 교차로는 오랫동안 이 지역의 상업 중심지였으며, 지금도 여전히 스노든이라고 불린다.[9]
코트데네이주 Côte-des-Neiges 1988년 1월 4일 슈망 드 라 코트데네이주 (Chemin de la Côte-des-Neiges) 1862년 8월 25일에 설립된 코트데네이주 마을로 이어진 도로. 이 마을은 1889년 3월 21일 두 개의 자치단체로 분할되었는데, 북쪽은 노트르담데네이주웨스트(Notre-Dame-des-Neiges Ouest), 1907년에는 다시 코트데네이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지역은 1910년 6월 4일 몬트리올시에 흡수되어 코트데네이주 지역구가 되었다. 남쪽은 노트르담데네이주(Notre-Dame-des-Neiges)시가 되었으며, 1908년 4월 25일 몬트리올에 흡수되어 몽루아얄(Mont-Royal)구가 되었다. 1922년 3월 21일, 이 두 동네가 합쳐져 오늘날까지 몽루아얄이라는 이름이 되었다.[10]
위니베르시테 드 몽레알 Université-de-Montréal 1988년 1월 4일 몬트리올 대학교 이 역은 몬트리올 대학교 바로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그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11]
에두아르 몽프티 Édouard-Montpetit 1988년 1월 4일 불바르 에두아르 몽프티 (Boulevard Édouard-Montpetit) 이 역의 이름은 퀘벡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에두아르 몽프티를 기리며, 그가 창립한 사회·경제·정치학 학교인 몬트리올 대학교가 바로 근처에 있다.[12]
우트르몽 Outremont 1988년 1월 4일 아브뉘 우트르몽 (Avenue Outremont)
우트르몽 지역구 (Arrondissement d'Outremont)
산 반대편이라는 뜻의 동명의 마을 이름. 1875년, 오슐라가(Hochelaga)의 하원의원이었던 루이 보비앙이 코트생트카트린(Côte Sainte-Catherine)을 마을로 승격시키는 법안을 제출했고, 그 마을은 우트르몽이라고 이름이 붙어졌다. 이 도로는 1927년 1월 17일, 몬트리올시에 속한 구간에 대해 공식적으로 우트르몽이라는 이름으로 지정되었다.[13]
아카디 Acadie 1988년 3월 28일 불바르 드 라카디 (Boulevard de l'Acadie) 이 도로 이름은 아카디아인들의 추방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불바르 드 라카디'라는 명칭은 이 사건의 200주년을 기리던 1955년 행사에 이어, 1956년에 공식적으로 부여되었다.[14]
파크 Parc 1987년 6월 15일 아브뉘 뒤 파크 (Avenue du Parc) 이 도로는 몽루아얄 공원(Parc du Mont-Royal)을 지나간다.[15]
드카스텔노 De Castelnau 1986년 6월 16일 슈망 드 카스텔노 (Chemin de Castelnau) 이 도로는 1914년 12월 17일,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낭시를 구한 프랑스 장군 에두아르 드 카스텔노(1851~1944)를 기리며 명명되었다. 그는 모르앙주 전투와 베르됭 전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쟁 후에는 하원의원과 가톨릭 국가연맹 창립자로도 활동하였다.[16]
장 탈롱 Jean-Talon 1966년 10월 14일 (오렌지 선)
1986년 6월 16일 (파란색 선)
뤼 장 탈롱 (Rue Jean-Talon) 이 도로는 누벨프랑스의 초대 관리관 장 탈롱을 기리며, 인구 증가 정책과 이민 장려로 인구를 크게 늘리고, 경제 다각화와 행정 중앙화를 추진하였다.[17]
파브르 Fabre 1986년 6월 16일 뤼 파브르 (Rue Fabre) 이 도로는 몬트리올 최초의 대주교 에두아르샤를 파브르(Édouard-Charles Fabre, 1827~1896)를 기린다. 파브르는 생자크 대성당의 완공과 몬트리올 대학교의 자율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경제 위기 속에서는 식민 개척과 유럽 수도회의 정착을 장려하였다.[18]
디베르빌 D'Iberville 1986년 6월 16일 뤼 디베르빌 (Rue d'Iberville) 피에르 르모인 디베르빌은 누벨프랑스의 가장 저명한 장군 중 한 명으로, 영국 세력과 맞서 싸우고 미시시피강 하구를 발견하며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개척하였다. 1699년경 프랑스에서 생루이 훈장을 받아, 캐나다 태생으로는 최초이며, 그는 결국 아바나에서 사망해 그곳에 묻혔다.[19]
생미셸 Saint-Michel 1986년 6월 16일 불바르 생미셸 (Boulevard Saint-Michel) 미카엘
베르티에르 Vertières 2031년 베르티에르 전투(Bataille de Vertière) 아이티 민족 독립에 있어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진 장소. 베르티에르 전투로 아이티는 1804년에 세계 최초의 흑인 공화국이 되었고, 생미셸과 몽레알노르에 자리한 아이티계 주민들을 상징하는 장소이다.[20]
메리투액스 얼리 Mary-Two-Axe-Earley 메리투액스 얼리 메리투액스 얼리는 원주민 여성과 아동의 권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싸운 모호크족 운동가로, 그의 끈질긴 노력으로 비원주민과 결혼한 여성들에게 가해지던 차별을 법 개정을 통해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였다.[20]
체지라 파리소토 Césira-Parisotto 체지라 파리소토 1909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체지라 파리소토는 안셀름 수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트마리 자선 수녀회 내 자선 활동에 일생을 바쳤다. 파리소토는 마리 클라락 학교와 마리 클라락 병원 등 여러 기관을 설립했고, 생레오나르 지역의 이탈리아계 주민들을 상징하는 인물이다.[20]
마들렌 파랑 Madeleine-Parent 마들렌 파랑 1918년에 태어난 노동 및 여성 인권 운동가인 마들렌 파랑은 원주민 여성과 이주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여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또한 임금 평등을 강력히 옹호하고 소외된 이들의 권리를 위해 싸운 인물이다.[20]
앙주 Anjou 앙주 동명의 몬트리올 지역구로, 1956년부터 2002년까지 퀘벡주의 지방자치단체 개편 이전까지 앙주는 독립된 시이기도 하였다. '앙주'라는 지명은 많은 개척자들이 누벨프랑스로 건너온 프랑스의 옛 주인 앙주를 떠올리게 한다.[20]

장애인 편의시설

[편집]

2017년 1월 현재 파란색 선 중에서 휠체어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역은 스노든역밖에 없으며 오렌지 선과 환승이 가능한 장 탈롱역은 지상층과 개찰구, 오렌지 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2015년에 설치되었지만 파란색 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현재 파란색 선으로 휠체어를 타고 다닐 수 있는 곳이 사실상 없는 편이다.[21]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2022년까지 위니베르시테 드 몽레알, 우트르몽, 장 탈롱역 파란색 승강장 및 디베르빌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계획으로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이 기존 1개에서 5개로 늘어날 전망이다.[21] STM은 또한 장기적으로 2038년까지 모든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계획이기도 하다.[21]

이동통신망

[편집]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캐나다의 4대 주요 이동통신사인 , 로저스, 텔러스, 비데오트롱은 지하철역과 터널 내부에 3G, 4G 및 4G LTE 통신망을 설치하였으며 이에 따라 파란색 선의 모든 역에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다.[22]

각주

[편집]
  1. “파란색 선 연장” (프랑스어).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년 9월 8일에 확인함. 
  2. http://www.bv.transports.gouv.qc.ca/mono/1169439.pdf
  3. “보관된 사본”. 2008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일에 확인함. 
  4. http://www.lapresse.ca/actualites/montreal/201602/05/01-4947482-prolongement-de-la-ligne-bleue-du-metro-deux-fois-plus-cher-que-prevu.php
  5. https://ici.radio-canada.ca/nouvelle/1094026/ligne-bleue-metro-montreal-prolongement-est-financement-quebec-ottawa
  6. https://ici.radio-canada.ca/nouvelle/1153829/montreal-bureau-de-projet-ligne-bleue-metro
  7. https://ici.radio-canada.ca/nouvelle/1153829/montreal-bureau-de-projet-ligne-bleue-metro
  8. “보관된 사본”. 2017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9. 몬트리올시. “rue Snowdon” [스노든가] (영어). 《Ville de Montréal》. 몬트리올. 2025년 9월 5일에 확인함. 
  10. 몬트리올시. “chemin de la Côte-des-Neiges” (영어). 《Ville de Montréal》. 몬트리올.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1. “Station Université-de-Montréal” [위니베르시테 드 몽레알역]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14년 11월 21일.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2. 퀘벡지명위원회. “Rue Édouard-Montpetit” [에두아르 몽프티가]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몬트리올.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3. 퀘벡지명위원회. “Avenue d'Outremont”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4. 퀘벡지명위원회. “Boulevard de l'Acadie”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5. 퀘벡지명위원회. “Avenue du Parc” (ㅡ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6. 퀘벡지명위원회. “Rue De Castelnau Est”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7. 퀘벡지명위원회. “Rue Jean-Talon Ouest”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8. 퀘벡지명위원회. “Rue Fabre”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19. 퀘벡지명위원회. “Rue D'Iberville” (프랑스어).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20. 몬트리올 교통공사. “Toponymie” [지명] (프랑스어).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몬트리올. 2025년 9월 9일에 확인함. 
  21. “보관된 사본”. 2016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일에 확인함. 
  22. “Le métro de Montréal maintenant entièrement branché au réseau mobile” [몬트리올 지하철 통신망 완전 설치] (프랑스어). 《몬트리올 교통공사》. 2020년 12월 3일. 2020년 12월 3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