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시스트라토스
페이시스트라토스
| |
---|---|
![]() | |
아테네의 참주 | |
후임 | 히피아스 |
신상정보 | |
출생일 | c. 기원전 600년[1] |
페이시스트라토스(고대 그리스어: Πεισίστρατος; 기원전 600년c. – 기원전 527년)는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로, 기원전 560년대 후반, 기원전 550년대 초반, 그리고 기원전 546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참주로 통치했다. 아테네를 포함하는 그리스의 삼각형 반도인 아티키를 통일하고 경제 및 문화적 개선을 이루어 나중에 아테네가 고대 그리스에서 우위를 차지할 기반을 마련했다.[2][3] 그의 유산은 주로 기원전 566년으로 역사적으로 지정된 파나텐 축제를 제정하고, 그에 따라 호메로스 서사시의 결정판을 제작하려는 첫 시도에 있다.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의 하층민을 옹호한 것은 포퓰리즘의 초기 사례이다.[4] 권력을 잡는 동안 그는 주저하지 않고 귀족과 대립하여 그들의 특권을 크게 줄이고, 그들의 토지를 몰수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경제를 개선하고 아테네 사람들에게 부를 더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많은 종교 및 예술 프로그램을 후원했다.[5]
페이시스트라티다이는 기원전 546년부터 510년까지 아테네를 통치한 세 명의 참주를 일컫는 일반적인 가족 또는 씨족 이름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의 두 아들인 히파르코스 및 히피아스를 지칭한다.
배경
[편집]고대 그리스 정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에는 군주제였다.[6] 7세기와 6세기에는 폴리스가 발전함에 따라 부, 토지, 종교적 또는 정치적 직책을 축적한 귀족 가문들이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가문들은 전설적인 또는 신화적인 창시자/왕(예: 헤라클레스) 또는 트로이 전쟁에 참여한 조상에게로 혈통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7][8] 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아테네의 저명한 귀족 가문으로는 페이시스트라티다이, 필라이다이, 그리고 알크마이오니다이가 있었다.[9] 페이시스트라티다이 가문은 필로스의 넬레우스에게로 혈통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는 트로이 전쟁에서 싸운 호메로스 영웅 네스토르의 아버지이다.[1]
두 번째 씨족인 알크마이오니다이는 그들의 이름인 알크마이온의 생애 동안 기원전 6세기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그의 아들인 메가클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 기간 중 여러 시점에서 그를 반대하기도 하고 지지하기도 했다.[10][7] 귀족 가문들 간의 내분과 질서 유지 불능으로 인해, 참주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불만을 이용하여 권력을 장악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었다.[11][6] 고대 시대, 특히 그리스 고졸기에는 참주가 현대적 의미의 정의로 여겨지지 않고, 주로 무력 사용을 통해 비헌법적으로 권력을 얻거나 그러한 권력을 상속받은 통치자를 의미했다.[12] 아테네 참주의 첫 기록된 사례로, 헤로도토스는 고대 올림픽 챔피언인 킬론이 기원전 636년 또는 632년에 지지자들을 모아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여 권력을 장악하려 했던 이야기를 언급한다. 그의 시도는 실패했고, 반대되는 확신에도 불구하고 킬론과 그의 지지자들은 알크마이오니다이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알크마이오니다이의 저주를 초래했다.[13]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의 어머니를 통해 혈연관계에 있는 솔론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입법자로, 기원전 6세기 초에 아테네의 사회 계급 체계를 재구성하고 드라콘이 제정한 법전을 개혁했다. 그의 많은 개혁 중 솔론은 주로 가난한 아테네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채무 노예 제도를 폐지하여, 다수를 차지했던 시민국가의 서민(데모스)에게 고통을 덜어주고 내전을 막을 수 있는 양보를 집단적으로 제공했다.[14]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나중에 권력을 잡게 된 것은 이러한 유권자들을 구성하는 많은 가난한 사람들의 지지에 힘입은 것이었다.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편집]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티키 동부 브라우론 근처 필라이다이 데메 출신이다.[1]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그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608년 또는 604년에 올림픽 경기에 참석했으며, 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동안 킬론이라는 라케다이몬인이 목격한 바에 따르면 고기가 불 없이 삶아졌다고 한다. 이 징조의 결과로 킬론은 히포크라테스에게 아내에게서 아이를 낳을 수 있다면 그녀를 보내고, 아들이 있다면 그를 부인하라고 권했다. 히포크라테스는 킬론의 조언을 따르지 않았고, 나중에 페이시스트라토스라는 아들을 낳았다.[13]
원래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565년경 인근 메가라 도시 국가의 니사이아 (또는 니시아) 항구를 점령한 아테네 장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5][13] 이 승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아테네의 식량 부족에 기여했던 비공식적인 무역 봉쇄를 해제했다.[16]
솔론이 아테네를 떠난 후 수년 동안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시가 여전히 매우 분열되어 혼란스러웠으며, 많은 부차적인 출처에서는 아테네와 그 정부의 통제를 위해 경쟁하는 세 가지 뚜렷한 파벌이 발전했다고 언급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이 그룹들은 지리적 (아래에 기록된 바와 같이) 그리고 경제적 의미로 나뉘었다. 평원과 해안에 기반을 둔 첫 두 파벌은 세 번째 파벌이 형성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지대(또는 언덕)의 사람들로 지칭되는 세 번째 그룹은 가난한 사람들, 시민권 상실을 두려워하는 최근 이민자들, 그리고 채무를 징수할 능력을 거부당한 채권자들을 포함하여 페이시스트라토스와 동맹을 맺을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17] 경쟁하는 파벌들의 이름은 접근하는 출처에 따라 다르며, 일부 참고 자료는 각 그룹의 구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다른 자료는 그렇지 않다:
- 페디에이스 또는 페디아코이: 라이쿠르고스가 이끄는 평원에 거주하는 주민. 이 지주들은 곡물을 생산하여 식량 부족 시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18]
- 파라리오이 또는 파라로이: 알크마이온가의 메가클레스가 이끄는 해안을 따라 거주하는 주민. 파라리오이 파벌은 페디에이스만큼 강하지 못했는데, 주로 평원 주민들처럼 곡물을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8] 메가라인들이 바다를 순찰하면서 아테네의 수출입 능력은 크게 제한되었다.
- 하이페라크리오이: 이전에 위에 언급된 첫 두 파벌이나 정당에 의해 대표되지 않았으며, 주로 언덕에 거주하며 아테네 인구 중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의 유일한 생산품은 꿀과 양털 같은 물품의 물물교환이었다.[18]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들을 하이페라크리오이 또는 언덕 거주민이라는 세 번째 파벌로 조직했다. 이 파벌은 다른 두 파벌을 합친 것보다 훨씬 수가 많았다.[16] R. J. 호퍼는 파벌에 대해 유사한 이름을 제공하고 아티키의 지역별로 분류한다: 페디온, 파랄리아, 디아크리아.[19]
새러 B. 포메로이와 그녀의 다른 세 저자는 아테네의 세 파벌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평원 사람들: 대부분 대지주들로 구성된 인구.
- 해안 사람들: 어부와 장인들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인구.
- 언덕 사람들: 아티키 고지대의 가난한 주민들로 구성된 인구이며, 아티키 도시의 주민들도 포함될 수 있다.[20]
헤로도토스는 세 그룹에 대해 다음 정보를 제공한다.
- 평원 지역: 아리스토레이데스의 아들 리쿠르고스가 이끌었다.
- 해안 지역: 알크마이온의 아들 메가클레스가 이끌었다.
- 언덕 지역: 아테네의 참주가 되기 위해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결성했다.[13]
메가라 분쟁에서의 역할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권력을 장악할 정치적 영향력은 없었다. 기원전 561년경, 헤로도토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의도적으로 자신과 노새에게 상처를 입힌 후, 아테네 사람들에게 보호를 위한 경호원을 요청하고 니사이아 항구 점령을 포함한 자신의 이전 업적을 상기시켰다고 기록한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전차를 아테네의 아고라 또는 시장으로 몰고 가서 마을 밖에서 적들에게 상처를 입었다고 주장했으며, 이에 따라 아테네 사람들은 창 대신 곤봉으로 무장한 경호원들을 그에게 제공했다. 이전에 그는 다른 두 아테네 파벌과 달리 귀족 집단이 아니었던 하이페라크리오이를 자신의 민주적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파벌 구성원 또는 데모스와 상호 협약을 통해 통제권을 장악했다. 이러한 수많은 빈곤층의 지지를 얻고 경호원의 보호를 받음으로써 그는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13][21] 아테네인들은 이전에 아테네의 참주직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던 솔론 하의 참주정과 유사한 통치에 개방적이었으며, 고졸기 초기에는 귀족 가문 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가능한 안정과 내부 평화를 약속하는 단일 통치 참주정이 매력적인 선택지였고, 페이시스트라토스의 계략은 그에게 더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22]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경호대의 지지를 받으며 그는 자신을 참주로 선포했다.[23]
권력 시기/세 번의 참주 시도
[편집]
첫 번째 집권기
[편집]페이시스트라토스는 세 차례에 걸쳐 권력을 장악하고 유지했으며, 통치 기간 동안 두 번이나 공직에서 쫓겨나고 추방된 후 기원전 546년부터 528년까지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가장 긴 기간 동안 아테네를 통치했다. 그의 첫 번째 집권은 기원전 561년에 시작되어 약 5년간 지속되었다. 그의 첫 번째 공직 축출은 기원전 556/555년경으로, 평원 사람들이 라이쿠르고스가 이끄는 세력과 해안 사람들이 메가클레스가 이끄는 세력, 보통 서로 대립하던 두 파벌이 힘을 합쳐 그를 권력에서 몰아냈다.[21] 서로 다른 자료들은 페이시스트라토스 통치 기간에 대해 상충되거나 명시되지 않은 시간 간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는 메가클레스와 라이쿠르고스의 추종자들이 짧은 시간 후 연합하여 페이시스트라토스를 권력에서 축출했다고 기록한다.[24]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에서 첫 참주직을 맡은 지 5년 후인 헤게시아스의 아르콘 임기 중에 쫓겨났다고 언급한다.[25]
이 시기(기원전 557~556년)에 아테네의 폴레마르코스 중 한 명은 콜리투스의 카르모스였는데, 그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에로메노스였다.[26] 카르모스는 사랑의 신 에로스에게 제단을 봉헌한 최초의 아테네인이었다.[27]
망명과 두 번째 집권기
[편집]
그는 3~6년 동안 망명 생활을 했고, 그동안 페디에이스(평원)와 파랄리오이(해안) 간의 합의는 무너졌다.[28] 얼마 후인 기원전 556년경, 메가클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자신의 딸 코에시라와 결혼하는 조건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를 다시 권력으로 불러들였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두 사람은 아테네 시민들을 페이시스트라토스 편으로 다시 결집시키기 위해 기발한 방법을 고안했다. 파이아니아의 데메 또는 시골 마을 출신으로 키가 거의 180cm에 달하는 피예라는 여인을 완전 무장한 아테나 여신으로 가장시켜 전차에 태우고 여신을 연기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전령들은 아테나가 직접 아크로폴리스로 페이시스트라토스를 데려오고 그를 모든 다른 사람들보다 높이 칭송한다고 발표하기 위해 먼저 파견되었다. 이 소문은 마을 전체와 심지어 도시 사람들 사이에도 빠르게 퍼져 피예가 아테나 여신이라고 믿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경외심에 사로잡힌 아테네인들에게 환영받으며 돌아왔다.[24]
이 이야기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이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고, 얼마나 많은 부분이 헤로도토스에게 전해진 구전된 허구나 과장인지 전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21] 라벨은 이 이야기가 신들과 그리스 영웅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호메로스식 신화적 연결 고리를 제공하며,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전사 및 장군으로서의 이전 경력은 영웅적으로 비춰질 것이고, 더 나아가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교활하며 아테나와 특별한 관계를 가진 그리스 영웅 오디세우스와 유사하게 비춰질 것이라고 가정한다.[29] 이 연극적인 사건이 많은 사람들의 복귀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30] 크렌츠는 이 이야기가 아테나 여신이 그녀에게 헌정된 신전으로 돌아오는 것을 미리 계획된 공연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31] 어떤 이들은 대중이 그가 여신의 호의를 얻었다고 믿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대중이 그가 고대 아테네의 왕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전차 타기를 정치적 술수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30][32][33]
분쟁, 두 번째 망명, 그리고 세 번째 권력 복귀
[편집]얼마 지나지 않아 헤로도토스는 이전에 결혼하여 두 명의 성인 아들이 있던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메가클레스의 딸인 새 아내와 자녀를 갖기를 원하지 않아 전통적인 방식으로 성관계를 갖지 않았다고 기록한다. 분명히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자신의 아들들인 히파르코스와 히피아스의 정치적 미래를 타협하고 싶지 않았다. 격분한 메가클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와의 짧은 동맹을 파기하고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적들의 도움을 받아 그를 두 번째로 망명시켰다.[34][35] 약 10년간의 망명 기간 동안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북부 그리스의 스트루마강 지역에 위치한 좋은 농업 기반으로 유명한 라이켈루스 또는 라이켈루스로 이전했으며, 결국 근처에 위치한 판가이온 산 또는 판가이온 근처에 정착하여 금광과 은광에서 부를 축적했다.[36][37] 광산 자금으로 용병을 고용하고 테베인들과 부유한 낙소스 섬의 리그다미스와 같은 동맹국들의 지지를 받아 권력 복귀를 위해 남쪽을 바라보았다.[38]
기원전 546년, 에레트리아를 거점으로 삼고 에레트리아 기병의 지원을 받은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티키 북부 마라톤에 상륙하여 아테네와 주변 데메스 출신의 일부 현지 동조자들과 합류하여 아테네로 진격했다. 아테네인들은 반대 세력을 결집하여 팔레네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군대와 마주쳤다.[39][40] 헤로도토스는 배경 설명을 덧붙여 전투가 시작되기 직전 한 예언자가 페이시스트라토스에게 그물이 던져졌고 참치 떼가 몰려들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고 기록한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 예언을 환영하고 이해했으며, 그의 병사들은 점심 식사 후 휴식을 취하고 있던 아테네 병사들을 공격하여 쉽게 격퇴했다. 아테네인들이 후퇴하는 동안, 그들이 병력을 재편성하는 것을 막기 위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들들에게 패주하는 아테네인들을 뒤쫓아가서 현재 상황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없이 집으로 돌아가라고 알리라고 지시했다. 이 지시에 따라 아테네인들은 순응했고,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546년부터 기원전 528년 또는 527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세 번째로 아테네를 참주로 통치할 수 있었다.[41]
세 번째이자 마지막 참주 기간 동안의 업적과 아테네에 대한 공헌
[편집]
앞서 언급했듯이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첫 두 참주 기간의 길이와 업적에 대한 부차 자료들의 분석은 각각 상충되고 세부 사항이 매우 부족하다. 예를 들어, 라벨은 메가클레스와 알크마이오니다이가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참주가 되기 위해 지불해야 했던 대가와 협상 과정의 일부로서 아테네 정부에서 여전히 대부분의 정치적 직책을 맡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첫 두 번의 집권 기간 동안 아마도 명목상의 지도자로만 기능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운다.[42]
기원전 6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걸쳐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세 번의 통치 기간 동안 아테네는 아티키 반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지배적인 도시 중 하나로 전환하기 시작했다.[43] 스타는 아테네가 이웃 마을들의 느슨한 연합이 아닌 도시의 틀로 융합되고 있었다고 말한다.[3] 아마도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는 아테네에서 남서쪽으로 불과 8킬로미터 떨어진 아티키의 주요 항구 도시인 피레아스였으며, 이 항구 위치는 아테네가 해상 무역 기회와 해상 수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44] 아티키의 다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마라톤과 엘레우시스가 있다.
문화, 종교, 예술
[편집]아테네를 문화 중심지로 홍보하고 자신의 명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신들에 대한 지지와 예술 후원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영구적인 필사를 의뢰했으며, 기원전 6세기 초에 시작되어 4년마다 대규모로, 매년 소규모로 기념되던 파나텐 축제의 가시성을 높였다. 파나텐 축제의 확대로 아테나는 아테네에서 가장 존경받는 여신, 즉 도시 국가의 수호신이 되었고, 축제 마지막에는 젊은 아테네 여성들이 만든 신을 위한 예복을 들고 아크로폴리스의 아테나 신전으로 행진하는 행렬이 있었다. 호메로스 시 낭송과 육상 경기가 축제의 일부가 되었고 우승자에게는 상이 주어졌다.
와인과 쾌락의 신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대디오니소스제와 소디오니소스제와 같은 새로운 축제가 시작되었고, 그 시대의 화병 그림에는 음주와 환호하는 축제 장면이 강조되었다.[45][46] 디오니소스 축제에서는 디티람보스를 노래하는 사람들에게 상이 주어졌고, 기원전 534년경부터는 비극 연극이 연례 경연 대회로 개최되었다.[46][47] 엘레우시스에 위치한 데메테르 신전의 통제권도 페이시스트라토스에 의해 확보되었으며, 그 결과 거대한 홀인 텔레스테리온의 평면도가 재설계되어 훨씬 큰 건물(27m x 30m)이 현장에 건설될 수 있었고, 이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 마지막 몇 년 또는 그의 아들들의 통치 기간 동안 완공되었다. 완전히 돌로 만들어진 텔레스테리온은 대리석 상부 구조, 도리아 양식의 포르티코, 그리고 타일로 되어 있었다. 엘레우시스에서의 대 밀의종교 축제는 매년 가을에 열리는 연례 행사였으며, 아티키 지역 안팎의 사람들을 위한 범헬레니즘 컬트 행사였다.[48][49] 아티키 전역에 흩어져 있던 다른 소규모 지역 컬트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아테네로 이전되었다.[46]
정책: 국내 및 외교
[편집]국내
[편집]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의 정부의 주요 관심 분야 중 하나는 경제였고, 그의 전임자 솔론이 시작했던 것을 토대로 구축하고 확장하는 것이었다. 페이시스트라토스 역시 농업 생산을 개선하고 수정하는 것과 상업을 확장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취했다. 농업 측면에서 솔론은 이전에 아테네 기후에 더 적합한 올리브 재배에 중점을 두어 현금 작물로 삼았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올리브 생산에 다시 중점을 두었고, 이와 함께 아테네 외곽의 농민들, 즉 그의 당인 하이페라크리오이의 주요 구성원 블록이었던 사람들에게 토지를 얻고 도구와 농기구를 구입하는 데 자금을 할당했다.[39][50][46] 소규모 농민 대출은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10%의 비율로 농업 생산에 대한 평가 또는 세금으로 상당 부분 충당되었으며, 이는 아테네 직접세의 드문 기록된 사례이다.[50][51] 한 부차 자료는 세금이 5%에 가까웠다고 보고한다.[46] 결과적으로, 아테네 주변의 농촌 주민들에게 대출과 자금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은 계속해서 들판에서 일할 수 있었고, 아마도 도시 국가의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51]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또한 현장에서 재판을 진행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순회 재판관 제도를 시작했으며, 참주 자신도 때때로 검사 및 분쟁 해결을 위해 이 단체들을 동반했다. 한때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살인 혐의로 기소되어 법정에 출두하여 자신을 변호했지만, 검사/고소인은 사건을 진행하기를 꺼리거나 두려워하여 혐의를 취하했다.[51][46]
상업 면에서는 아테네 또는 아티키 도예가 주요 수출품이었는데, 7세기에는 흑해, 이탈리아, 프랑스 지역(이 지역들의 현대 이름)으로 소량의 도예품이 도착하기 시작했다. 솔론 치하에서 6세기 초부터 이러한 흑색상 도기 상품들은 아테네에서 점점 더 많은 양과 먼 거리로 수출되기 시작하여 에게해와 지중해 지역 전역에 도달했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러한 중요한 도예 무역을 계속 확장하여, 흑색상 도예품이 이오니아, 키프로스, 그리고 동쪽으로는 시리아까지, 서쪽으로는 스페인이 가장 먼 시장이었다.[39] 아테네 도예의 인기는 결국 코린토스 도예 수출량을 능가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다.[50]
아테네 도시 자체에 관해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아테네의 기반 시설과 건축물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건물을 짓고 오래된 건물을 업그레이드하는 공공 건축 프로젝트 캠페인을 시작했다. 그의 행정부는 도로를 건설하고 아테네의 물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용수로는 아고라 가장자리에 있는 엔네아크로우노스 분수와 연결되었으며, 이 시장은 시장 배치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정하여 효율성과 공간 활용도를 모두 높임으로써 개선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6세기 아고라 표지판을 발견했다.[46] 귀족들은 이전에 개인 우물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공공 접근이 가능한 분수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아크로폴리스에서는 6세기가 진행되면서 아테나 신전이 재건되었고, 페이시스트라토스 통치 기간 동안 제우스를 위한 매우 큰 신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수세기 후에 재개되어 결국 로마 제국 황제인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서기 131년에 완공되었다.[52][47][53] 개인 후원보다는 공공 후원이 페이시스트라토스 통치 사회의 특징이 되었으며,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꾸준한 건설 일자리를 제공하고 도심에 더 저렴한 주택을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아테네시로 이주할 수 있었다.[47]
아테네의 디드라큼, 기원전 545–510년 | |
---|---|
![]() | |
앞면: 네 개의 살이 있는 바퀴 | 뒷면: 대각선으로 나뉜 오목한 사각형 |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헤럴드 양식의 아테네 은 디드라큼, 기원전 545–510년 |
이러한 공공 기반 시설 프로젝트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문화 및 예술 분야의 깊이와 다양성을 늘리기 위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북부 그리스 판가이온 산의 광산과 아티카에 있는 국가 소유의 라우리움 은광에서 발생한 수입원을 활용했다.[54][46] 그러나 은화 주조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R. J. 호퍼는 이 시기에 은이 실제로 생산되었지만, 기원전 484년 또는 483년 이전의 양은 불분명하며 역사학자와 연구자들이 광산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기록한다.[55]
은화 주조와 관련하여, 이러한 생산의 증거는 기원전 6세기 초 여러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56] 포메로이는 올빼미 이미지가 새겨진 최초의 동전 주조가 페이시스트라토스 또는 그의 아들들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올빼미 묘사는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상징했으며, 이 동전들은 에게해 지역에서 가장 널리 인식되는 통화가 되었다.[47] 한편, 베르라그는 주조가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세 번째 통치 기간(기원전 546년 ~ 535년경)의 첫 10년 동안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처음에는 소위 Wappenmünzen (헤럴드 동전) 디자인이었고, 그 후 올빼미 통화 버전으로 변경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변경의 시기와 위치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왕조 시대 후기 또는 아테네 민주 시대 초기로 불확실하다.[57]
외교
[편집]
아테네의 번성하는 상업과 더불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특히 에게해 중앙에서 우호적인 지도자들과 동맹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외교 정책을 펼쳤다. 낙소스 섬에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두 번째 망명에서 승리하여 돌아오는 것을 도왔던 부유한 리그다미스가 통치자이자 참주로 임명되었고, 리그다미스는 다시 폴리크라테스를 사모스 섬의 통치자로 앉혔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서부 아나톨리아 (현대 튀르키예) 해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 시게이온 또는 시게움을 재장악하고, 그의 아들 중 한 명을 정부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또한 페이시스트라토스는 밀티아데스를 참주로 파견하여 현재 튀르키예에 있는 갈리폴리반도로 알려진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에 아테네의 주둔을 확립할 수 있었다.[47] 다르다넬스 해협은 트라키아 케르소네소스와 아나톨리아 사이의 좁은 해협이었으며, 트라키아 반도는 소아시아와 유럽 대륙 사이의 여행 경로에 있는 중요한 위치였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밀티아데스가 6세기 후반인 516년에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들에 의해 케르소네소스의 통제권을 장악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기록한다.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밀티아데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와 유사한 전술로 500명의 용병의 지지를 얻고 트라키아 공주와 결혼했다.[58]
인기 있는 참주
[편집]참주라는 단어의 현대적 정의, 즉 통치 속성이 폭력적이고 억압적이라고 간주되는 일인 통치자와는 달리, 그리스 고졸기 동안 참주라는 용어의 사용은 그 개인이 독재적이거나 가혹한 행동을 한다는 것을 자동으로 의미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리스 사람들은 참주의 통치를 그의 행동과 행태에 비추어 좋거나 나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어떤 참주정은 단명했지만,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와 같은 다른 참주정은 좋은 참주정으로 인식되고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면 수십 년 동안 상당히 오래 지속될 수 있었다. 정의상 참주들은 무력이나 기타 비헌법적 수단을 통해 통치 지위를 얻었으며, 왕처럼 또는 군주제 계승을 통해 이러한 권위적인 역할을 상속받지 않았다. 그러나 일단 권력을 잡으면 많은 참주들은 페이시스트라토스처럼 자신의 아들에게 지도력을 물려주려고 시도했다. 보통 참주는 동료 귀족들 중에서 나왔지만, 하이페라크리오이 파벌을 결성했을 때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보여주었듯이, 권력을 얻기 위해 가난하고 무력한 사람들을 자신의 대의명분으로 자주 결집시켰다. 권력 이양을 완화하고 사회적 안정을 장려하기 위해 참주들은 정부 기관과 법률, 심지어 기존 공직자들에 대해서도 현상 유지를 선택할 수 있었고, 숙청 대신 이들을 유지할 수 있었다.[59]
헤로도토스가 《역사》에 기록한 바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처음으로 권력을 잡은 후 아테네를 공정하고 균등하게 다스렸으며, 기존 법률에 변경 없이 정부와 정치 직위 구조를 유지했다. 그러나 기원전 546년에 세 번째로 국가 원수 직을 재장악한 후, 헤로도토스는 그가 용병 부대로 자신의 참주정을 확고히 하고, 아티키와 판가이온 산의 광산 수입을 늘렸으며, 반대파의 자녀들을 낙소스 섬에 인질로 잡고, 알크마이오니다이와 다른 아테네 반대자들을 추방했다(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망명인지 강제 망명인지는 불분명하다)고 말한다.[60] 포메로이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세 번째 집권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해설을 재확인하며,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다양한 아르콘 직위에 친척과 친구들을 임명하고 일부 아테네인들의 자녀를 인질로 붙잡아 미래의 봉기를 저지하고 반대를 단념시켰다고 덧붙인다.[39][61] 이러한 행동 중 일부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정의롭게 통치하고 법을 따랐다는 인식과 모순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로도토스의 초기 발언을 재확인하며 페이시스트라토스의 통치를 온건하고 온화하다고 특징짓고, 그 통치자를 쾌활하고 부드러운 성품을 가졌다고 묘사한다. 한 예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수행원 중 한 명이 돌밭을 가는 남자를 만나 이 땅의 수확량이 얼마냐고 묻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익명의 남자는 자신은 육체적인 통증과 고통을 얻었고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이 수확량의 10분의 1을 얻었다고 답했다. 그의 정직함, 또는 아마도 그의 영리함 때문에 페이시스트라토스는 그 남자에게 세금 납부를 면제해 주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또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정부가 참주정보다는 헌법적인 방식으로 기능했다고 언급한다.[62]
로시바흐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왕조가 솔론이 원래 만든 정부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았다고 기록한다. 대신, 그들은 중요한 정부 직책에 동맹국을 앉히고, 필요할 때 무력을 위협하며, 결혼 동맹을 사용하는 등 헌법과 법률 밖에 있는 전술들을 사용하여 권력을 유지했다.[63] 포스다이크는 헤로도토스가 자신의 《역사》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정을 언급하며 그리스 단어를 특정하게 사용한 것을 기록하고, 참주가 통치하는 사회는 약한 시민을 가지는 반면 민주 사회는 강하고 자유로운 사람들을 가진다고 주장한다.[64]
유산과 여파
[편집]페이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527년 또는 528년에 사망했고, 그의 장남 히피아스가 아테네의 참주직을 계승했다. 히피아스는 그의 형제 히파르코스와 함께 기존 법률을 많이 유지하고 아테네인들에게 수입의 5%를 넘지 않는 세금을 부과했다. 기원전 514년, 히파르코스가 어린 하르모디오스에게 구애에 실패하고 그 여동생을 모욕한 후, 두 연인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이 히피아스와 히파르코스 둘 다를 살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그러나 히파르코스만이 암살당했고,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피해자였기 때문에 최고 참주로 오인되었다. 그러나 히피아스가 실제 아테네의 지도자였고, 4년 더 권력을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히피아스는 더욱 편집증적이고 억압적인 행동을 보였고, 많은 아테네 시민들을 죽였다.[65] 알크마이온가는 델포이 신탁을 매수하여 스파르타인들에게 아테네를 해방시키라고 말하게 함으로써 참주정을 전복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고, 스파르타인들은 기원전 510년에 그렇게 했다. 자녀들이 붙잡힌 후, 히피아스와 다른 페이시스트라티다이 가문은 자녀들을 되찾기 위해 아테네인들이 지시한 조건을 받아들여야 했고, 시게이온으로 안전하게 추방되었다.[66]
살아남은 페이시스트라티다이 통치자 히피아스는 결국 다리우스 1세 페르시아 왕의 궁정에 합류하여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마라톤(기원전 490년) 공격에서 페르시아인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했다.[67][68] 기원전 510년에 페이시스트라티다이 왕조가 몰락하고 히피아스가 퇴위하자 아테네의 클레이스테네스는 권력 투쟁에서 궁극적으로 승리하여 아테네 시민들을 열 개의 새로운 부족으로 나누고, 대의 기구로서 500인 평의회를 창설하여 기원전 508/507년에 민주주의 정부 시대를 열었다.[69][70] 포메로이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의 아들들의 참주정은 페이시스트라티다이 파벌과 동조자들 외의 사람들에게는 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사회적 평준화 기제로 작용했다. 따라서 페이시스트라티다이의 전복을 대체하기 위해 발전한 민주주의 형태의 정부는 몰락하는 참주정의 상황과 결과에 의해 도움을 받았다.[39]
아테네의 오볼, 기원전 545–525년 | |
---|---|
![]() | |
앞면: 고졸기 고르곤 | 뒷면: 정사각형 각인 |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헤럴드 양식의 아테네 고졸기 은 오볼, 기원전 545–525년 |
페이시스트라토스 사망 시점, 아테네와 그 도시 국가 주민들이 종교적, 시민적 성격의 긴밀한 사회로 통합되는 과정은 잘 진행되고 있었지만, 아테네는 다가오는 기원전 5세기 미래의 동맹이자 라이벌인 스파르타에 비해 군사적, 정치적으로 훨씬 영향력이 적었다.[46]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 시대의 참주정은 일반적으로 "황금 시대"로 여겨졌다. 이 황금 시대에 대한 언급은 황금 시대에 통치했다고 불리는 신화 속 신 크로노스(크로노스)로 거슬러 올라간다.[71]
아테네 민주주의 시대 동안, 페이시스트라티다이의 참주정에 대한 반응으로 정부 관리 도구로서 도편 추방 (시민을 최대 10년간 추방하는 것)이 발전했으며, 이는 잠재적인 참주나 너무 많은 권력이나 영향력을 축적한 개인에 대한 방어책의 일부로 구상되었다.[63]
시인 단테는 신곡의 두 번째 부분인 《연옥》 15곡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그의 딸의 숭배자와 교류할 때 온화하게 반응했다고 언급한다.[72][73]
수다에 따르면, 페이시스트라토스의 경호원들은 "늑대 발"(그리스어: Λυκόποδες)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그들이 동상을 막기 위해 항상 늑대 가죽으로 발을 덮었기 때문이다. 또는 그들의 방패에 늑대 상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74]
같이 보기
[편집]내용주
[편집]- ↑ 가 나 다 Lavelle, B. M. (2010). 〈Pisistratus〉. Gagarin, Michael.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7072-6.
- ↑ Everdell, William R. (2000).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쪽. ISBN 978-0226224824.
- ↑ 가 나 Starr, Chester (April 2019). “Peisistratus: TYRANT OF ATHENS”. 《Encyclopedia Britannica》.
- ↑ Holladay, James (1977). 《The Followers of Peisistratus》. 《Greece & Rome》 24. 40–56쪽. doi:10.1017/S0017383500019628. JSTOR 642688. S2CID 145629351.
- ↑ Furlow Sauls, Shanaysha M. (2008년 4월 18일). 《The Concept of Instability and the Theory of Democracy in the Federalist》 (학위논문). Duke University. 77쪽. CiteSeerX 10.1.1.1005.6216. hdl:10161/629.
- ↑ 가 나 “Tyrant, ancient Greece”. 《Britannica》. 2021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Higbie, Carolyn (2009).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L》. New York: Anchor Books. 786쪽.
- ↑ Dewald, Carolyn (2009).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T》. New York: Anchor Books. 835쪽.
- ↑ Higbie, Carolyn (2009).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L》. New York: Anchor Books. 791쪽.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60, 1.61.
- ↑ “The Tyrants”. 《Encyclopedia.com》. 2021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Cartwright, Mark (2018년 3월 20일). “Ancient Greek Government”.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21년 5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59.
- ↑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PDF). 6쪽. 2021년 5월 8일에 확인함.
- ↑ Chester G. Starr, ENCYCLOPÆDIA BRITANNICA Peisistratus TYRANT OF ATHENS 보관됨 1 7월 2016 - 웨이백 머신
- ↑ 가 나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PDF). 6–7쪽. 2021년 5월 8일에 확인함.
- ↑ Kenyon, Frederic G. (1912).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21–23쪽. hdl:2027/inu.30000131032322.
- ↑ 가 나 다 French, A. (1959). 《The Party of Peisistratos》. 《Greece & Rome》 6. 46–57쪽. doi:10.1017/S0017383500013280. JSTOR 641975. S2CID 162486749.
- ↑ Hopper, R. J. (1961). 《'Plain', 'Shore', and 'Hill' in Early Athens》.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56. 189–219쪽. doi:10.1017/S006824540001354X. JSTOR 30096844. S2CID 162857455.
- ↑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69–170쪽.
- ↑ 가 나 다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0쪽.
- ↑ Goušchin, Valerij (May 1999). 《Pisistratus' leadership in A. P. 13.4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yranny of 561/60 B.C.》. 《The Classical Quarterly》 49. 14–23쪽. doi:10.1093/cq/49.1.14. JSTOR 639486.
- ↑ Aristotle, The Athenian Constitution, Part 13, 24; Herodotus, The Histories, 1.59; Plutarch, “Life of Solon”, in Plutarch’s Lives (London: Printed by W. M'Dowell for J. Davis, 1812), 185.
- ↑ 가 나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60.
- ↑ Kenyon, Frederic G. (1912).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24쪽. hdl:2027/inu.30000131032322.
- ↑ Plutarch, Life of Solon 1.4
- ↑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1.30.1
- ↑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PDF). 6–7쪽. 2021년 5월 8일에 확인함.
- ↑ Lavelle, B.M (2005). 《Fame, Money, and Power :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ProQuest Ebook Centra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3쪽.
- ↑ 가 나 Connor, W.R. (1987). 《Tribes, Festivals and Precessions; Civic Ceremonial and Political Manipulation in Archaic Greec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107. 40–50쪽. doi:10.2307/630068. JSTOR 630068. S2CID 154790382.
- ↑ Krentz, Peter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A》. New York: Anchor Books. 724쪽.
- ↑ Aristotle, The Athenian Constitution, Part 14.
- ↑ Lavelle, B. M. (2005). 《Fame, Money and Power;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8–122쪽.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61.
- ↑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M.;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0–171쪽.
- ↑ Cole, J. W. (April 1975). 《Peisistratus on the Strymon》. 《Greece and Rome》 22. 42–44쪽. doi:10.1017/S0017383500020052. JSTOR 642830. S2CID 162097904.
- ↑ Lavelle, B.M. (2005년 1월 18일). 《Fame, Money, and Power :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7–128쪽.
- ↑ Hind, J. G. F. (May 1974). 《The 'Tyrannis' and the Exiles of Pisistratus》. 《The Classical Quarterly》 (영어) 24. 1–18쪽. doi:10.1017/S0009838800030184. JSTOR 3270542.
- ↑ 가 나 다 라 마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1쪽.
- ↑ Aristotle (1914).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Translated by F.G. Kenyon. London: G. Bell And Sons, LTD. 25–26쪽.
- ↑ Herodotus (2009).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62–1.64.
- ↑ Lavelle, B. M. (2005). 《Fame, Money, and Power: The Rise of Peisistrato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ProQuest Ebook Central).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4쪽.
- ↑ Boegehold, Alan L. (1996).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Appendix A》. New York: Free Press. 577쪽.
- ↑ Cartwright, Mark (2013년 6월 2일). “Piraeu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M.;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2–173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Starr, Chester G. “Peisistratos: Tyrant of Athens”. 《Britannica》.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Pomeroy, Sarah B.; Burstein, Stanley M.; Donlan, Walter; Roberts, Jennifer Tolbert (1999).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2쪽.
- ↑ Boardman, John (1975). 《Herakles, Peisistratos and Eleusis》.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95. 1–12쪽. doi:10.2307/630865. JSTOR 630865. S2CID 161930012.
- ↑ Evans, Nancy A. (2002). 《Sanctuaries, Sacrifices, and the Eleusinian Mysteries》. 《Numen》 49. 227–254쪽. doi:10.1163/156852702320263927. JSTOR 3270542.
- ↑ 가 나 다 Martin, Thomas R. “Tyranny at Athens”. 《Perseus Digital Library – Tufts University》. 2021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ristotle (1914).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trans. F.G. Kenyon. London: G. Bell And Sons, LTD. 27쪽.
- ↑ Cartwright, Mark (August 2015). “Temple of Olympian Zeus, Athens”. 《World History Encyclopedia》.
- ↑ Glowacki, Kevin T. (2004). “The Acropolis”. 《The Stoa: A Consortium for Electronic Publication in the Humanities (The Ancient City of Athens)》. 2021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Pisistratus”. 《Encyclopedia.com》. 2018년 5월 29일. 2021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Hopper, R. J. (1968). 《The Laurion Mines: A Reconsideration》.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63. 293–326쪽. doi:10.1017/S006824540001443X. JSTOR 30103196. S2CID 163856204.
- ↑ Cartwright, Mark (2016년 7월 15일). “Ancient Greek Coinage”.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21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Davis, Gil (2014). 《Mining money in Late Archaic Athens》.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63. 257–277쪽. doi:10.25162/historia-2014-0014. JSTOR 24432808. S2CID 160134528.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6.39.
- ↑ Martin, Thomas R. (2013). 《Ancient Greece: From Prehistoric to Hellenistic Times: Secon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104–105쪽. ISBN 978-0-300-16005-5.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59, 1.64.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1.64.
- ↑ Kenyon, Frederic G. (1912).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27–28쪽. hdl:2027/inu.30000131032322.
- ↑ 가 나 Rosivach, Vincent J. (1988). 《The Tyrant in Athenian Democracy》. 《Quaderni Urbinati di Cultura Classica》 30. 43–57쪽. doi:10.2307/20546964. JSTOR 20546964.
- ↑ Forsdyke, Sara (2001). 《Athenian Democratic Ideology and Herodotus' Histories》.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122. 329–358쪽. doi:10.1353/ajp.2001.0038. JSTOR 1562032. S2CID 154123954.
- ↑ Thucydides (1996).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trans. Richard Crawley. New York: Free Press. 1.20, 6.54–6.57, 6.59.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5.63, 5.65.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6.102, 6.107.
- ↑ Thomas, Rosalind (2012). 〈Hippias〉. 《Oxford Dictionary of the Classical World》.
- ↑ Krentz, Peter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Appendix A》. New York: Anchor Books. 725쪽.
- ↑ Herodotus (2007). Strassler, Robert B., 편집.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5.66, 6.131.
- ↑ Aristotle (1914).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trans. F. G. Kenyon. London: G. Bell And Sons, LTD. 28쪽.
- ↑ Alighieri, Dante (2015). 《Dante's Purgatorio : The Vision of Purgatory from the Divine Comedy》. trans. The Rev. Henry Francis Cary, illustr. Gustave Dore. Minneapolis, MN: First Avenue Editions. 88쪽.
- ↑ Barolini, Teodolinda (2014). New York, NY에서 작성. “Purgatorio 15: Divine Multiplication (Commento Baroliniano)”. 《Digital Dante》.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2021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Suda Encyclopedia”. 《ToposText》. trans. Suda On Line project. 2021년 6월 3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Alighieri, Dante. Dante's Purgatorio : The Vision of Purgatory from the Divine Comedy. Translated by The Rev. Henry Francis Cary. Illustrated by Gustave Dore. Minneapolis: First Avenue Editions, 2015.
- "Ancient Greek Poleis Systems of Government: Athens and Sparta." 8 May 2021. https://www.classicsteachers.com/uploads/1/1/6/9/116945311/politics_in_athens_and_sparta.pdf.
- Kenyon, Frederic G. (1912). 《Aristotle on the Athenian constitution》. G. Bell and Sons. hdl:2027/inu.30000131032322.
- Barolini, Teodolinda. "Purgatorio 15: Divine Multiplication (Commento Baroliniano)." Digital Dant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2014. https://digitaldante.columbia.edu/dante/divine-comedy/purgatorio/purgatorio-15/.
- Berti, Monica. Fra tirannide e democrazia: Ipparco figlio di Carmo e il destino dei Pisistratidi ad Atene. Alessandria: Edizioni Dell’Orso, 2004
- Boardman, John (1975). 《Herakles, Peisistratos and Eleusis》.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95. 1–12쪽. doi:10.2307/630865. JSTOR 630865. S2CID 161930012.
- Borthwick, Edward K. “Music and Dance.” Civilization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Greece and Rome. Eds. Grant, Michael and Kitzinger, Rachel. 3 vols. New York: Scribner's, 1988. Vol. 1, 1507-8.
- Cahill, Thomas. Sailing the Wine Dark Sea: Why the Greeks Matter. New York: Doubleday, 2003.
- Cartwright, Mark. "Ancient Greek Coinage." World History Encyclopedia. 15 July 2016. https://www.worldhistory.org/Greek_Coinage/.
- Cartwright, Mark. "Ancient Greek Government."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 March 2018. https://www.worldhistory.org/Greek_Government/.
- Cartwright, Mark. "Piraeu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 June 2013. https://www.worldhistory.org/Piraeus/#:~:text=Piraeus%20(or%20Peiraieus)%20was%20the,Kantharos%2C%20Zea%2C%20and%20Munichia..
- Cole, J. W. (April 1975). 《Peisistratus on the Strymon》. 《Greece and Rome》 22. 42–44쪽. doi:10.1017/S0017383500020052. JSTOR 642830. S2CID 162097904.
- Connor, W. R. (November 1987). 《Tribes, festivals and processions; civic ceremonial and political manipulation in archaic Greece》.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107. 40–50쪽. doi:10.2307/630068. JSTOR 630068. S2CID 154790382.
- Davis, Gil (2014). 《Mining money in Late Archaic Athens》.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63. 257–277쪽. doi:10.25162/historia-2014-0014. JSTOR 24432808. S2CID 160134528.
- Evans, Nancy A. (2002). 《Sanctuaries, Sacrifices, and the Eleusinian Mysteries》. 《Numen》 49. 227–254쪽. doi:10.1163/156852702320263927. JSTOR 3270542.
- Everdell, William.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 Forsdyke, Sara (2001). 《Athenian Democratic Ideology and Herodotus' Histories》.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122. 329–358쪽. doi:10.1353/ajp.2001.0038. JSTOR 1562032. S2CID 154123954.
- French, A. (1959). 《The Party of Peisistratos》. 《Greece & Rome》 6. 46–57쪽. doi:10.1017/S0017383500013280. JSTOR 641975. S2CID 162486749.
- Sauls, Shanaysha M. Furlow (2008년 4월 18일). 《The Concept of Instability and the Theory of Democracy in the Federalist》 (학위논문).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CiteSeerX 10.1.1.1005.6216. hdl:10161/629.
- Garland, Robert. “Greek Spectacles and Festivals.” Civilization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Greece and Rome. Eds. Grant, Michael and Kitzinger, Rachel. 3 vols. New York: Scribner's, 1988. Vol. 1, 1148.
- Glowacki, Kevin T. "The Acropolis." The Stoa: A Consortium for Electronic Publication in the Humanities (The Ancient City of Athens). 2004. https://www.stoa.org/athens/sites/acropolis.html.
- Goušchin, Valerij (May 1999). 《Pisistratus' leadership in A. P. 13.4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yranny of 561/60 B.C.》. 《The Classical Quarterly》 49. 14–23쪽. doi:10.1093/cq/49.1.14. JSTOR 639486.
- Holladay, James (1977). 《The Followers of Peisistratus》. 《Greece & Rome》 24. 40–56쪽. doi:10.1017/S0017383500019628. JSTOR 642688. S2CID 145629351.
- Hopper, R. J. (1968). 《The Laurion Mines: A Reconsideration》.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63. 293–326쪽. doi:10.1017/S006824540001443X. JSTOR 30103196. S2CID 163856204.
- Hopper, R. J. (1961). 《'Plain', 'Shore', and 'Hill' in Early Athens》.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56. 189–219쪽. doi:10.1017/S006824540001354X. JSTOR 30096844. S2CID 162857455.
- Hornblower, Simon and Spawforth, Anthony eds. “Peisistratus.”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Lavelle, B. M. Fame, Money and Power: The Rise of Pisistratus and “Democratic” Tyranny at Athen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
- Lavelle, B. M. (December 1991). 《The Compleat Angler: Observations on the Rise of Peisistratos in Herodotos (1.59–64)》. 《The Classical Quarterly》 41. 317–324쪽. doi:10.1017/S0009838800004493. S2CID 171069685.
- Macquire, Kelly. "Pylos." World History Encyclopedia. 6 October 2020. https://www.worldhistory.org/Pylos/.
- Martin, Thomas R. (2013). 《Ancient Greece: From Prehistoric to Hellenistic Times: Secon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6005-5.
- Martin, Thomas R. "Tyranny at Athens." Perseus Digital Library - Tufts University. Accessed 15 May 2021.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4.0009%3Achapter%3D6%3Asection%3D28.
Mitchell, John Malcolm (1911). 〈Peisistratus〉.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1 11판. 59–60쪽.
- "Pisistratus." Encyclopedia.com. 29 May 2018. https://www.encyclopedia.com/people/history/ancient-history-greece-biographies/pisistratus.
- Pomeroy, Sarah B., Stanley M. Burstein, Walter Donlan, and Jennifer Tolbert Roberts.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 Roisman, Joseph, and translated by J.C Yardley, Ancient Greece from Homer to Alexander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ISBN 1-4051-2776-7
- Rosivach, Vincent J. (1988). 《The Tyrant in Athenian Democracy》. 《Quaderni Urbinati di Cultura Classica》 30. 43–57쪽. doi:10.2307/20546964. JSTOR 20546964.
- Silk, M. S. Homer: The Ilia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ProQuest Ebook Central.
- Starr, Chester G. "Pisistratus: Tyrant of Athens." Britannica. Accessed 15 May 2021.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Peisistratus.
- Strassler, Robert B., ed. The Landmark Herodotus, The Histories. Translated by Andrea L. Purvis. New York: Anchor Books, 2007.
- Strassler, Robert B., ed. The Landmark Thucydide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eloponnesian War. Translated by Richard Crawley. New York: Free Press, 1996.
- "Suda Encyclopedia." Translated by Suda On Line project. ToposText. Accessed 3 June 2021. https://topostext.org/work/240#la.797.
- Thomas, Rosalind (2012). 〈Hippias〉. 《Oxford Dictionary of the Classical World》.
- Thucydides. "Funeral Oration of Pericles." The Peloponnesian War. Trans. Benjamin Jowett, 1881. Ed. Paul Brians. 18 December 1998.
- "Tyrant, Ancient Greece." Britannica. Accessed 28 April 2021. https://www.britannica.com/topic/tyrant.
- "The Tyrants." Encyclopedia.com. Accessed 30 April 2021. https://www.encyclopedia.com/history/news-wires-white-papers-and-books/ty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