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펙트 블루
![]() | |
---|---|
![]() 극장 개봉 포스터 | |
감독 | 곤 사토시 |
각색 | 무라이 사다유키 |
제작 |
|
원작 | 퍼펙트 블루: 완전변태의 다케우치 요시카즈 |
출연 | |
촬영 | 시라이 히사오 |
편집 | 오가타 하루토시 |
음악 | 이쿠미 마사히로 |
제작사 | 매드하우스 |
배급사 | 렉스 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
시간 | 81분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제작비 | ¥9천만 엔[1] (US$830,442)[2] |
흥행수익 | $810,203[3] €572,669 (이탈리아 재개봉)[4] |
퍼펙트 블루 (パーフェクトブルー)는 1997년에 제작된 일본의 애니메이션 심리 스릴러 영화이다.[5][6] 곤 사토시 감독이 연출했다.[7] 다케우치 요시카즈의 소설 퍼펙트 블루: 완전변태 (パーフェクトブルー:完全変態)를 각색했으며, 무라이 사다유키가 각본을 썼다. 이와오 준코, 마츠모토 리카, 니이야마 시호, 오오쿠라 마사아키, 쓰지 신파치, 후루카와 에미코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줄거리는 아이돌 그룹의 멤버가 은퇴하고 배우로 경력을 전환한 뒤 강박적인 팬의 스토킹 피해자가 되면서 끔찍한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현실 잃기 시작한다.[8] 환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을 다루는데, 이는 곤의 이후 작품들인 천년여우 (2001), 망상대리인 (2004), 그리고 파프리카 (2006)에서 이어지는 주제이다.[9]
줄거리
[편집]키리고에 미마는 J-pop 아이돌 그룹 CHAM!을 떠나 전업 배우가 되기로 결정한다. 그녀의 청순한 이미지 변화에 많은 팬들이 실망하는데, 특히 강박적인 팬인 미마니아는 그녀를 스토킹하기 시작한다. 팬레터를 본 미마는 자신의 일상과 사적인 생각들을 자세히 기록된 "미마의 방"이라는 웹사이트를 발견한다. 미마는 이 사이트에 대해 전직 팝 아이돌이자 매니저인 히다카 루미에게 털어놓지만, 루미는 그녀에게 무시하라고 조언한다.
미마는 TV 탐정 드라마 더블 바인드에서 작은 역할을 맡지만, 소속사 사장인 타도코로는 더블 바인드 제작자들에게 로비를 하여 미마가 더 큰 역할을 맡게 한다. 그러나 새로운 역할은 강간 장면을 촬영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루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마는 그 역할을 받아들이지만, 속으로는 그 장면을 촬영하는 것을 괴로워한다. 더블 바인드를 촬영하는 계속되는 스트레스, CHAM!을 떠난 것에 대한 미련, 그리고 스토킹당하는 것에 대한 편집증 때문에 미마는 자신의 이중생활에 대해 괴로워하고 정신증을 겪기 시작한다. 특히 현실과 연기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진정한 미마"라고 주장하는 자신의 옛 아이돌 모습의 환영에 계속 시달린다.
모두 미마의 연기자 활동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미마는 자신의 옷장에서 자신이 유력한 용의자임을 암시하는 증거를 발견한다. 미마는 점점 정신이 불안정해지고 자신의 기억과 무고함을 의심하게 되는데, 사진작가 무라노가 나체 사진을 찍어달라고 간청한 후 잔인하게 살해했던 것을 막연하게 기억한다. 미마는 더블 바인드 촬영을 마친다. 마지막 장면은 그녀의 캐릭터가 트라우마로 인한 해리성 정체성 장애 때문에 자신의 언니를 죽이고 정체성을 위장했음을 드러낸다. 촬영 스태프가 스튜디오를 떠난 후, "진정한 미마"의 이메일 지시에 따라 미마를 위장자 생각한 미마니아가 미마를 궁지로 몰아넣고 강간하고 살해하려 하지만, 미마는 망치로 그를 때려눕히고 탈출한다. 나중에 미마니아는 미마를 죽이지 못한 대가로 "진정한 미마"에 의해 살해당한다.
루미는 무대 뒤에서 미마를 찾아 그녀를 집으로 데려간다. 미마는 루미의 침실이 자신의 침실과 똑같다는 것을 발견하고 루미가 "미마의 방", 연쇄 살인, 그리고 미마니아를 조종한 도플갱어의 배후임을 깨닫는다. 루미는 미마의 아이돌 업계 은퇴에 불만을 품고 자신의 또 다른 인격인 "진정한 미마"를 발전시켰으며, 이제 그녀의 이미지를 되찾기 위해 미마를 파괴하고 대체하려 한다. 루미는 도시를 통해 미마를 추격하고, 몸싸움 중에 미마는 실수로 거울 조각으로 . 루미는 거리로 비틀거리며 다가오는 트럭의 길로 들어선다. 트럭의 헤드라이트를 무대 조명으로 환각하며, 루미는 피하지 않고 미소 지으며 포즈를 취하지만, 미마는 마지막 순간에 루미를 트럭에게 치이는 것으로부터 구해낸다.
얼마 후, 이제 유명 배우가 된 미마는 정신병원에 있는 루미를 방문한다. 루미의 의사는 루미가 여전히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자신이 아이돌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한다. 미마는 루미와의 경험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말한다. 미마가 병원을 떠나면서, 자신을 알아보는 두 명의 간호사들이 미마 키리고에가 정신병원에 올 이유가 없으므로 닮은 사람일 것이라고 결론 내리는 것을 엿듣는다. 미마가 차에 타면서 백미러로 자신을 보며 미소 지은 후 "아니, 내가 진짜야."라고 선언한다.
출연진
[편집]배역 | 일본어판 성우 | 영어판 성우[10] |
---|---|---|
키리고에 미마 (霧越 未麻, Kirigoe Mima) | 이와오 준코 | 루비 말로우[11] |
루미 (ルミ) | 마츠모토 리카 | 웬디 리[12] |
타도코로 (田所) | 쓰지 신파치 | 길 스타베리 |
우치다 마모루 (메-마니아) (内田 守, Uchida Mamoru) | 오오쿠라 마사아키 | 밥 마르크스[13] |
테지마 (手嶋) | 아키모토 요스케 | – |
시부야 타카오 (渋谷 貴雄, Shibuya Takao) | 시오야 요쿠 | – |
사쿠라기 (桜木) | 호리 히데유키 | 스파키 손턴[14] |
오치아이 에리 (落合 恵理, Ochiai Eri) | 시노하라 에미 | – |
무라노 (村野) | 에바라 마사시 | – |
감독 (監督, Kantoku) | 야나다 키요유키 | – |
야다 (矢田) | 후루사와 토루 | – |
유키코 (雪子) | 후루카와 에미코 | – |
레이 (レイ) | 니이야마 시호 | – |
도이 타다시 (土居 正, Doi Tadashi) | 스야마 아키오 | – |
참 매니저 | – | – |
영어판 성우 목록에는 제임스 라이언, 프랭크 벅, 데이비드 루카스, 엘리엇 레이놀즈, 커밋 비치우드, 샘 스트롱, 캐럴 스탠지오네, 타이 웹, 빌리 레건, 다리 매켄지, 조지 C. 콜, 시드 폰타나, 스벤 노스 가드, 밥 마르크스, 데본 마이클스, 로버트 윅스, 매티 랜도가 특정 역할 없이 크레딧에 나열되어 있다.[15]
분석
[편집]퍼펙트 블루와 곤의 다른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수잔 네이피어 교수는 "퍼펙트 블루는 첫 장면부터 인식, 정체성, 관음증, 그리고 공연—특히 여성과 관련하여—에 대한 집착을 보여준다. 시각적 설정은 현실이 아니며, 특히 심리 드라마가 절정에 달할수록 현실감을 신뢰할 수 없다"고 언급한다.[16] 네이피어는 또한 팝 아이돌과 그들의 공연과 관련된 주제들이 시선과 그들의 역할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미마의 광기는 그녀 자신의 주관성과 그녀의 정체성에 대한 공격에서 비롯된다. 앨프리드 히치콕의 작품과의 연관성은 그녀의 남성 통제자들의 살해로 끊어진다.[16] 오타쿠는 이 영화를 "현대 일본의 소비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묘사한다.[16][Note 1]
제작
[편집]곤 사토시의 첫 감독 데뷔작이다. 당시 매드하우스의 프로듀서였던 마루야마 마사오는 곤의 죠죠의 기묘한 모험 OVA 작업을 높이 평가하고 1994년 가을에 그에게 연출에 관심이 있는지 연락했다.[17][18] 원작자 다케우치 요시카즈가 자신의 소설을 바탕으로 실사 영화를 먼저 계획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디오 영화로, 그리고 다시 비디오 영화 애니메이션으로 계획이 수정되었다.[19][20][21] 곤은 처음 제안을 받았을 때 OVA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퍼펙트 블루를 비디오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으나,[22] 그러다 완성 직전 급하게 영화로 개봉하기로 결정되었다.[23] 이 작품은 원래 좁은 시장을 위한 비디오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의 입소문이 난 후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었다.[22][24][25] 그런 작품이 영화로 취급받고 전 세계 많은 영화제에 초대되어 많은 국가에서 패키지로 출시된 것은 관계자들에게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22][24][25] 심리적 공포는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주류 장르가 아니었고, 당시에는 전례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부되었을 것이다.[19][20][24]
곤이 감독직을 제안받았을 때, 퍼펙트 블루라는 제목과 B급 아이돌과 변태 팬에 대한 이야기가 이미 정해져 있었다.[22][24][25] 그는 원작 소설을 읽지 않았고, 원작과 비슷하다고 알려진 영화 각본만 읽었으며, 최종 영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24][26] 원작에는 극중극이 없었고, 꿈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모티프도 없었다.[26] 초기 줄거리는 아이돌 소녀가 이미지 변화를 용납하지 못하는 변태 팬에게 공격당하는 단순한 스플래터/심리 공포 이야기였고, 피가 튀는 묘사도 많아서 공포나 아이돌을 싫어하는 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20][21][26] 곤은 자신이 자유롭게 계획을 짤 수 있었다면 그런 설정을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26] 해당 장르는 세븐, 원초적 본능, 양들의 침묵 등 다양한 작품에서 이미 다뤄져 과도하게 사용되었으며, 애니메이션이 잘 다루지 못하는 장르이기도 했다.[18][20][24] 해당 장르의 대부분의 작품이 가해자, 살인자가 얼마나 변태적이거나 미쳤는지 추구하기 때문에, 곤은 관객을 속이기 위해 "스토커의 표적이 되어 주인공, 피해자의 내면세계가 어떻게 파괴되는가"에 초점을 맞췄다.[24] 반면에 극중극인 더블 바인드는 단순한 심리 공포라기보다는 패러디에 가깝고, 할리우드 유행을 쉽게 모방하여 만들어지는 일본 드라마를 비판하려는 의도로 만들었다.[24]
곤은 처음으로 연출을 맡는 매력에 이끌려 감독직을 수락하기로 결정했으며, 원작자인 다케우치 요시카즈로부터 주인공은 B급 아이돌, 그녀는 열성 팬(스토커)을 가지고 있으며, 공포 영화라는 세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는 이야기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다.[20][21][26] 곤은 아이돌이라는 독특한 일본적 존재, 그들을 둘러싼 오타쿠 팬들, 그리고 더욱 과격해진 스토커 등 원작에서 몇 가지 요소를 가져와서 각본가 무라이 사다유키와 함께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내놓았다.[18][20][21] 영화의 핵심 모티프를 찾기 위해[18][20][21] 곤은 자신이 각본을 썼던 단편 영화 메모리즈의 단편 '마그네틱 로즈'와 중단된 만화 '오푸스'를 바탕으로 "꿈과 현실", "기억과 사실", "자기 자신과 타인"처럼 "경계선"이 있어야 할 두 가지가 경계 없이 뒤섞이는 모티프를 생각해냈다.[24][25] 줄거리의 "기억과 사실"이라는 개념은 히라사와 스스무의 앨범 Sim City에서 영감을 받았다.[27] 그는 "이 앨범은 어떤 진화 과정도 없이 높은 현대성을 가지고 갑자기 만들어진 도시와 같다"고 말했다.[27] 그동안 그는 "주인공인 '나'보다 '나'에게 더 가까운 인물이 '나'의 주변 사람들에게 '나'의 인물보다 더 '나'답게 인터넷에 '나'도 모르게 만들어진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18][20][21] 그 캐릭터는 주인공에게는 "과거의 나"이며, 인터넷에만 존재했어야 할 이 "다른 나"는 외부 요인(주인공이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팬들의 의식)과 내부 요인(주인공의 과거가 더 편했을지도 모른다는 후회)으로 인해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그 캐릭터와 주인공 자신이 대치하는 구성이 떠올랐다.[20][21] 그때서야 그는 이 작품이 자신의 영상 작품으로 성립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20][21] 곤은 위 원작 이야기를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나 자신을 노리는 스토커에 의해 무너져가는 아이돌 소녀에 대한 이야기로 해석하기로 결정하고, 무라이 사다유키와 함께 완전히 새로운 각본을 썼다.[20][21] 처음에는 무라이가 각본의 초고를 썼고, 곤은 그 위에 아이디어를 추가하거나 삭제했다. 그들은 많은 시간을 논의했고, 많은 아이디어가 거기서 나왔다.[21] 다음으로 곤은 모든 스토리보드를 그렸고, 그곳에서 대사와 다른 요소들도 변경했다.[18][21] 그림 작업도 병행하여 진행되었다.[18]
영화가 완성되기 전에 퍼펙트 블루의 비디오그램 및 텔레비전 권리를 구매한 회사는 배급사에 해외에서 먼저 개봉할 수 있도록 캐나다 몬트리올의 판타지아 영화제에 영화를 출품할 것을 제안했다.[23] 첫 영화였기 때문에 곤 감독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기대문에 배급사는 이 영화를 해외에서 이미 히트한 아키라의 창작자 오오토모 카츠히로의 제자가 만든 첫 감독 데뷔작으로 소개했다.[23] 오오토모는 기획 협력자로 등재되어 있지만, 그는 곤에게 영화 감독을 의뢰하도록 회사를 주선하지도 않았고, 영화 제작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오토모는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홍보할 때 원작자에게 애니메이션 산업의 상황에 대해 조언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0][21] 판타지아 영화제에서 너무나 좋은 반응을 얻어, 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서둘러 두 번째 상영이 마련되었고, 결국 관객들로부터 최고의 국제 영화로 선정되었다.[28] 이러한 찬사는 배급사에게 독일,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을 포함한 50개 이상의 영화제로부터 초청을 받았다.[28] 배급사는 여러 유럽 국가의 배급사들과 협상하기 시작했고, 결국 일본 개봉에 앞서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 독일어 사용 국가와 같은 주요 시장에서 영화를 판매하는 데 성공했다.[28] 배급사는 영화 제작자 로저 코먼과 어빈 커슈너로부터 전 세계적으로 영화를 추천하는 데 그들의 코멘트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허가를 성공적으로 얻었다. 그 결과, 그들의 코멘트는 국제 극장 전단지와 전 세계 홍보에 사용되었다.
감독 대런 애러노프스키는 퍼펙트 블루의 리메이크 판권을 구매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2001년 한 잡지에서 곤과 인터뷰했을 때 여러 이유로 구매를 포기해야 했다고 밝혔다.[19][29] 영화 레퀴엠은 퍼펙트 블루의 일부 앵글과 숏을 오마주했다.[19][29]
개봉 일정
[편집]퍼펙트 블루는 1997년 8월 5일 캐나다 몬트리올의 판타지아 영화제에서 시사회를 가졌고,[30] 일본에서는 1998년 2월 28일에 정식 개봉했다.[31]
앵커 베이 엔터테인먼트에서 2005년 12월 6일에 UMD로도 출시되었다.[32] 이 버전은 와이드스크린으로 영화를 제공하며, PSP의 16:9 화면에 검은색 바 안에 영화가 유지되었다. 이 출시판에는 특별 기능이 없으며 영어 오디오 트랙만 포함되어 있다. 2013년 애니메 리미티드에서 지역 B 블루레이 및 DVD로 출시되었다.[33][34] 미국에서는 퍼펙트 블루가 앙코르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 방영되었고, 2007년 12월 10일 Syfy에서 아니-먼데이 블록의 일부로 방영되었다. 호주에서는 퍼펙트 블루가 2008년 4월 12일 SBS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 방영되었고, 이전에는 2007년 중반경 비슷한 시간대에 방영되었다.
2018년 9월 6일과 10일에 GKIDS에 의해 미국에서 극장 재개봉되었으며, 영어 더빙과 자막 상영이 모두 포함되었다.[35] GKIDS와 샤우트! 팩토리는 2019년 3월 26일에 북미에서 블루레이 디스크로 이 영화를 출시했다.[36] 2025년 핀란드에서 광범위한 극장 개봉을 할 예정이다.[37] GKIDS는 2025년 10월 3일 미국 극장에서 4K 복원판을 상영할 예정이다.[38][39]
평가와 유산
[편집]영화제에서 비평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1997년 몬트리올 판타지아 영화제와 포르투갈 판타스포르투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미국 극장 개봉 시 비평가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40] 2024년 06월 기준[update], 55개의 평론을 기반으로 로튼 토마토에서 84%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7.4/10이다. 합의된 의견은 "퍼펙트 블루는 과도한 스타일이지만, 핵심 미스터리는 항상 흥미롭고 시각적 연극도 그렇다"고 밝혔다.[41] 메타크리틱에서는 17개의 평론을 기반으로 67점을 받아 "대체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42] 타임은 이 영화를 톱 5 애니메이션 영화 목록에 포함시켰고,[43] 토털 필름은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목록에서 25위에 올렸으며,[44] 슬래시필름은 이 영화를 역대 가장 무서운 애니메이션 영화로 선정했다.[45] 또한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1991년부터 2011년까지 가장 놓치지 말아야 할 영화 목록에도 올랐다.[46] 2022년, 인디와이어는 퍼펙트 블루를 1990년대 최고의 영화 12위로 선정했다.[47]
버라이어티의 데니스 하비는 이 영화가 "결국 중간 정도의 긴장감과 미숙한 시나리오로 실망스럽지만, 장르에 다른 시도를 함으로써 여전히 시선을 사로잡는다"고 썼다.[5] 슬래시필름의 호아이-트란 부이는 퍼펙트 블루를 "육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매우 폭력적"이라고 부르며, "당신에게 깊은 심리적 상처를 남기고, 오랫동안 샤워하고 싶다는 느낌을 줄 것이다"라고 썼다.[45]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밥 그레이엄은 이 영화가 "스릴러, 미디어 매혹, 심리적 통찰, 대중문화를 모두 뒤집어 놓는" 능력과 "젊은 십대들의 천국처럼 보이는 것에 대한 성숙한 시각"을 지녔다고 언급했다.[48]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의 평론가 팀 헨더슨은 이 영화를 "어둡고 세련된 심리 스릴러"로 묘사하며, "초기 인터넷 문화를 통해 걸러진 지나친 집착"의 효과와 "단 10년 만에 유명인 팬덤이 얼마나 진화했는지 상기시키는" 효과를 낳는다고 평했다.[49] 2019년 GKIDS 블루레이 출시판을 평론하면서, Blu-ray.com의 닐 럼바드는 퍼펙트 블루를 "역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중 하나"이자 "더 복잡한 애니메이션 영화들이 뒤따르는 길을 닦는 데 도움이 된 반드시 봐야 할 걸작"이라고 선언했고,[50] 더 팬덤 포스트의 크리스 베버리지는 "자주 볼 수 있는 영화도 아니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되지만, 이 영화에 몰입하면 다른 모든 것을 제쳐두고 불을 끄고 훌륭한 영화 제작의 한 조각을 음미하게 된다"고 언급했다.[51]
미국 공연가 마돈나는 2001년 드라운드 월드 투어 동안 자신의 노래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 리믹스에 퍼펙트 블루 클립을 비디오 간주곡으로 사용했다.[52][53]
미국 영화 제작자 대런 애러노프스키는 2010년 자신의 영화 블랙 스완에서 유사점을 인정했지만, 블랙 스완이 퍼펙트 블루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것을 부인했다. 그의 이전 영화 레퀴엠에는 퍼펙트 블루의 욕조 장면을 오마주한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54] 곤의 블로그 게시물에는 애러노프스키의 영화 레퀴엠이 곤이 2010년에 본 영화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55] 또한 곤은 2001년에 애러노프스키와의 만남에 대해 블로그에 글을 올렸다.[56]
기타 미디어
[편집]세븐 시즈 엔터테인먼트는 1991년 소설 『퍼펙트 블루: 완전변태』와 1995년 앤솔로지(현재 제목으로 2002년 재발행) 『퍼펙트 블루: 꿈에서 깨어나』의 영어 출판권을 2017년 4월에 획득했다. 이들은 번역된 소설들을 각각 2017년 12월과 2018년 4월에 출시했다.[57]
음악
[편집]- 엔딩곡
- season(노래:M-VOICE/작사:小竹正人/작곡・편곡:PIPELINE PROJECT)
- 삽입곡
- 愛の天使→사랑의 천사 (노래:MISA, 후루카와 에미코, 시미즈 미에/작사:이마이 아키코/작곡・편곡:이쿠미 마사히로)
- 一人でも平気→혼자라도 괜찮아 (노래:후루카와 에미코, 시미즈 미에/작사:무츠미 스미요/작곡:미츠이 마코토/편곡:이쿠미 마사히로)
- 想い出に抱かれて今は→추억에 잠겨 지금은 (노래:MISA/작사・작곡:This Time/편곡:이쿠미 마사히로)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 ↑ 인용구에 대한 참고 자료는 네이피어가 제공한 것으로: Jay, "Satoshi Kon", Otaku (May/June 2003):22
각주
[편집]- ↑ “퍼펙트 블루 전사 1 발단”. 2019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공식 환율 (LCU당 US$, 기간 평균)”. 《세계은행》. 1998. 2019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퍼펙트 블루 (1999) – 재정 정보”. 《더 넘버스》. 2018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유인원 행성 왕국이 1위로 시작 - 5월 8일 수요일 박스오피스”. 2024년 5월 9일.
- ↑ 가 나 하비, 데니스 (1999년 10월 31일). “영화 평론: "퍼펙트 블루"”. 《버라이어티》. 2020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채프먼, 폴 (2018년 8월 9일). “곤 사토시의 심리 스릴러 "퍼펙트 블루"가 미국 극장으로 향한다”. 크런치롤. 2019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크로우, 조나단. “퍼펙트 블루”. 올무비. 2019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익스트림 시네마: 역대 가장 충격적인 공포 영화 40편 – PHASR
- ↑ “곤 사토시, 애니메이션의 꿈 직조자”. 《워싱턴 포스트》. 2007년 6월 15일. 2017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패튼, 프레드 (2005). 벡, 제리 (편집). 《애니메이션 영화 가이드》. 시카고 리뷰 프레스. 190쪽. ISBN 978-1-56976-222-6.
- ↑ 《영어판 미마와의 인터뷰》 (DVD). 망가 엔터테인먼트. 2000.
- ↑ 《영어판 루미와의 인터뷰》 (DVD). 망가 엔터테인먼트. 2000.
- ↑ 《메마니아 씨와의 인터뷰》 (DVD). 망가 엔터테인먼트. 2000.
- ↑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kirkthornton.com》. 2017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일에 확인함.
- ↑ 《완벽한 푸른 날》 (DVD). 망가 엔터테인먼트. 2000. – 엔딩 크레딧
- ↑ 가 나 다 네이피어, 수잔 J. (2006). 〈'죄송합니다, 당신은 누구신가요?': 곤 사토시 작품 속 공연, 시선, 그리고 여성〉. 브라운, 스티븐 T. (편집). 《시네마 아니메: 일본 애니메이션과의 비판적 만남》. 영국 런던: 팰그레이브 맥밀런. ISBN 978-1-4039-8308-4. 2020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인터뷰 02 2002년 12월 이탈리아에서 주로 '천년여우'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인터뷰 04 1998년 1월 독일에서 '퍼펙트 블루'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일본 애니메이션 대가 곤 사토시를 애도하다” (영어). 《가디언》. 2010년 8월 2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인터뷰 05 1998년 2월 미국에서 '퍼펙트 블루'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인터뷰 09 1999년 12월 미국에서 '퍼펙트 블루'에 관한 인터뷰 (특전 포함)”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인터뷰 01 2002년 12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주로 '천년여우'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2월 4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사이코 스릴러 애니메이션 '퍼펙트 블루'가 전 세계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보여진 것은 '해외 판매 초보자' 덕분!? (1/2)” (일본어). 《뱅거!!!》. 주피터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2019년 2월 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인터뷰 06 1998년 3월 프랑스에서 '퍼펙트 블루'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인터뷰 07 2004년 6월 미국에서 감독 작품 전반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인터뷰 10 2001년 11월 미국에서와 2002년 4월 이탈리아에서 두 인터뷰의 합성 (미발표)”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곤 사토시 서거 10주년] 작곡가 히라사와 스스무, 곤 사토시와 그의 애니메이션 음악에 대해 이야기하다” (중국어 (대만)). 《애드뮤직 매거진》. 2020년 8월 24일. 202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로저 코먼 감독이 반한 '퍼펙트 블루', 미나미아사가야 책상 위에서 베를린 영화제까지! (2/2)” (일본어). 《뱅거!!!》. 주피터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2019년 2월 10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인터뷰 12 2001년 7월 캐나다에서 주로 '천년여우'에 관한 인터뷰” (일본어). 《곤즈 톤》. 이마 사토시. 2007년 3월 16일. 2021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퍼펙트 블루” (PDF). 판타지아 영화제. 64쪽. 2019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6일에 확인함.
- ↑ 곤, 사토시 (2015년 8월 5일). 《곤 사토시의 예술》. 뉴욕시: 다크 호스 코믹스. 124쪽.
- ↑ “PSP 퍼펙트 블루”. 2006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우르타도, 조쉬 (2014년 3월 2일). “현재 블루레이 출시: 퍼펙트 블루, 애니메 리미티드(영국)의 많은 관심 받다”. 《스크린 아나키》.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오닐, 펠림 (2013년 11월 23일). “퍼펙트 블루, 이번 주 DVD 및 블루레이 출시”. 《가디언》.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마테오, 알렉스 (2018년 8월 3일). “판당고, 미국에서 퍼펙트 블루 영화 패덤 이벤트 상영 목록 공개”.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18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3일에 확인함.
- ↑ “퍼펙트 블루 블루레이”. 《Blu-ray.com》. 2018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컬트 애니메이션 퍼펙트 블루가 마침내 핀란드 극장에 온다” (핀란드어). 《헬싱긴 사노마트》. 2025년 7월 24일. 2025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피네다, 라파엘 안토니오 (2025년 8월 23일). “GKIDS, 곤 사토시의 퍼펙트 블루 영화 4K 복원판을 10월 3일 미국에서 상영”.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25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타이, 아니타 (2025년 9월 10일). “GKIDS, 퍼펙트 블루 복원판 4K 예고편 공개”.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25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퍼펙트 블루”. 애니메리카. 2000년 4월 7일. 2004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퍼펙트 블루”. 《로튼 토마토》.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판당고 미디어. 2019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퍼펙트 블루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 레드 벤처스 컴퍼니. 2022년 9월 9일에 확인함.
- ↑ “DVD로 만나는 톱 5 애니메이션 영화”. 《타임》. 2005년 7월 31일. 2008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키니어, 사이먼. “위대한 애니메이션 영화 50선”. 《토털 필름》. 2014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호아이-트란 부이 (2018년 10월 26일). “역대 가장 무서운 애니메이션 영화 13편 순위”. 슬래시필름. 2018년 1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50 최고의 영화, 아직 보지 못했을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2012년 7월 16일. 2012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일에 확인함.
- ↑ 콘, 에릭; 얼리히, 데이비드; 얼블랜드, 케이트 (2022년 8월 15일). “90년대 최고의 영화 100편” (영어). 《인디와이어》. 2022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그레이엄, 밥 (1999년 10월 15일). “애니메이션 블루는 초현실적인 반전을 가지고 있다 / 일본 영화는 대중문화를 자세히 조사한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2021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헨더슨, 팀 (2010년 8월 12일). “퍼펙트 블루 평점”.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17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럼바드, 닐 (2020년 10월 23일). “Blu-ray.com 평론가: 퍼펙트 블루”. 《Blu-Ray.com》. 2021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베버리지, 크리스 (2021년 1월 15일). “퍼펙트 블루 블루레이 애니메이션 리뷰”. 《더 팬덤 포스트》. 2021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Clements & McCarthy 2012 – 항목: 우로츠키도지
- ↑ 신케마니, 살 (2001년 9월 10일). “마돈나: 드라운드 월드 투어 리뷰”. 《슬랜트 매거진》. 2007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9일에 확인함.
카우걸 이미지가 현재까지 그녀의 가장 덜 중요한 모습이긴 하지만, 드라운드 월드는 마돈나가 문화적 아이코노그래피를 주류로 끌어올리는 능력에서 여전히 비할 데 없음을 증명한다. 게이샤 사이클은 하드 테크노 비트와 획기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퍼펙트 블루에서 가져온 폭력적인 이미지로 에필로그된다. 이야기의 주인공 미마는 과거의 유령에 시달리는 전직 팝스타로, 배우가 되기를 꿈꾸지만 성공을 찾기 위해 포르노 활동을 하게 된다.
- ↑ 데니, 알렉스 (2015년 8월 27일). “대런 애러노프스키에게 영감을 준 컬트 일본 영화 제작자”. 《데이즈드》. 2018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타카하시 카시코 (2011년 6월 22일). “곤즈 소식 "곤즈 소식» 블로그 아카이브" 잡식 일지 2000 – KON'S TONE”. 곤스톤. 2012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4일에 확인함.
- ↑ “대 달렌”. 2001년 1월 23일. 201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레슬러, 카렌 (2017년 4월 10일). “세븐 시즈, 다케우치 요시카즈의 오리지널 퍼펙트 블루 소설 판권 획득”.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2019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서적 자료
- 클레멘츠, 조나단; 매카시, 헬렌 (2012). 《애니메이션 백과사전, 개정 및 증보판: 1917년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가이드》. 스톤 브릿지 프레스. 867쪽. ISBN 978-1-61172-515-5.
외부 링크
[편집]- 공식 망가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 웨이백 머신 (보관됨 3월 9, 2012)
- 공식 제네온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일본어)
- 공식 매드하우스 애니메이션 웹사이트 (일본어)
- 공식 렉스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 웨이백 머신 (보관됨 2월 25, 1999) (일본어)
- (영어) 퍼펙트 블루 (애니메이션) - 애니메 뉴스 네트워크
- (영어) 퍼펙트 블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퍼펙트 블루 – 로튼 토마토
- (영어) 퍼펙트 블루 - 박스 오피스 모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