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펠렝안경원숭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펠렝안경원숭이[1]
펠렝안경원숭이
펠렝안경원숭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안경원숭이하목
과: 안경원숭이과
속: 안경원숭이속
종: 펠렝안경원숭이
(T. pelengensis)
학명
Tarsius pelengensis
Sody, 1949
펠렝안경원숭이[1]의 분포

펠렝안경원숭이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펠렝안경원숭이 (Tarsius pelengensis) 또는 펠렝섬안경원숭이안경원숭이의 일종이다. 인도네시아의 펠렝섬에서만 발견되는 야행성 영장류다. 펠렝 섬 서부에서는 라카신딩(Lakasinding), 동부에서는 실링(Siling)이라고 부른다.[3] 펠렝안경원숭이는 눈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올빼미처럼 머리를 180도 돌려 주위를 둘러본다.

특징

[편집]

펠렝안경원숭이는 작고 민첩한 영장류로, 밤에 기어오르고, 뛰어오르고, 먹이를 찾는 데 적응했다. 손가락과 발가락이 길고, 잡기 편한 손발바닥과 큰 눈, 큰 귀 그리고 회색 털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는 약 12.5cm이고 꼬리 길이는 몸길이의 두 배이다. 성체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100~140g이고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큰 경향이 있다.[4]

분포 및 서식지

[편집]

펠렝안경원숭이는 술라웨시 섬 동쪽 해안에 위치한 펠렝 섬 고유종으로, 방가이 군도의 다른 작은 섬에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펠렝안경원숭이의 자연 서식지는 일차림이다. 그러나 불법 벌목과 산림 개간으로 인해 섬의 일차림은 원래 면적의 약 9%로 줄었다. 펠렝안경원숭이의 서식지 필요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다른 안경원숭이 종들이 이차림, 즉 일차림이 아닌 다른 서식지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펠렝안경원숭이도 유사한 서식지에 서식할 가능성이 높다. 이차림은 섬 면적의 약 63%를 차지하며, 이는 섬 표면적의 72%가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2]

생태

[편집]

펠렝안경원숭이는 사회성 동물로 일정한 서식지를 가진 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 육식성 동물로 곤충과 거미, 기타 작은 절지동물과 작은 척추동물을 잡아먹는다.[5] 낮에는 땅에서 몇 미터 떨어진 얽힌 초목 속 은밀한 곳에서 잠을 자고, 해 질 무렵에 나와 밤에 먹이를 찾는다.[5]

다른 안경원숭이와 마찬가지로, 펠렝안경원숭이는 올빼미처럼 머리를 각 방향으로 거의 180도 돌릴 수 있다.[5][6] 번식하는 한 쌍은 특징적인 이중 울음소리를 내어 의사소통을 한다. 이러한 울음소리가 디안안경원숭이의 울음소리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두 종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술라웨시섬과 주변 섬에서 안경원숭이의 울음소리 연구를 통해 숨겨진 종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아직 보고되지 않은 종이 네 종 더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7]

각주

[편집]
  1. Groves, C.P. (2005). 〈영장목〉 [영장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세계의 포유류 종: 분류학적 및 지리적 참고 자료》.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27–12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Shekelle, M (2020). Tarsius pelengensi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21494A17977515. doi:10.2305/IUCN.UK.2020-3.RLTS.T21494A17977515.en. 2025년 8월 16일에 확인함. 
  3. “BAB II HEWAN LANGKA TARSIUS” (PDF). 2025년 8월 16일에 확인함. 
  4. Yustian, Indra (2007). 《Ecology and Conservation Status of Tarsius bancanus saltator on Belitung Island, Indonesia》. Cuvillier Verlag. 7–9쪽. ISBN 978-3-86727-254-4. 
  5. Gron, K.J. (2010년 12월 1일). “Tarsier”. 《Primate Info Net》. 2013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8월 16일에 확인함. 
  6. Wright, Patricia C.; Simons, Elwyn L.; Gursky, Sharon (2003). 《Tarsiers: Past, Present, and Future》. Rutgers University Press. 52쪽. ISBN 978-0-8135-3236-3. 
  7. Burton, J.A. (2010년 11월 19일). “Geographical variation in duet songs of Sulawesi tarsiers: evidence for new cryptic species in south and southeast Sulawesi”.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31 (6): 1123–1146. doi:10.1007/s10764-010-9449-8. ISSN 1573-8604. S2CID 32358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