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파일:창덕궁돈화문내부두공.jp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 (1,000 × 737 픽셀, 파일 크기: 550 K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설명
한국어: 창덕궁돈화문내부두공
날짜 1904년경
date QS:P,+1904-00-00T00:00:00Z/9,P1480,Q5727902
출처 조선고적도보 10권
저자 조선총독부

라이선스

이 사진 저작물은 1910년과 1945년 사이 조선에서 처음 제작되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일본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 다음 각 호에 따라 저작권이 소멸하였습니다.
Public domain
사진대한민국에서 저작재산권 보호기간이 만료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상세).

저작권법(법률 제3916호, 시행 1987.7.1.) 부칙 제2조 제1항 및 구 저작권법(법률 제432호, 시행 1957.1.28.) 제35조 제1항, 제36조, 제37조, 제39조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저작권이 있는 예술 작품을 복제하는 사진과 연구 또는 예술 작품에 삽입되고 해당 작품에 포함할 목적으로만 제작된 사진을 제외하고, 1977년 1월 1일 전에 원화로 발행되거나 제작된 사진과 유사한 형태의 사진저작물 또는 기타 저작물은 저작재산권이 소멸되었습니다.



Notes업로더에게: 출처와 공표 일자를 표기해주십시오. 만약 이 사진이 대한민국에서 공표된 후 30일 이내에 미국에서도 공표되었다면, 저작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에서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이 파일은 삭제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용:허틀 차트를 참고하세요.

English  한국어  +/−

Public domain
이 사진은 1899년 일본 저작권법 제23조와 1970년 저작권법 부칙 제2조에 따라 저작권이 소멸된 퍼블릭 도메인이며,
  1. 1957년 1월 1일 이전에 공표되었거나,
  2. 1947년 1월 1일 이전에 촬영되어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또한 1970년에 일본에서 저작권이 만료되었고,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법에 따라 저작권이 복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에서 또한 퍼블릭 도메인에 속합니다.
Notes
Notes
업로더에게 : 출처와 공표 일자를 표기해주십시오.
  • 만약 이 사진이 일본에서 공표된 후 30일 이내에 미국에서도 공표되었다면, 저작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에서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이 파일은 삭제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용:허틀 차트를 참고하세요.
  • 이 틀을 예술작품을 촬영(복제)한 사진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구 저작권법 제23조에 따르면, 예술작품을 촬영(복제)한 사진은 예술작품과 동일한 보호를 받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용:PD-Art 틀을 사용하려 할 때를 참고하세요.

العربية  čeština  Deutsch  English  español  français  italiano  日本語  한국어  македонски  Bahasa Melayu  português  русский  sicilianu  Tiếng Việt  中文  中文(简体)  中文(繁體)  +/−

이 저작물은 저작자의 사망일 및 소속 관할권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퍼블릭 도메인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PD-North Korea}}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안내: 만약 저작물이 대한민국 밖에서 처음 제작되었다면, 이 라이선스 태그가 아닌 저작물이 제작된 국가별 라이선스 태그를 적용해야 합니다.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0.16666666666666666666

30 밀리미터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1년 4월 7일 (수) 23:352021년 4월 7일 (수) 23:35 판의 섬네일1,000 × 737 (550 KB)SadopaulUploaded a work by 조선총독부 from 조선고적도보 10권 with UploadWizard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