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사반
폰사반 ໂພນສະຫວັນ | |
---|---|
![]() 폰사반 | |
행정 | |
국가 | ![]() |
행정 구역 | 시앙쿠앙 주 (펙군 관할) |
지리 | |
해발 | 1,100 m |
시간대 | ICT (UTC+7) |
인문 | |
인구 | 75,600[1](2015년) |
지역 부호 | |
지역번호 | 061 |
폰사반(영어: 영어: Phonsavan 또는 Phonesavanh, 라오어: 라오어: ໂພນສະຫວັນ, ‘천국의 둔덕’이라는 뜻, lo)은 시앙쿠앙 주의 주도이다.[2] 행정구역상으로는 펙군(Pek District)의 군청 소재지이자 자치시이다. 인근의 항아리 평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일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3] 주요 민족은 푸안, 몽, 캄무, 타이 담, 베트남인, 중국인이고, 주된 종교는 불교다.
역사
[편집]
시앙쿠앙의 기록된 역사는 타이 푸안과 긴밀히 얽혀 있다. 타이 푸안(푸안족)은 불교를 신봉하는 타이-라오계 집단으로 중국 남부에서 라오스로 이주했으며, 13세기에는 항아리 평원 일대에 무앙 푸안이라는 독립 소왕국을 세우고 시앙쿠앙(오늘날의 무앙쿤)을 수도로 삼았다. 14세기에 란쌍 왕국의 국왕 파응움 치하에서 무앙 푸안은 란쌍에 편입되었다.
푸안 인구는 조세와 공물을 란쌍에 바치는 조건으로 일정한 자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수도에는 지붕이 낮고 기단부에 특유의 ‘허리’가 있는 시앙쿠앙 양식의 사원이 즐비했다. 1930년 르 불랑제(Le Boulanger)는 이를 “넓은 해자와 주변 언덕을 차지한 요새들로 보호된 크고 아름다운 도시였으며, 62개의 파고다와 그 탑의 풍요로움—그 옆면에는 보물이 감추어져 있었다—으로 인해 수도는 멀리까지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명성을 얻었다”고 묘사했다.
1770년대 톤부리 왕국이 메콩강 동쪽 영토까지 지배권을 넓히자 무앙 푸안은 시암 왕국의 속국이 되었고 대월과 조공 관계를 유지했다. 시암은 무앙 푸안의 영토와 주민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1777~1779년, 1834~1836년, 1875~1876년 세 차례에 걸쳐 푸안 인구 일부를 남쪽의 시암 직할지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어 1870년대에는 루앙프라방과 시앙쿠앙이 남중국 출신의 태평천국 운동 잔당과 약탈자 등의 침입을 받아 약탈당했고, 푸안 지역의 사원들은 모욕과 파괴를 겪었다.
1890년대의 프랑스-시암 조약으로 시앙쿠앙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편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식민 통치를 받았다. 프랑스는 시앙쿠앙을 주도(행정 중심지)로 사용했으며, 일부 식민 공공건물—총독 관저, 교회, 프랑스 학교 등—의 유적이 남아 있다.[4][5]
라오스 내전 동안 후아판과 시앙쿠앙은 빠테트 라오와 그들의 북베트남 동맹의 거점이었고,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시앙쿠앙 일대는 지상전과 공중폭격의 무대가 되었다. 미국 공군은 베트남 임무에서 돌아오는 길에 미사용 탄약을 투하하거나 공산 세력을 무력화하기 위해 배럴 롤 작전이라는 비밀 공중작전을 수행했다.
1975년 전투가 종식된 뒤 파괴된 옛 주도 무앙쿤(옛 시앙쿠앙)을 대체하기 위해 폰사반이 건설되었고, 일부는 이후 부분적으로 재건되었다.[6]
-
항아리, 반 파케오
-
항아리 유적지 3
-
유적, 왓 피아 왓 (16세기)
교육
[편집]시엥쿠앙주 폰사반의 교육은 라오스 정부 산하의 공립 유치원·초등·중등학교를 비롯해 시엥쿠앙 고등학교, 교원 양성을 위한 시엥쿠앙 사범학교, 보건 인력을 배출하는 간호·의학 전문학교 등 토착 기관들이 뼈대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초 위에 삼동백천기술직업학교, 삼동백천대학, 폰사반 세종학당과 같은 국제 협력 기반 기관들이 더해져, 지역 청소년과 주민들에게 직업교육·고등교육·한국어 및 문화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사회 발전과 국제 교류를 동시에 견인하고 있다.
기후
[편집]폰사반은 해발 약 1,100m의 영향으로 완화된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를 보인다. 6월 평균기온은 23.6 °C, 최한월인 12월 평균기온은 14.8 °C이다.
Phonsavan, elevation 1,094 m (3,589 ft), (1996–2005)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30.3 (86.5) |
32.2 (90.0) |
33.2 (91.8) |
35.0 (95.0) |
34.4 (93.9) |
34.3 (93.7) |
32.4 (90.3) |
32.1 (89.8) |
32.4 (90.3) |
32.0 (89.6) |
32.8 (91.0) |
30.0 (86.0) |
35.0 (95.0)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23.3 (73.9) |
25.7 (78.3) |
28.1 (82.6) |
28.7 (83.7) |
27.1 (80.8) |
27.2 (81.0) |
26.7 (80.1) |
26.5 (79.7) |
26.6 (79.9) |
25.4 (77.7) |
23.8 (74.8) |
21.7 (71.1) |
25.9 (78.6) |
일일 평균 기온 °C (°F) | 16.1 (61.0) |
18.2 (64.8) |
21.1 (70.0) |
22.7 (72.9) |
23.1 (73.6) |
23.6 (74.5) |
23.2 (73.8) |
23.0 (73.4) |
22.2 (72.0) |
20.4 (68.7) |
17.7 (63.9) |
14.8 (58.6) |
20.5 (68.9)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8.8 (47.8) |
10.7 (51.3) |
14.0 (57.2) |
16.6 (61.9) |
19.0 (66.2) |
20.0 (68.0) |
19.7 (67.5) |
19.4 (66.9) |
17.8 (64.0) |
15.4 (59.7) |
11.6 (52.9) |
7.8 (46.0) |
15.1 (59.1) |
역대 최저 기온 °C (°F) | −2.2 (28.0) |
1.7 (35.1) |
3.1 (37.6) |
7.3 (45.1) |
11.1 (52.0) |
13.7 (56.7) |
16.1 (61.0) |
15.1 (59.2) |
9.8 (49.6) |
2.6 (36.7) |
0.6 (33.1) |
−1.0 (30.2) |
−2.2 (28.0)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8.7 (0.34) |
15.8 (0.62) |
56.9 (2.24) |
145.2 (5.72) |
193.6 (7.62) |
193.0 (7.60) |
276.8 (10.90) |
300.9 (11.85) |
158.2 (6.23) |
63.6 (2.50) |
23.1 (0.91) |
8.4 (0.33) |
1,444.2 (56.86) |
평균 강우일수 | 2 | 3 | 5 | 13 | 18 | 20 | 22 | 22 | 16 | 9 | 4 | 2 | 136 |
평균 상대 습도 (%) | 71.0 | 66.7 | 66.0 | 67.9 | 74.3 | 77.3 | 80.1 | 81.9 | 79.0 | 75.3 | 71.9 | 71.4 | 73.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29.9 | 213.5 | 198.8 | 177.4 | 191.8 | 152.2 | 142.3 | 127.6 | 152.6 | 192.4 | 218.2 | 217.0 | 2,213.7 |
출처 1: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7]SeaDelt(습도·일조 2016–2022)[8] | |||||||||||||
출처 2: NOAA(극값),[9]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2–1940)[10][11][12][13][14] |
각주
[편집]- ↑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PDF). Lao Statistics Bureau. 2024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Laos Population”. 《Worldometer》. 2020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Megalithic Jar Sites in Xiengkhuang – Plain of Jars”. UNESCO 세계유산센터. 2020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Provincial Tourism Department Xiangkhouang, A Guide to Xieng Khouang
- ↑ Martin Stuart-Fox (1998). 《The Lao Kingdom of Lān Xāng: Rise and Decline》. White Lotus Press. ISBN 978-974-8434-33-9.
- ↑ Ciochon, Russell L. (2009년 6월 15일). “Laos Plain of Jars in the Wake of American Bombing”. 《The Asia-Pacific Journal》. 2020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Xiengkhuang”.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Statistical Yearbook 2016–2022 ສະຖຕິ ປິ ະຈາ ປີ 2016–2022”. Lao Statistics Bureau,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25년 8월 4일에 확인함.
- ↑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2–1933)
- ↑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4–1936)
- ↑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6–1937)
- ↑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7–1938)
- ↑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9–1940)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폰사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Phonsavan 관련 여행 안내가 있습니다.
- 에코투어리즘 라오스