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리수
파인애플 소를 넣은 페이스트리 펑리수 | |
| 다른 이름 | Fengli Su,[1] 파인애플 쇼트케이크, 파인애플 페이스트리 |
|---|---|
| 코스 | 후식 |
| 원산지 | 중화민국 |
| 지역 또는 주 | 동아시아 |
| 관련 요리 | 대만 요리 |
| 주요 재료 | 페이스트리 (버터, 달걀 노른자, 설탕), 파인애플 잼 |
| 450 kcal (1,900 kJ) | |
| 기타 정보 | 파인애플 타르트 |

펑리수(중국어 간체자: 凤梨酥, 정체자: 鳳梨酥, 병음: fènglísū, 백화자: ông-lâi-so͘, 한국 한자음: 봉리소) 또는 옹라이소(중국어 정체자: 王梨酥, 백화자: ông-lâi-so͘, 한국 한자음: 왕리수)는 버터, 밀가루, 달걀, 설탕과 파인애플 잼 또는 슬라이스를 넣어 만든 타이완의 달콤한 전통 페이스트리이자 후식이다.
기원과 상징
[편집]대만의 전통 결혼에서, 결혼 케이크는 여섯 가지 의식을 상징하는 여섯 가지 맛을 갖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파인애플이다. 대만어로 파인애플을 의미하는 옹라이(중국어 정체자: 王梨, 백화자: ông-lâi, 한국 한자음: 왕리)는 단계를 의미하는 옹라이(중국어 정체자: 旺來, 백화자: ōng-lâi, 한국 한자음: 왕래)와 발음이 거의 유사하다. 이는 '번영하다'라는 의미를 곧 가지고 있는데, 또한 '다산'의 의미도 가지고 있어, 이를 선물하는 것은 많은 자녀가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달하는 의미가 있어,[1] 약혼 선물로 많이 주어졌다. 또한, 파인애플은 조상숭배를 위해 바치는 공물 중 하나기도 하다. 오늘날 펑리수는 대만의 요리 상징 중 하나로도 여겨진다.[2]
역사
[편집]파인애플 케이크와 파인애플 타르트는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파인애플이 포르투갈 상인들에 의해 이 지역에 소개된 16세기경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3] 이 무렵 포르투갈은 말라카, 싱가포르 및 대만 같은 지역에 주둔지를 만들었고, 당시에는 이 섬을 '포르모사'라는 이름으로 불렀다.[4]

일본 식민지 시대 동안 파인애플은 대만 경제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기업가들은 다양한 파인애플 품종을 들여오고 수많은 가공 공장을 설립했다.[5]
1930년대 후반 대만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파인애플 수출국이 되었다.[5] 하지만 1970~80년대 생산 비용 상승과 동남아 국가들의 저가 경쟁으로 인해 파인애플 수출에 큰 타격을 입었다. 이에 정부는 파인애플을 국내소비용으로 전환하고 고부가가치 가공산업을 육성하도록 지원함에 따라 파인애플 가공산업이 활성화되었고, 펑리수는 전통 월병을 뛰어넘는 인기 간식으로 자리잡았다.[6] 펑리수는 역사적으로 의식용 음식으로 생산되었지만, 현재와 같이 대중화되기까지 정부의 홍보와 세계화가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펑리수는 대만을 방문할때 꼭 한번 먹어봐야할 가장 잘 팔리는 관광상품이 되었다.[7]
2005년부터 타이베이 시정부는 지역 관광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펑리수 판매를 장려하기 위해 타이베이 펑리수 문화 축제를 개최했다.[8][9] 2013년, 대만의 펑리수 수입은 400억 대만 달러(12억 미국 달러)에 달했으며, 펑리수는 국내 시골 지역의 농업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10][6]
종류
[편집]현대의 펑리수 전문점들은 전통적인 펑리수에 다양한 변형을 만들어왔다. 속으로 달걀 노른자나 넌출월귤이나 딸기와 같은 다른 말린 과일을 넣기도 한다.[11] 일부 전문점은 펑리수에 들어갈 잼을 만들 때 파인애플 대신에 저렴한 동과를 사용하거나 파인애플 잼에 섞어 넣기도 하는데, 순수 파인애플로 만든 펑리수를 더 고급으로 여긴다.[10]
매년 타이베이 펑리수 문화 축제에서는 쌀이나 대만 차와 같은 독특한 재료를 사용하여 펑리수를 만드는 경연 대회가 열리기도 한다.[8][9]
제조
[편집]
전통적인 형태의 펑리수는 겉의 빵을 만들때 라드를 사용했지만, 오늘날에는 버터가 더 흔하게 사용된다. 속은 주로 동과를 섞은 파인애플로 만들어진다.[12] 최근에는 많은 전문점이 파인애플만을 사용하여 속을 만들고 있다. 비록 그 맛이 동과를 섞은 것 만큼 밀도 있고 부드럽지는 않지만, 순수한 파인애플 속의 독특하고 풍부한 과일 맛과 달콤하고 시큼한 맛은 동과 속과는 비교할 수 없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chwankert, Steven (2015년 1월 17일). “Before and After (Taiwanese): Beyond Taipei's Night Market Snacks”. 《The Beijinger》. 2016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Hiufu Wong, Maggie (2015년 7월 24일). “40 of the best Taiwanese foods and drinks”. 《CNN》. CNN. 2020년 4월 8일에 확인함.
- ↑ Andrea Nguyen (2011). 《Asian Dumplings: Mastering Gyoza, Spring Rolls, Samosas, and More》. Potter/Ten Speed/Harmony/Rodale. 195쪽. ISBN 978-16-077-4092-6.
- ↑ Sujuan, Zhan (2012년 5월 22일). “The Taiwan Encyclopedia”. Council for Cultural Affairs. 2012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Taiw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1960년 11월 1일). “Taiwan's Growing Pineapple Industry - Taiwan Today” (영어). 《Taiwan Today》.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Pineapple cakes boost Taiwan's rural industries”. 《www.fftc.agnet.org》. 2019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The Who's Who of Taiwan's Pineapple Cake Industry” (영어). 《City543》.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黃紫緹 (2014년 7월 4일). “Pineapple Cake Festival to Take Place Next Weekend” (영어). 《tcgwww.taipei.gov.tw》.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黃紫緹 (2011년 8월 18일). “Pineapple Cake Fiesta Kicks off in Taipei” (영어). 《english.gov.taipei》.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Pineapple Cake Chronicles - Taiwan Business TOPICS” (미국 영어). 《Taiwan Business TOPICS》. 2016년 1월 29일.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Pineapple cake festival opens in Taipei - Taipei Times”. 《www.taipeitimes.com》. 2012년 8월 25일. 2017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鳳梨酥的前世與今生 - 臺北鳳梨酥文化節 | Taipei Pineapple Cake Cultural Festival”. 2015년 5월 23일. 2015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펑리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