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멀라 하이로니미
![]() Pamela Hieronymi | |
---|---|
![]() | |
신상정보
| |
모교 | 프린스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시대 | 현대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 | 분석철학 |
패멀라 하이로니미(영어: Pamela Hieronymi, /haɪˈrɒnɪmi/)는 미국의 철학자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의 철학 교수이다.[1] 주로 도덕심리학 분야의 연구로 알려져 있다.
학력 및 경력
[편집]하이로니미는 1992년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2] 2000년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2000년 7월부터 UCLA에 재직해왔으며, 2007년에는 종신교수직을 얻었다.[2] 하이로니미는 미국 내외에서 폭넓게 연구를 발표해왔다.[2] 또한 공영 라디오 프로그램 철학 토크(Philosophy Talk)에 출연했으며, 기술과 교육에 대한 자신의 견해가 담긴 글을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에 싣기도 했다.[4]
2010년에는 미국 학술단체협의회에서 최근 종신교수 대상에게 수여하는 프레더릭 버크하트 레지덴셜 펠로우십을 받았다.[5]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행동과학 고등연구센터에서 펠로우로 재직했다.[6]
연구
[편집]
하이로니미는 도덕심리학 전문가로서 도덕적 책임과 기능, 이유, 신뢰, 용서, 신념의 자발성에 대해 폭넓게 저술해왔으며, 이러한 연구는 널리 인용되며 영향력을 끼쳐왔다.[7][8][9]
미디어 자문
[편집]하이로니미는 NBC의 시트콤 《굿 플레이스》에서 도덕철학과 윤리학의 자문을 맡았다. 이를 통해 해당 드라마에서 자신의 박사 학위 논문 지도교수였던 하버드대 명예교수 T. M. 스캔런의 연구를 담아낼 수 있도록 힘썼으며, 각본을 담당한 작가진에게 "실존주의와 광차 문제라고 알려진 유명한 사고실험" 등 여러가지 주제에 대한 자문을 제공했다.[10][11] 또한 마지막 회에 정치철학자 토드 메이와 함께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12]
주요 저술
[편집]- “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영어).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42 (1): 3–41. 2014년 4월 25일. doi:10.1111/papa.12024.
- Marshall, Richard (2013년 10월 25일). “forgiveness, blame, reasons…" Interview with Richard Marshall” (영어). 《3:AM Magazine》. 2013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Use of Reasons in Thought (and the use of earmarks in arguments)” (영어). 《Ethics》 124 (1): 114–27. 2013년 10월. doi:10.1086/671402.
- “Don't Confuse Technology With College Teaching” (영어).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2년 8월 13일.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Reasons for Action” (영어).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111 (3): 407–27. 2011. doi:10.1111/j.1467-9264.2011.00316.x.
- “Believing at Will” (영어).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Supplementary Volume》 35: 149–187. 2009. doi:10.1080/00455091.2009.10717647.
- Wallace, R. Jay; Kumar, Rahul; Freeman, Samuel 편집 (2011). 〈Of Metaphysics and Motivation: The Appeal of Contractualism〉 (영어). 《Reasons and Recognition: Essays on the Philosophy of T. M. Scanl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01–128쪽. ISBN 9780199877034.
- O'Brien, Lucy; Soteriou, Matthew 편집 (2009). 〈Two Kinds of Agency〉 (영어). 《Mental Actio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38–62쪽. ISBN 9780191607721.
- “The Reasons of Trust” (영어). 《The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86 (2): 213–36. 2008년 6월. doi:10.1080/00048400801886496.
- “Controlling Attitudes” (영어).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87 (1): 45–74. 2006년 3월. doi:10.1111/j.1468-0114.2006.00247.x.
- “The Wrong Kind of Reason” (영어). 《The Journal of Philosophy》 102 (9): 437–57. 2005년 9월. doi:10.5840/jphil2005102933.
- “The Force and Fairness of Blame” (영어). 《Philosophical Perspectives》 18 (1): 115–48. 2004. doi:10.1111/j.1520-8583.2004.00023.x.
- “Articulating an Uncompromising Forgiveness” (영어).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62 (3): 529–55. 2001년 5월. doi:10.1111/j.1933-1592.2001.tb00073.x..
각주
[편집]- ↑ “UCLA Department of Philosophy Faculty Page” (영어).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24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urriculum Vitae” (영어).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14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Harvard University Placement” (영어). 《Harvard University》. 201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Hieronymi, Pamela (2012년 8월 13일). “Don't Confuse Technology With College Teaching” (영어).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ACLS Frederick Burkhardt Residential Fellows” (영어).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2010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Announcing the 2011-12 CASBS Mellon Fellows” (영어). 《Stanford University》. 2015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Nickel, Philip (2010년 9월). “Voluntary Belief on a Reasonable Basis” (영어).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LXXXI (2): 313. doi:10.1111/j.1933-1592.2010.00380.x.
- ↑ McCleod, Carolyn (Trus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영어).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Chignell, Andrew. 〈The Ethics of Belief〉 (영어).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3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Wolf, Jessica. “How a UCLA philosophy professor helped construct 'The Good Place'” (영어).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21년 4월 6일에 확인함.
- ↑ Anderson, Sam (2018년 10월 4일). “What Makes 'The Good Place' So Good?” (영어). 《The New York Times》.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VanDerWerff, Emily Todd (2020년 1월 31일). “The Good Place was groundbreaking TV. Did its finale measure up?” (영어). 《Vox》. 2020년 2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패멀라 하이로니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