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완과일박쥐
보이기
|
|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진수하강 |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 목: | 박쥐목 |
| 아목: | 음박쥐아목 |
| 과: | 큰박쥐과 |
| 아과: | 큰박쥐아과 |
| 속: | 아세로돈속 |
| 종: | 팔라완과일박쥐 (A. leucotis) |
| 학명 | |
| Acerodon leucotis | |
| (Sanborn, 1950) | |
| 팔라완과일박쥐의 분포 | |
![]() 팔라완과일박쥐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팔라완과일박쥐(Acerodon leucotis)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필리핀 팔라완주와 발라박섬, 부수앙가섬의 숲에서 발견된다.[2]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사냥과 서식지 감소로 개체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1]
특징
[편집]팔라완과일박쥐의 몸길이는 22~25cm이고, 전완장은 13~16.5cm이다.[3] 꼬리는 없다. 털과 날개는 갈색을 띤다. 날개에 연한 반점이 섞여 있기도 한다.[3]
습성 및 생태
[편집]거의 모든 큰박쥐류처럼, 팔라완과일박쥐는 야행성 박쥐이다.[4] 대부분의 근연종들과 달리, 눈에 띄게 큰 무리를 형성하여 생활하지 않는다.[3] 무화과와 같은 과일을 먹는다.[3] 수명은 최소한 5년 정도이다.[1]
보전 상태
[편집]1990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된 이래,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취약종으로 간주하고 있다.[1] 가장 큰 위협은 사냥과 서식지 감소이다. 그리고 남아있는 숲 서식지 대부분이 미래에는 농장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1] 큰 무리를 지어 매달려 지내지 않고 둥지가 눈에 잘 뜨이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보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사 방법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지만 지난 15년동안 개체수의 30%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Acerodon leucotis” (영어).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Simmons, N.B. (2005). 〈Order Chiroptera〉 [박쥐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12–52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Heaney et al. (2010). Acerodon leucotis. Synopsis of Philippine Mammals.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 ↑ Welbergen, Justin. "Brief History of Megachiroptera." 보관됨 2007-11-24 - 웨이백 머신 Department of Zoology. Behavioural Ecology Group. Web. 1 December 2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