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과: 주걱박쥐과
아과: 스테노데르마아과
속: 노랑어깨박쥐속
종: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
(S. nana)
학명
Sturnira nana
Gardner & O'Neill, 1971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의 분포 지역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 또는 작은노랑어깨박쥐(Sturnira nana)는 주걱박쥐과(신세계잎코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페루에콰도르의 토착종이다. 서식지 감소로 위협을 받고 있다.

분류학 및 어원

[편집]

1970년에 수집된 한 점의 표본에 기초하여 1971년에 기술되었다.[2] 노랑어깨박쥐의 일종이다. 페루남부노랑어깨박쥐의 계통은 바이덴테이트노랑어깨박쥐(S. bidens)를 제외하고, 노랑어깨박쥐속의 다른 종들의 기저 분류에 속한다. 노랑어깨박쥐속의 기저 계통 분류군(S. nana, S. bidens, S. aratathomasi)은 마이오세 후기(520~810만년 전) 동안에 노랑어깨박쥐속의 다른 종들로부터 분기되었다. 그래서 초기에는 코르비라 아속(Corvira)으로 분류되었고, 이 분류 등급은 현재 노랑어깨박쥐속의의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다.[3] 종소명 "나나(nana)"는 "난쟁이"를 뜻하는 라틴어 "나나(nāna)"에서 유래했다. 사실상 노랑어깨박쥐속 중에서 가장 작은 종으로 초기 기술에서 여러번 언급되었다.[2]

특징

[편집]

노랑어깨박쥐속에서 가장 작은 박쥐로,[3] 전완장이 34.2~35.7mm이다. 꼬리 길이는 약 51mm, 뒷발 길이는 10mm, 귀는 13mm이다. 바이덴테이트노랑어깨박쥐처럼, 협골궁이 두껍거나 불완전한 형태를 띤다. 등의 털은 진한 회색빛 갈색인 반면에 배 쪽은 연한 색을 띤다.[4] 각각의 털은 4가지 색의 띠가 있는 데, 바닥부터 털 끝까지 흰색과 갈색, 연한 은빛 갈색 그리고 다시 갈색을 띤다. 배 쪽은 마지막의 갈색 띠가 없다. 앞팔은 등 쪽 표면에 털이 덮여 있다. 노랑어깨박쥐속의 다른 종에서 발견되는 어깨의 분비선이 없다. 잎코는 길고 좁다.[2]

분포 및 서식지

[편집]

모식산지는 페루 아야쿠초 주이다.[2] 2011년 보고서에서 2009년 4월 에콰도르 남부에서 9마리의 개체가 포획되었다는 인용이 발표되기 전에는 페루 밖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다.[5] 해발 1430~1670m 높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지금까지는 안데스 산맥 동부 가장자리를 따라서만 발견되고 있다. 서식지에 낮은 고도의 산지림과 개간지 가장자리가 포함된다.[1]

보전 상태

[편집]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종이 서식하는 면적이 500km2보다 작고, 서식지가 겨우 두 곳에 불과하며 극심한 서식지 감소를 겪고 있으며, 분포 지역이 심각하게 파편화되고 있기 때문에 멸종위기종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1] 2013년 국제 박쥐 보존 연맹이 전 세계 우선 보존 목록 35종의 하나로 이 종을 지정했다.[6]

각주

[편집]
  1. Solari, S.; Boada, C. (2016). “Sturnira nan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0958A22050195. 201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2. Gardner, A. L.; O'Neill, J. P. (1971). “A new species of Sturnira (Chiroptera: Phyllostomidae) from Peru” (PDF). 《Occasional Papers of the Museum of Zoology》 42. 
  3. Velazco, P. M.; Patterson, B. D. (2013). “Diversification of the yellow-shouldered bats, genus Sturnira (Chiroptera, Phyllostomidae), in the New World tropic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8 (3): 683–698. 
  4. Eisenberg, J. F.; Redford, K. H. (2000). 《Mammals of the Neotropics》. Volume 3: Ecuador, Bolivia, Braz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9쪽. 
  5. Boada Terán, C. (2011). 〈Mamíferos de los Tepuyes de la Cuenca Alta del Río Nangaritza, Cordillera del Cóndor. Programa de Evaluación Rápida〉 (보고서). Guayasamin, J.M.; Bonaccorso, E. (편집). Evaluación Ecológica Rápida de la Biodiversidad de los Tepuyes de la Cuenca Alta del Río Nangaritza, Cordillera del Cóndor, Ecuador (PDF). Conservación Internacional. 76–86쪽. 
  6. “Annual Report 2013-2014” (PDF). 《batcon.org》.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ugust 2014. 2017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